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박근혜 당선인께 주말레저농원을 제안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2013년 2월25일 서울 국회의사당에서 열린 제18대 대통령 취임식에서 연설하고 있다. <사진=로이터/뉴시스>

 

제18대 새 정부 출범을 맞아 국민에게 희망과 삶의 보람을 안겨다줄 ‘국민 행복’ 프로젝트를 제안한다.

본 제안의 핵심은 국민 스스로가 자신과 가족의 행복성취를 위해 새로운 미래형 ‘주말레저농원’ 생활을 통하여 희망과 꿈을 이루어내는 프로젝트다.

돗자리만한 ‘주말농장’은 도시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런 형태가 후발산업의 유물이다. 우리주변에는 분야는 각기 다르지만 이와 같은 비효율적인 후진성이 많이 산재돼 있다. 그러나 아무도 문제를 미래형으로 바꾸려 하지 않는다.

본 프로젝트는 기존 ‘주말농장’ 개념이?아닌 ‘주말레저농원’ 이다. 움츠렸던 청운의 꿈을 마음껏 산촌 초원에서 펼치는 야심찬 레포츠를 앞세워 씨 뿌리고 밭 가꾸는 일이다. 해봐야 안다. 땅과 같이하면 인성이 근본부터 바뀐다.

돈이 적게 드는 ‘주말레저농원’이다. 100평의 토지를 기준으로 할 때 취득 시에는 1000만~2000만 원, 임대 시는 1년에 30만~50만원에 농원주인이 될 수 있다. 50평 농원도 충분하다.

현 정부 시책 중 중앙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녹색농촌 체험 마을’ ‘귀농사업’ ‘체제형 주말농장’ ‘주말농장’ ‘다목적캠핑장’ ‘도·농 녹색교류사업’ ‘도시민 농촌체험’ 등?수많은 사업을 막대한 국비를 써가며 시행하고 있다.

우리 보통 국민에게는 이 사업들이 피부에 와 닫고 행복을 느끼게 하는 일은 거의 없다.

본 사업은 국가예산이 거의 안 드는 사업 구상(안)이다. 그러나 그 파생 효과는 경제적인 것 외에도 국민행복 증진에 대한?계량을 불허하는 르네상스적 행복부흥의 역사가 이루어질 것이다. 국민 스스로 의식개혁과 행복을 추구하는 본능적 욕구심을 선진화문화로 계몽하는 체계적 추진이 요건이다.

본 프로젝트를 철저히 검토해 시행한다면, 위의 예산절약은 아마도 대단히 큰 금액이 될 것이다. 그 예산을 당장 국민이 절실히 필요로 하는 곳으로 편성 충당할 수 있다.

‘국민행복’ 제안: 우리는 왜 불행한가?

“성공했다고 행복한 게 아니라 행복해야 성공한 것이다”

우리는 일제치하를 벗어나 6?25전쟁, 냉전시대의 대혼란을 겪으면서 보릿고개의 굶주림을 근근이 참으며 제3공화국의 강력한 경제개발추진과 새마을운동을 통하여 세계에서 유래 없는 기적을 이루어냈다.

조국을 떠나 서독에서 가족을 그리며 눈물로 번 달러를 고국에 송금하여 외환위기를 넘기게 한 이야기는 2008년 9월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보고서를 통해, 파독 광부와 간호사의 애국 공로를 공식 인정하기에 이른다.

‘하면 된다’는 정신으로 중동의 작렬하는 사막에서 또는 월남의 전쟁터를 누비며 목숨을 담보로 주야를 무릅쓰고 일한 근로자들의 노력 덕분에 1960~1970년대의 경제난을 극복하였다.

한편 국내 근로자들은 작은 보수를 참고 가족을 보살피며 악조건의 환경에서 몸을 던져 조국건설에 큰 공을 세웠다.

본인은 생생하게 기억한다. ‘박정희 대통령’이 파독광부·간호사와 마주하고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 지금도 나의 가슴을 친다. 박대통령이 서독에서 고생하는 광부와 간호사에게 45년 전 보낸 신문에 실린 편지를 떠올리며 ‘힘들 때마다’ 기억 속의 연민으로 조국을 다시 떠올린다.

우리 국민들은 어려운 시련이 닥칠 때마다 지하 1000m 막장에서 사투하는 광부의 정신으로 다시 일어섰다.

한편 우리는 끊이지 않는 정쟁(政爭)과 사회풍파(社會風波) 속에서도 선진산업화와 무역확대를 온 국민의 피와 땀으로 성공적으로 이끌어왔다.

‘총체적 행복’ 위해 정부와 국민 함께 고민해야

하지만 새 정부가 출범하는 지금, 미래의 사정은 전과 판이하다. 지난 40여 년간 경제성장은?연 평균 6.7%인데 비해 앞으로는 2% 미만의 저성장을 예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용확대를 위시해 민생해결과 복지, 양극화해결 등 온 국민이 바라는 희망을 무엇으로 채워 나가야 할지 어려운 문제가 산적해 있다.

치열한 국제경쟁 속에서 ‘미래전략사업’을 높은 단계로 완성시켜 나가야 하는 어려운 상황 아래 그 머나먼 국민행복을 이루어내야 할 절대 소명의 시대를 맞은 것이다.

우리는 지금 세계 10위권의 수출국 반열에 올랐고,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를 넘어섰다. 그런데도 국민의 총만족도(GNS)와 국민행복도(GHP)는 OECD 36개 국가 중 24위에 머물러 있다.

영국에 본부를 둔 유럽 신경제재단(NFF)의 지난해 국가별 행복지수 조사에서 한국은 143개국 중? 68위에 그쳤다.

이 조사에서 히말라야 산자락에 위치한 작은 나라인 ‘부탄왕국’의 1인당 국민소득은 2000달러에 불과하지만 국민행복지수는 당당히 1위를 차지했다. 국민의 97%가 행복하다고 답하여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유엔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행복지수는 세계 156개국 중 56위에 머무르고 있다. 우리나라에 비하여 경제수준이 크게 떨어지는 태국 52위, 말레이시아는 51위여서 그 나라에도 뒤진다. 우리는 경제성장은 이뤘지만 국민들이 행복하다고 느끼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갑기만하다.

오직 국민의 ‘총체적 행복’을 위해 정부와 국민이 혼연일체가 되어 ‘행복’을 만들어 나가야 하는 중대한 시점에 놓여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