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짝짜~악짝 짝짝. 누가 시킨 사람도 없는데, 다들 붉은 티셔츠를 입고, 길바닥에 앉아서, 도대체 무슨 짓들을 한 것이었을까요? 벌써 10년도 더 지난 일이지만 아직도 그 때 생각을 하면 가슴이 벅차다는 사람도 있습니다. 뭐가 달라지는 거죠? 대한민국 대표팀이 월드컵 4강에 오르게 되면 살림살이가 좀 나아지나요? 우리 국민 모두가 훨씬 더 건강해지기라도 하는 건가요? 왜 그런 일들을 할까요?
국민들이 박찬호, 박세리에 쏟았던 감정은 확실히 애정입니다. 한류 열풍에 기뻐하고, 싸이 열풍에 즐거워하는 감정의 바닥에도 확실히 애정이 깃들어 있습니다. 이러한 종류의 사랑은 지난주까지 이야기했던 공감과 애착만으로는 설명이 잘 안 되는 부분이 있지요. 여기에는 대리만족 효과가 작용을 합니다. 대리만족 역시 사랑을 구성하는 뿌리 중의 하나라는 것이지요. 물론 공감이나 애착만큼, 또 다음에 이야기할 성욕만큼 중요한 구성요소는 아닙니다만, 때론 꽤 크게 작용하기도 합니다. 특히 자식이나 제자에 대한 사랑은 대리만족 효과를 빼고는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왜 인간은 대리만족에서 쾌감을 느끼는 것일까요? 개체의 이득만을 중요시하는 종과 집단의 이익을 함께 중요시하는 종은 어느 쪽이 더 번성하기 좋을까요? 당연히 후자겠죠? 그래서 오랜 진화를 거치며 모든 생물은 어느 정도는 집단의 이익을 중요시하는 속성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인간은 상상력이 강한 동물입니다. 그래서 집단의 번성을 돕는 기능도 인간의 특성에 맞춰 특별한 쪽으로 발달을 하게 됩니다. 내가 속한 집단의 누군가에게 벌어진 일을 내 자신의 일처럼 느낄 수 있게 진화를 한 것이지요. 이런 감정을 대리만족이라고 합니다.
대리만족 기능은 공감과 상당히 비슷한 면이 있지만, 조금 다른 면도 있습니다. 공감은 유전적으로 거리가 좀 멀어도 작용을 합니다. 애완동물에게도 작용하는 것이 공감이지요. 그러나 대리만족 효과는 확실히 유전적으로 거리가 가까울수록 강하게 작용을 합니다. 기쁨, 슬픔, 고통, 배고픔, 만족 등등의 단순한 하나의 감정이 쉽게 전이되는 것이 공감입니다. 하지만 대리만족은 훨씬 복잡한 상황에 대해서 내가 그 자리에 있는 듯한 상상이 가능할 때 느껴지는 감정입니다. 유전적인 거리가 멀어지면 상상이 발동되는 것이 약해지지요. 당연히 대리만족 효과도 줄어들게 됩니다.
성공의 경우에는 공감과 대리만족은 비슷하게 작용을 합니다. 실패의 경우는 좀 다릅니다. 내가 상대방에게서 느끼는 감정이 주로 공감일 때는 실패한 상대방에 대해서 위로나 격려를 하게 됩니다. 그러나 대리만족의 대상이 실패했을 때는 나 역시 좌절이나, 패배감을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위로가 필요한 상황에서 비난을 하게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아이들이 중요한 도전에서 실패했을 때 부모가 더 가슴이 아플까요? 아이가 더 가슴이 아플까요? 당연히 아이겠지요? 그런데도 위로보다 야단을 앞세우는 부모가 더 많습니다. 자신이 느낀 좌절감에서 벗어나고 싶어서 아이를 탓하는 것이지요. 아이가 다치고 들어오면 “아프겠구나”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먼저 나와야 합니다. 하지만 많은 부모가 “조심하지 그랬니”라는 말을 먼저 합니다. 국가대표 팀이 중요한 경기를 졌다는 기사에는 감독의 전술이 멍청했다느니, 누구는 제발 좀 빼라느니 하는 댓글들이 도배를 합니다.
대리만족은 조심해야 하는 감정의 하나입니다. 대상에게는 미움이나 비난으로 바뀌기 쉬운 감정입니다. 나에게는 나의 주체성을 흔들리게 만들기 쉬운 감정입니다. 또 집단이기주의에 빠지거나, 전체주의의 함정에 빠지기 쉽게 만드는 감정이기도 합니다. 이런 부분들을 다음 주에 좀 더 다뤄보도록 하지요.
Related Posts
- [역사속 오늘 4월9일] 1994 LA다저스 박찬호 메이저리그 첫 등판, 2013 개성공단 가동중단
- [김명근 칼럼] 군자의 의리는 헤어짐에서 빛난다
- [김명근 칼럼] 트라우마에 대응하는 두 가지 방법
- [김명근 칼럼] ‘선입견’이란 함정에 빠진 우리의 뇌
- [김명근 칼럼] ‘갑 위에 더 센 갑이…’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⑩ “여성이 남성을 선택한다”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⑨ “다른데 통한다? 그래서 끌린다”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⑧ “이야기의 시작…진화”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⑦ “출발은 '자신'에 대한 사랑에서”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⑤ “사랑하게 될까봐 헤어졌다…?”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④ “나의 이미지와 관계 이미지”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③ “사람마다 다른 심리적 거리”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② "애착, 사랑과 집착 사이"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① “타인의 감정을 함께 느끼다”
-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 “질투에서 벗어나는 방법”
-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⑮ “하나 뿐인 의자…질투심의 파괴력”
-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⑭ “권력자에 대한 요구, 정의감? 시기심?”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⑬ “시기심을 억제하는 방법”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⑫ "경쟁심+무력감=시기심"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⑪ "경쟁 강요할수록 학원폭력 심해져"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⑩ “시기심과 질투심의 차이”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⑨ “시기와 질투의 뿌리는 경쟁심”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⑧ “내 삶은 내가 주도한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⑦ “분노 조절? 적절히 행동하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⑥ “논리로 감정을 다스린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⑤ “분노를 덜 느끼려면…”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④ “스님과 신부님은 어떻게 '화풀이' 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③ “우리는 왜 분노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② “화를 낼까, 참을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① “사랑은 뇌에서의 '밀수'행각”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⑦ “어떤 메뉴가 먹힐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⑥ “안철수가 네거티브 선거 하지 않은 이유”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⑤ “정책선거가 왜 안 통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④ “朴·文·安, 롤모델? 신분효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③ “대선 때마다 나타난 '롤모델 효과'”
- [아시아엔 창간 1주년 축하메시지] '마음산책' 칼럼니스트 한의사 김명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② "단일화, 여-야 누가 유리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① "나는 이성적으로 투표하는 걸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⑧ "기질은 타고난다, 자율성을 키워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⑦ "소통?…마음의 여유, 경청과 용서"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⑥ "부모의 거부, 아이의 장점도 무너뜨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⑤ "부모의 통제? 아이는 무책임해진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④ "성공을 부르는…'자율성'"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③ "성공한 사람의 기질은 무난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② "내성적이고 예민? 고칠 수 없어"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① '나의 행동, 성격 반 학습 반'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⑧ '돈과 행복의 관계'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⑦ "주도성을 기르는 방법"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⑥ "칭찬도 지나치면 독"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⑤ "행복수첩을 적어라"
- 긍정의 힘 "웃어라, 상황은 달라진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③ "싱글벙글…좋은 일 있으시죠?"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② '야단맞으며 공부 잘할 수 있나'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①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공부가 즐거운 이유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공부가 즐거운 이유④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공부가 즐거운 이유③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공부가 즐거운 이유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