평양은 고구려의 장수왕 때 수도로 정해져(427년) 1600년을 내려온 고도(古都)다. 봄이면 버드나무가 하늘거려 유경(柳京)이라고도 한다. 이 유려한 고도가 6·25 때 미군의 공습을 받아 문자 그대로 지구상에서 지워졌다. 김일성이 종전 후 전후 복구에 쏟은 노력은 대단했다. 1953년 정전협정이 체결된 직후부터 1개년 계획, 3개년 계획을 연달아 추진하고 1958년에는 5개년 계획을 1년 반 앞당겨 달성하였다. 1958년은 절멸 직전에서 북한을 구원한 중공군이 철수한 시점이기도 하다.
1950년대를 북한에서 산 세대는 이처럼 짧은 시간 내에 전후 복구를 이룩한 데 대해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1946년의 토지개혁과 1950년대 전후 복구에 있어 김일성의 지도력에 대한 북한 주민의 신뢰는 우리의 생각 이상으로 강하다. ‘통일운동가’ 김남식이 김일성에 대해서는 끝내 침을 뱉지 않았던 이유다. 우리의 5060세대가 박정희의 지도 하에 조국근대화를 이룩한 데 대해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다.
평양은 북한의 혁명수도다. 한양이 조선의 경도(京都)로서 정도전 등의 이념과 구상으로 만들어진 도시라고 한다면 오늘의 평양은 김일성이 소련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건설한 도시다. 이승만이 휴전 후 서울을 회복한 성취에 비하면 김일성의 평양 건설은 여러모로 앞선다. 5·16이 일어날 때 남한의 개인소득이 80달러인데 북한은 180달러였던 데서 보듯이 국가건설에서는 김일성이 한발 앞섰다. 남한이 북한을 앞서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초다.
평양을 둘러보면 잘 짜여진 도시라는 느낌을 받는다. 외국 관광객에게 2박3일 정도의 관광상품으로 개발하면 좋지 않겠는가고 의견을 제시하고플 정도다. 정부의 각 요소가 질서 있게 자리 잡고 있는 것을 보면 워싱턴 모뉴먼트, 제퍼슨기념관, 링컨기념관, 의회, 백악관이 ‘있을 자리에 자리하고 있는’ 워싱턴 D.C.를 보는 듯하다. 건물 색깔은 러시아풍의 연푸른색이다. 장쩌민 시대에 주로 건설된 중국의 성도(省都)들이 싱가포르 리콴유의 조언을 받다보니 영국풍의 붉은 벽돌(red bricks)로 만들어져 있는 것을 연상시킨다.
1942년생인 김정일은 어린 시절 평양의 건설과정을 보고 자랐는데 선전 선동 비서로서 여러 아이디어도 직접 안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1983년생인 김정은은 평양이 잿더미로 화한 것을 직접 체험하지 않았다. 요즈음 미국에 대한 핵공격 운운하나, B-52, B-2, F-22가 퍼붓는 재래식 폭탄만으로도 평양은 하루 아침에 잿더미로 화한다.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이룩한 그나마의 자랑이 물거품으로 사라지고 마는 것이다.
김정일의 7·1 경제조치를 이끌던 대표적 박범주를 다시 기용하는 것을 보면 김정은도 만만치는 않은 것 같은데 저희들 말마따나 ‘핵과 경제를 함께’ 살릴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 핵은 분명히 포기하되, 당장 내놓지 않고 북한의 자력갱생(自力更生)이 가능한 때까지는 일종의 보험으로서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한국과 미국, 그리고 중국은 이를 감내하고 북한을 도울만한 의지와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핵확산은 즉각 중지해야 함은 말할 필요도 없다. 북핵문제의 해결은 이 길 밖에 없다. 아니면 ‘더 폭격할 표적이 없다’던 평양으로 되돌아 간다.
Related Posts
- [김덕권의 훈훈한 세상] '정도전'이 기틀 닦은 조선왕조, '맹자 정신' 잃으며 멸망
- [김국헌의 직필] 조선건국 설계자 정도전을 주목하는 이유
- [김국헌의 직필] '정전협정 조인일'을 기억하는가?
- 北, 개성 북쪽서 단거리 미사일 2발 동해로 발사
- [김국헌의 직필] 덩샤오핑·장쩌민·후진타오 멘토 '박정희'의 딸, 그리고 시진핑
- [김국헌의 직필] 대북협상에서 '형식'이 중요한 이유
- [김국헌의 직필] 신뢰성과 정확성에 관하여
- [김국헌의 직필] '김일성 족적' 알면 '3대세습 비결' 보인다
- [김국헌의 직필] 김일성의 '사천왕' 최현의 아들 최룡해
- [김국헌의 직필] "창이 한발 짧으면, 한걸음 앞으로 나가라"
- [김국헌의 직필] 대통령의 참모 장악법 "전화 5번 울려도 안받으면 잘라라"
- [김국헌의 직필] DMZ, 남북관계 새 장 여는 통로로 ‘최적’
- [김국헌의 직필] '정보기관스캔들' 명해결사 레이건
- [김국헌의 직필] 영국의 제국 경영술
- [김국헌의 직필] 박대통령, '박정희 정보기관 악용' 답습해선 안돼
- [김국헌의 직필] 유럽 위기에서 배워야 할 것들
- [김국헌의 직필] 동맹간 신뢰가 중요한 이유는?
- [김국헌의 직필] 한국외교, '삼각편대 전략'으로 나아가야
- [김국헌의 직필] '지방의원 보좌관제' 될 말인가?
- [김국헌의 직필] 박근혜가 대처에게 배워야 할 것들
- [김국헌의 직필] 북-미 빅딜
- [김국헌의 직필] 햇볕정책과 '아편론'
- 4월3일 The AsiaN
- [김국헌의 직필] 북의 '하이브리드전략'에 맞설 대전략은?
- [김국헌의 직필] “前 장군은 없다”
- [김국헌의 직필] 팀워크가 중요한 이유
- [김국헌의 직필] 어떻게 이룩한 정부인데…
- [김국헌의 직필] '혈액형청문회' 그리고 남재준과 유인태
- [김국헌의 직필] '아시지의 聖' 교황 프란치스코와 피겨여왕 김연아
- [김국헌의 직필] '장군골프사건'이 문제되는 또다른 이유
- [김국헌의 직필] '행정의 달인' 고건의 대북관을 보며
- [김국헌의 직필] 국민이 바라는 장군이란?
- [김국헌의 직필] '정치적 천재' 달라이 라마와 중국 군관의 '호사'
- [김국헌의 직필] 북 '정전협정 백지화'는 '北中균열'의 신호탄?
- [김국헌의 직필] "MD 프로젝트 더 미룰 수 없다"
- [김국헌의 직필] '국회선진화법'이라는 괴물
- [김국헌의 직필] 중국이 박근혜 주목하는 이유···“자식 양육은 국가대사”
- [김국헌의 직필] 중국의 속셈과 주한미군
- [김국헌의 직필] 청와대 3실장(비서·경호·안보)에게 바란다
- [김국헌의 직필] 지금 '제헌 정신'을 돌아보는 이유
- [김국헌의 직필] 박근혜가 박정희한테 꼭 배워야 할 것은?
- [김국헌의 직필] 인재 안 키우면 나라의 미래 없다
- [김국헌의 직필] 남한 핵무장으로 북핵 대응한다고?
- [김국헌의 직필] 북핵해결을 위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 [김국헌의 직필] 핵전략 외교관에만 맡겨선 안돼
- [김국헌의 직필] 노태우와 연좌제, 그리고 인사청문회
- [김국헌의 직필] '박근혜정부' 인수위의 패착들
- [김국헌의 직필] 한미연합사 해체 연기가 북핵 위기 '방어선'
- [김국헌의 직필] '비서실장'이라는 자리
- [김국헌의 직필] '선거의 여왕' 통치는 초년병···박근혜의 해답은 어디?
- [김국헌의 직필] 과학전공 박근혜가 나로호 성공에서 배워야 할 것들
- [김국헌의 직필] '이동흡 김용준사태'를 바라보는 3가지 관점
- [김국헌의 직필] "감사원은 누가 감사해야 하나"
- [김국헌의 직필] 키신저, 주은래 같은 '지략가' 어디 없소?
- [김국헌의 직필] 대등한 외교
- [김국헌의 직필] 차안에서 '하회' 기다리는 인수위원장···'무엇을, 어떻게'가 해답이다
- [김국헌의 직필] 하라 세쓰코와 맥아더, 그리고 역사인식
- [김국헌의 직필] 성공적인 국정은 관료 장악에 달려있다
- [김국헌의 직필] 남북 문화공동체 회복은 통일의 선결과제
- [김국헌의 직필] 역대총리 성적? JP 김황식 강영훈 이한동 이해찬 이회창 노신영···
- [김국헌의 직필] 통일한국의 수도로 '교하'를 떠올리는 까닭은?
- [김국헌의 직필] 말 한마디의 '무거움'과 '무서움'
- [김국헌의 직필] 박근혜의 '책임총리제' 성공하려면
- [김국헌의 직필] 박정희 '국민교육헌장'과 박근혜 '교육대통령'
- [김국헌의 직필] 마쓰시다 정경숙과 노다 전 총리
- [김국헌의 직필] 어설픈 독도 전문가들
- [김국헌의 직필] 안보·통일 아우르는 '국가안보실'로 대전략 수립해야
- [김국헌의 직필] '사랑받는 대통령'의 조건
- [김국헌의 직필] 박근혜와 '걸프전 영웅' 슈와르츠코프
- [김국헌의 직필] 박근혜, 통일대통령을 꿈꾼다면···
- [김국헌의 직필] 군통수권자 박근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