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루타크 영웅전에 보면, 페르시아 대군의 공격 앞에 창황망조(蒼黃罔措)한 그리스 사람들에게 나무 벽을 의지하라는 델포이의 신탁(oracle)이 나오자 알키바아데스가 이는 배를 뜻하는 것이라고 해석하고 해군으로 페르시아군에 대적하기로 전략을 세워 승리를 거둔다. 이처럼 신탁은 그리스인들이 의지할 수 있는 최종적 권위였는데 당대 현인의 지혜를 신탁의 방법으로 제시한 것일 것이다.
대법관과 헌법재판관은 우리 사회의 신탁이어야 한다. 그냥 고급 법관이 아니다. 이동흡 헌법재판소장 지명자는 한마디로 ‘공사의 구분을 못하는 인간’이어서 표결에 부칠 가치도 없다는 평결(評決)이 나왔다. 대부분의 국회의원 가운데 지명자 이상의 도덕성을 갖춘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지명자는 예수와 같이, “죄 없는 자가 돌로 치라”고 하고 싶었을 것이다. 사실 이 사회에 그를 비판할 자는 아무도 없다. 비판해야 하는 것이 기능이니 비판했을 따름이다. 이번 해프닝은 우리 사회에서 가장 우수하다고 하는 법조인들의 도덕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김용준 전 헌재소장의 총리 지명 자진 사퇴 소식이 나왔다. 오호 애재(哀哉)라!
영국에서는 판사는 법정에서 My Lord라 부른다. 미국에서는 대칭으로는 Your Honor라고 하며 3인칭으로는 Mr. Justice라 부른다. 서구사회에서 법조인은 이처럼 절대적인 권위를 갖는다. 대법관과 헌법재판관은 우리 사회에서 신탁을 내리는 사람이다. 이들은 완벽한 도덕적 권위를 가져야 한다. 대법관을 마치고 로펌에 가서 몇 년 동안에 수십억원을 버는 것이 과연 보통 사람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가? 그들의 변론이 수십억 가치가 있는 절묘한 이론에 바탕을 둔 설득력이 있어서인가? 아마 전관예우로 죽을 자를 살리고, 뺏기게 되어 있는 땅을 찾는 수고비로 받은 대가일 것이다.
‘법조 3륜’이라 함은 판사, 검사, 변호사 군(群)을 말한다. 여기에 당연히 법학교수를 포함하여야 한다. 불문헌법을 택하고 있는 영국에서는 상원이 최고법원이다. 대법원이 따로 없다. 상원의장은 대법원장이며, 동시에 법무장관(Lord Chancellor)이다. 상원에서 고도의 법리적 판단을 내리는데?옥스퍼드대, 캠브리지대 법학 교수의 판단도 묻는다. 우리의 헌법학회장, 형법학회장, 민법학회장의 한마디도 이와 같은 무게를 가져야 한다.
대법관, 헌법재판관은 조선시대 재야의 산림(山林)과 같은 권위를 가져야 한다. 괴산에 반거(盤居)한 송시열의 한마디는 바로 법이었다.?조선은 이러한 정신으로 500여년을 지탱해왔던 것이다.? 사회의 신탁 역할을 해야 할 법조인들이 법률을 다루는 전문가에 지나지 않다면 조선 시대에 형률(刑律)을 다루는 아전(衙前)과 다름이 없다. 우리 법조인들은 이런 아전 대접을 자초할 것인가?
보수는 사회의 정통 가치를 보존하고 선양하는 기능을 갖는다. 진보는 새로운 가치를 모색하고 창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천민자본주의에 천민민주주의까지 엉켜서 사회가 무척이나 어지럽다. 우리 조상들에게 양반은 내성외왕(內聖外王)의 정신과 풍모를 가꾸는 것이어야 했다. 이번 소동을 일과성 충격에 머무르지 않고 전 국민, 특히 지도층의 일대 도덕적 각성의 계기로 삼는다면 전화위복이 될 것이다.
Related Posts
- [역사속 오늘 7월2일] 1961 헤밍웨이 권총자살, 1988 정기승 대법원장 임명동의안 부결
- [김국헌의 직필] '김일성 족적' 알면 '3대세습 비결' 보인다
- [김국헌의 직필] "창이 한발 짧으면, 한걸음 앞으로 나가라"
- [김국헌의 직필] 대통령의 참모 장악법 "전화 5번 울려도 안받으면 잘라라"
- [김국헌의 직필] DMZ, 남북관계 새 장 여는 통로로 ‘최적’
- [김국헌의 직필] '정보기관스캔들' 명해결사 레이건
- [김국헌의 직필] 영국의 제국 경영술
- [김국헌의 직필] 박대통령, '박정희 정보기관 악용' 답습해선 안돼
- [김국헌의 직필] 유럽 위기에서 배워야 할 것들
- [김국헌의 직필] 동맹간 신뢰가 중요한 이유는?
- [김국헌의 직필] 한국외교, '삼각편대 전략'으로 나아가야
- [김국헌의 직필] '지방의원 보좌관제' 될 말인가?
- [김국헌의 직필] 박근혜가 대처에게 배워야 할 것들
- [김국헌의 직필] 북-미 빅딜
- [김국헌의 직필] 햇볕정책과 '아편론'
- [김국헌의 직필] 장수왕의 평양, 김정은의 평양
- [김국헌의 직필] 북의 '하이브리드전략'에 맞설 대전략은?
- [김국헌의 직필] 팀워크가 중요한 이유
- [김국헌의 직필] 어떻게 이룩한 정부인데…
- [김국헌의 직필] '혈액형청문회' 그리고 남재준과 유인태
- [김국헌의 직필] '아시지의 聖' 교황 프란치스코와 피겨여왕 김연아
- [김국헌의 직필] '장군골프사건'이 문제되는 또다른 이유
- [김국헌의 직필] '행정의 달인' 고건의 대북관을 보며
- [김국헌의 직필] 국민이 바라는 장군이란?
- [김국헌의 직필] '정치적 천재' 달라이 라마와 중국 군관의 '호사'
- [김국헌의 직필] "MD 프로젝트 더 미룰 수 없다"
- [김국헌 칼럼] 북핵, 중국도 위협할 수 있다
- [김국헌의 직필] '국회선진화법'이라는 괴물
- [김국헌의 직필] 중국이 박근혜 주목하는 이유···“자식 양육은 국가대사”
- [김국헌의 직필] 중국의 속셈과 주한미군
- [김국헌의 직필] 청와대 3실장(비서·경호·안보)에게 바란다
- [김국헌의 직필] 지금 '제헌 정신'을 돌아보는 이유
- [김국헌의 직필] 박근혜가 박정희한테 꼭 배워야 할 것은?
- [김국헌의 직필] 인재 안 키우면 나라의 미래 없다
- [김국헌의 직필] 남한 핵무장으로 북핵 대응한다고?
- [김국헌의 직필] 북핵해결을 위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 [김국헌의 직필] 핵전략 외교관에만 맡겨선 안돼
- [김국헌의 직필] 노태우와 연좌제, 그리고 인사청문회
- [김국헌의 직필] '박근혜정부' 인수위의 패착들
- [김국헌의 직필] 한미연합사 해체 연기가 북핵 위기 '방어선'
- [김국헌의 직필] '비서실장'이라는 자리
- [김국헌의 직필] '선거의 여왕' 통치는 초년병···박근혜의 해답은 어디?
- [김국헌의 직필] 과학전공 박근혜가 나로호 성공에서 배워야 할 것들
- [김국헌의 직필] "감사원은 누가 감사해야 하나"
- [김국헌의 직필] 키신저, 주은래 같은 '지략가' 어디 없소?
- [김국헌의 직필] 대등한 외교
- [김국헌의 직필] 차안에서 '하회' 기다리는 인수위원장···'무엇을, 어떻게'가 해답이다
- [김국헌의 직필] 하라 세쓰코와 맥아더, 그리고 역사인식
- [김국헌의 직필] 성공적인 국정은 관료 장악에 달려있다
- [김국헌의 직필] 남북 문화공동체 회복은 통일의 선결과제
- [김국헌의 직필] 역대총리 성적? JP 김황식 강영훈 이한동 이해찬 이회창 노신영···
- [김국헌의 직필] 통일한국의 수도로 '교하'를 떠올리는 까닭은?
- [김국헌의 직필] 말 한마디의 '무거움'과 '무서움'
- [김국헌의 직필] 박근혜의 '책임총리제' 성공하려면
- [김국헌의 직필] 박정희 '국민교육헌장'과 박근혜 '교육대통령'
- [김국헌의 직필] 마쓰시다 정경숙과 노다 전 총리
- [김국헌의 직필] 어설픈 독도 전문가들
- [김국헌의 직필] 안보·통일 아우르는 '국가안보실'로 대전략 수립해야
- [김국헌의 직필] '사랑받는 대통령'의 조건
- [김국헌의 직필] 박근혜와 '걸프전 영웅' 슈와르츠코프
- [김국헌의 직필] 박근혜, 통일대통령을 꿈꾼다면···
- [김국헌의 직필] 군통수권자 박근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