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앞에서 이 보이며 웃으라고?…’슈퍼갑질’에 대항하라
백화점이 문을 여는 시간에 들어가면 직원들이 쭉 줄을 서서 90도 각도로 인사를 한다. 기분이 썩 좋지는 않다. 나에게 인사하는 직원이 출근할 때 “어머니 회사 다녀오겠습니다”라고 깍듯이 인사하고 나온 직원이라면 괜찮겠다. 하지만 요즘 젊은 직원들이라면 “왜 늦게 깨웠어!”라며 짜증내며 나온 직원이 더 많지 않을까? 그들이 하는 절은 나를 향한 절이 아니다. 내 주머니에 절을 하는 것이다.
어릴 때 선진국에 가면 친절하다고 배웠다. 우리도 선진국이 되려면 친절사회가 되어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외국에 나가보면 우리나라만큼 친절을 강조하는 곳이 없다. 손님은 왕이다? 민주 사회에 왕은 무슨 왕. 유럽에 가보면 안다. 주인과 손님 사이의 수평적 관계가 깨지지 않는 한도에서의 친절, 딱 거기까지다. 그 이상이면 선진국 아니다.
존재감 낮을수록 우월성 과시 욕구
나에게 자세를 낮추는 사람이 누구에게나 늘 자세를 낮추며 살아갈 수 있을까? 사람은 과도하게 자세를 낮추면 불안해진다. 내가 무리에서 중요한 사람이 아니라는 것은 그 만큼 생존가능성이 낮다는 뜻이다. 인간의 본능은 몇 천년으로 쉽게 안 바뀐다. 국민연금에, 실업수당이 있는 나라에서 산다고, 동굴 속에서 살 때 형성된 본능이 쉽게 바뀌지는 않는다. 나의 존재감이 낮아지면 코티졸이라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팍팍 분출되기 시작한다. 이건 진잔트로프스인이나 네안네르탈인이나 현대인이나 다 똑같다. 다른 누군가와의 관계에서 자신의 우월성을 과시해서 낮아진 존재감을 회복해야 살 수 있는 것이 인간이다.
아이들은 폭력으로 이를 해결한다. 경쟁을 강조하면 폭력성은 커진다. 초등학교에서 석차를 매기는 유일한 나라에서 학교폭력이 심하고, 왕따가 심해지는 것은 당연한 결과다. 어른들은 ‘진상’을 부려서 이를 해결한다. 오늘 진상 손님 앞에서 고개를 숙였던 직원은 다른 어느 업소에 손님으로 가서 진상을 부리며 자신의 우월성을 확인한다. 진상짓의 폭탄돌리기다.
‘갑질’의 악순환
한때 이가 보이게 웃는 웃음을 강요하던 시절이 있었다. 영업직 교육에서 빠지지 않는 내용이었다. 인간은 웃으면 긴장이 풀리게 되어 있다. 그런데 손님에게 조그만 실수도 하지 말라고 하면서 웃으란다. 긴장하며 긴장을 풀라고 한다. 감정의 모순이 생긴다. 우울증이 오는 것이 당연하다. 게다가 입을 벌리며 웃으란다. 원래 인간의 자연스러운 웃음은 눈웃음에서 시작된다. 눈은 뇌의 상태를 가장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기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업을 하며 눈웃음을 짓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입을 벌리라고 강요를 하는 것이다. 웃지 않는 눈에 웃는 입은 섬뜩하다. 김기덕 감독의 영화 <피에타>에 그런 웃음이 나온다. 복수를 하러 간 조민수가 아들의 원수인 이정진 앞에서 그렇게 웃는다.
이런 잔인한 웃음을 강요하는 사람을 우리는 ‘갑’이라 부른다. 그런 잔인함을 감수하며 우울증에 빠져드는 사람을 ‘을’이라 부른다. 갑은 더 센 갑에게 을 노릇을 한 스트레스를 더 약한 을에게 풀고 있다. 센 갑 위에는 더 센 갑이 또 있다. 모든 갑질의 꼭대기에는 슈퍼갑이 있다.
슈퍼갑질에 동의하는가? 아니라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작은 일부터 하자. 90도로 절을 하는 백화점에는 가지 말자. 꿇어 앉아 서빙을 하는 음식점에도 가지 말자. 종업원이 편하게 목례를 하며 자연스러운 눈웃음을 짓는 업소에 가자. 그것이 세상을 바꾸는 작은 실천이다. 게다가 그 실천에는 보너스가 따른다. 그런 업소는 최소한 바가지를 씌우는 곳은 아니다. 업소 주인이 손님에게 한 푼이라도 더 우려내려 하는 곳의 종업원에게는 그런 자세가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Related Posts
- [김명근 칼럼] 담뱃값 인상분 이렇게 쓰자
- [김명근 칼럼] ‘티베트 만수, 나마스테!’
- [김명근 칼럼] 개인은 착한데 왜 집단은 잔혹할까
- [김명근 칼럼] 진실 호도하는 ‘진정성’의 함정
- [김명근 칼럼] 악다구니 주먹 vs. 점잖은 총칼
- [김명근 칼럼] ‘자신의 영역’에 집중하라
- [김명근 칼럼] 군자의 의리는 헤어짐에서 빛난다
- [김명근 칼럼] 믿을 수밖에 없는 믿음은 재앙이다
- [김명근 칼럼] 트라우마에 대응하는 두 가지 방법
- [김명근 칼럼] ‘선입견’이란 함정에 빠진 우리의 뇌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⑩ “여성이 남성을 선택한다”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⑨ “다른데 통한다? 그래서 끌린다”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⑧ “이야기의 시작…진화”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⑦ “출발은 '자신'에 대한 사랑에서”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⑥ “대리만족…왜 위로하지 않고 비난할까”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⑤ “사랑하게 될까봐 헤어졌다…?”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④ “나의 이미지와 관계 이미지”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③ “사람마다 다른 심리적 거리”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② "애착, 사랑과 집착 사이"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① “타인의 감정을 함께 느끼다”
-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 “질투에서 벗어나는 방법”
-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⑮ “하나 뿐인 의자…질투심의 파괴력”
-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⑭ “권력자에 대한 요구, 정의감? 시기심?”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⑬ “시기심을 억제하는 방법”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⑫ "경쟁심+무력감=시기심"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⑪ "경쟁 강요할수록 학원폭력 심해져"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⑩ “시기심과 질투심의 차이”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⑨ “시기와 질투의 뿌리는 경쟁심”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⑧ “내 삶은 내가 주도한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⑦ “분노 조절? 적절히 행동하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⑥ “논리로 감정을 다스린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⑤ “분노를 덜 느끼려면…”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④ “스님과 신부님은 어떻게 '화풀이' 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③ “우리는 왜 분노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② “화를 낼까, 참을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① “사랑은 뇌에서의 '밀수'행각”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⑦ “어떤 메뉴가 먹힐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⑥ “안철수가 네거티브 선거 하지 않은 이유”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⑤ “정책선거가 왜 안 통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④ “朴·文·安, 롤모델? 신분효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③ “대선 때마다 나타난 '롤모델 효과'”
- [아시아엔 창간 1주년 축하메시지] '마음산책' 칼럼니스트 한의사 김명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② "단일화, 여-야 누가 유리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① "나는 이성적으로 투표하는 걸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⑧ "기질은 타고난다, 자율성을 키워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⑦ "소통?…마음의 여유, 경청과 용서"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⑥ "부모의 거부, 아이의 장점도 무너뜨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⑤ "부모의 통제? 아이는 무책임해진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④ "성공을 부르는…'자율성'"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③ "성공한 사람의 기질은 무난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② "내성적이고 예민? 고칠 수 없어"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① '나의 행동, 성격 반 학습 반'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⑧ '돈과 행복의 관계'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⑦ "주도성을 기르는 방법"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⑥ "칭찬도 지나치면 독"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⑤ "행복수첩을 적어라"
- 긍정의 힘 "웃어라, 상황은 달라진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③ "싱글벙글…좋은 일 있으시죠?"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② '야단맞으며 공부 잘할 수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