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바로 보는 시간부터 갖자
누구나 성공하기를 바란다. 그러나 누구는 성공을 하고 누구는 성공하지 못한다. 누구나 성공을 하겠다고 다짐을 하지만 성공을 위해 자신을 바꿀 생각은 하지 않는다. 누구나 부자가 되길 원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은 부자가 될 수 없는 습관을 갖고 산다.
그러나 그 습관을 바꾸려 하지 않는다.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럴사한 이유를 들어 변명한다. 그러면서도 그것이 변명이라고 말하지 않는다. 각종 책이나 언론에서도 변화하라고 달구친다. 여러 성공 사례를 들어가면서 왜 변하지 않는가? 성화를 댄다.
한편으로는 욕심을 버리고 현실에 만족하라고 한다. 결국 이렇게 하여 스스로의 모습을 잃어버리고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솔직히 말하면 우리가 지금의 조건과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렇게 이야기한다. 그냥 그렇게 살다가 갈 거라고···.?하지만 그것은 우리의 본심은 아닐 것이다.
<한국인, 가치관은 있는가(홍사중)>,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최준식)> 이 두 권의 책은 한국인의 문화적 의식구조를 진단한 책이다. 이 책에서 ‘한국인의 미운 쪽 얼굴’ 즉, 우리가 고쳐야 할 부분을 추려 본다.
△집을 못 떠나는 한국인 △내 가족만 중요시 △내 새끼 유일주의에 망가진 교육현장 △우리를 너무 좋아하는 우리 △남을 배려하지 않는 △혼자 있기가 두려운 △윗사람은 체면을, 아래 사람은 눈치를 △아래위를 따져야 시원한 △남과 다른 것을 못 참는 △낯선 것을 두려워하는 △불확실성 회피심리 △열 잘 받고 화 잘 내는 △신명에 둘째 가라면 서러운 △감 잡는데 귀신인 △검증 없는 비과학적 사고체계 △유연성이 부족한 △노는 데는 귀신인 △무질서 의식 △대강 대강 괜찮아 적당주의 △대중심리에 휘말리는 몰지각 △실험 없는 삶 △우물 안 개구리 △허풍과 허장성세 △교양·매너·예의 부족 △너무나도 화끈한 종교 문화 △집안과 집 밖에서의 이분구조생활…
지금까지 ‘잘살아 보자’고 앞만 보고 달려 왔지만 이제는 철저하게 우리 자신을 돌아봐야 한다.
‘우리 것은 무조건 좋은 것이여’하는 사고는 객관적이지 못한 아전인수이다. 우리 자신과 우리 문화에 대한 진정한 비판과 사랑하는 의식 없이는 올바른 ‘세계화’(정치·경제를 포함한 문화의 Grand theory, 그리고 Entropy 증가 일로의 문명성찰)는 불가능하다.
세계 속에서 공인되는 우리의 문명수준과 녹색생활의 행복 척도로 가늠하되 공동생활을 보다 품위 있게 누릴 수 있는 국민 개개인의 의식구조 향상이 제일 시급한 과제이다. 밖에서 찾지 말고 답은 우리 안에 있다. 틀을 깨자.
Related Posts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낙엽은 죽음으로 가득차 운다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가던 길 멈춰 서서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애틋한 향수에 젖은 풀벌레 페스티벌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편한 삶과 전쟁을 선포하자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막바지 더위를 이기는 법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홋카이도를 즐기는 몇 가지 방법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자연이 아이들 키운다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꽃, 나무, 새가 주는 교훈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가정도 일종의 '주식회사'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고택의 여백'에서 부는 바람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걸음을 멈추면 생각도 멈춘다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문화자본 취향, '일상 습관'이 결정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자연의 사람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서로 의존하지 않는 건강한 가족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샘골 레저농원서 만난 고3수험생②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샘골 레저농원서 만난 고3 수험생①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87살 내게 정년은 없다. 오늘이 가장 젊은 날!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이장무 전 서울대 총장님께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왜 혼자 사냐건 웃지요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봄의 전령 애탕쑥과 얼레지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86세 할아버지와 서른살 손자의 筆談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주말레저농장, '적은 비용으로 더 행복하게'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행복의 속삭임’ 가족 속에 있다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박근혜 당선인께 주말레저농원을 제안합니다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산을 좋아하던 마라토너 김태형 박사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흙과 사는 삶, 지루하지만 가장 옳아
- [박상설의 자연속으로] 아득한 숲의 소리 '트로이메라이'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눈, 송송이 날아오는 춘삼월 나비 같고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오지 산속에 숨은 나만의 雪國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주한 덴마크대사관의 녹색운동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한심한 화천군 산천어 축제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개인 문제가 국가 탓이라고?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길 없는 들판에 서니 모든 게 길이 되고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산에 오르는 피아노 선생님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주말영농과 레저생활? "어렵지 않아요"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작금의 캠핑문화를 개탄하며
- [아시아엔 1주년 축하메시지] 자연 속으로 '박상설' 칼럼니스트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가을밤, 외로운 밤, 벌레 우는 밤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가장이 변해야 세상이 변한다"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잊혀진 화전민을 찾아서⑤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화전민의 딸', 머슴에게 시집보내던 날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잊혀진 화전민을 찾아서③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잊혀진 화전민을 찾아서②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잊혀진 화전민을 찾아서①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꿈꾸는 자는 실험한다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고비사막, 알래스카, 그리고 뉴욕 할렘가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내가 캠핑마니아가 된 까닭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좋음’과 ‘행복’은 집 안에 살지 않는다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러시아 '다차'를 벤치마킹하자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주말레저농원…'생활의 혁명'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휴가철만 즐기기엔 아쉬운 '캠핑'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학교 그만두라' 했던 자유인의 외침
- 귀임 NHK 서울지국장 "통일 한반도에서 다시 특파원 하고파"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과거와의 단절없인 원하는 삶 살 수 없어”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강원도 정선 골짝 귀촌청년의 행복②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강원도 정선 골짝 귀촌청년의 행복①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쏟아지는 별빛 속, 내 인생은···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오대산 계곡에서 임진강까지 '뚜벅뚜벅'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가방 든 여인'과 걷는 철길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완벽하게 빈, 나만의 시간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마라톤, 실존의 처절한 드라마
- [박상설의 자연 속으로] 아련한 봄산의 기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