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도성…’적당한, 무난한 과제’를 줘라
사람은 상과 벌이라는 밖에서 주어진 동기보다는 자신이 무언가를 이루고자 하는 내재적 동기에 의한 행동에서 더 큰 기쁨을 느낍니다. 즉 주도성을 가진 사람이 인생을 더 즐겁게 산다는 것이지요. 내재적 동기가 강한 아이를 만들려면 어릴 때부터 신경을 써야 합니다. 아이의 발달 과정을 다룬 앞의 칼럼에서 36개월 이전의 아이에게는 아이의 행동에 어른이 일관된 반응을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드린 바가 있습니다. 핵심은 내가 내 행동에 의해 주변의 반응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 준다는 것이지요. 하지만 그 시기를 놓쳤다고 크게 실망하지는 마세요. 주도성은 선천적인 면보다는 후천적인 면이 더 커서, 자라면서 많이 바뀔 수 있으니까요.
아이의 내재적 동기를 강화시키려 할 때 가장 필요한 것은 자율성의 허용입니다. 자율성의 허용이라는 것은 그냥 “네 일은 네가 알아서 해”라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 나이에 적당한 과제를 주되, 방법은 자율에 맡기는 것. 그것이 자율성을 기르는 방법입니다. 어렵지요? ‘나이에 적절한’이라는 게…. 근사치로 좋은 것은 부모가 그 나이에 할 수 있었던 것에 조금 낮춰서 하는 정도면 바람직합니다. 즉 초등학교 3학년 아이면 부모가 초등학교 5학년 때 쯤에 그럭저럭 할 수 있었던 정도의 과제를 주는 것이지요.
왜 낮춰야 하냐고요? 사람은 누구나 긍정적인 것을 더 잘 기억합니다. 즉 자기가 기억하는 것은 자기가 잘 했던 것 위주로 기억하거든요. 실제 그 나이보다 더 잘했다고 기억하는 경우가 많지요. 그래서 조금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이건 직장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신이 고참사원 때 무난히 했던 과제라고 기억하는 정도가 대리급에게 시키기에 무난한 과제지요.
피드백은 ‘결과’ 아닌 ‘과정’의 정서적 평가
뭐 개요는 이 정도인데, 이제부터가 중요합니다. 자율이 잘못하면 아이를 더 심하게 위축시킬 수도 있거든요. 저희 한의원에 내원하는 틱 환자에 대해서는 부모 양육태도검사를 꼭 합니다. 검사를 해 보면 아이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고 너무 옥죄어서 틱을 만드는 경우가 많지요. 그런데 부모가 아이에게 상당한 자율성을 주는 데도 아이가 틱이 아주 심한 경우가 있습니다. 왜 그런 경우가 생기는 것일까요?
절대 기억하셔야 할 것이 “아이는 실패할 권리가 있다”는 것입니다. 아이는 배워야 합니다. 배우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은 시도입니다. 시도는 성공할 수도, 실패할 수도 있습니다. 실패하지 말라는 것은 시도하지 말라는 말과 같고, 아무것도 배우지 말고 바보가 되라는 말과 같습니다. 자율을 준다고 하면서 결과에 대해서 상과 벌로 통제하는 부모를 저는 함정 파는 부모라고 표현합니다. 아이의 발밑에 함정을 파는 부모의 아이는 걸음을 내딛지 않습니다.
물론 아이의 행동에 대해 피드백은 필요합니다. 아무런 피드백이 없다면 그건 방치지 자율의 허용이 아니니까요. 그런데 그 피드백은 과정의 평가가 되어야지, 결과의 평가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또 그 평가가 물질적인 형태가 되는 것 역시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아이의 행동에 대한 내 정서적인 반응. 그것이 아이에게 가장 적절한 피드백입니다.
사례 없이 내용 위주다 보니 좀 딱딱하네요. 예를 하나 들어봅시다. 위에서 말한 나이에 적절한 과제라는 단어에 대해서 어떤 생각을 하셨나요? 혹시 학습과 관련된 과제를 생각하겠지요? 아닙니다. 학습은 주도성이 길러지면 자연히 잘하는 것이지, 학습을 통해 주도성 기르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초등학교 5학년이면 “엄마 바쁜데 니가 라면 좀 끓여 줄래?” 이런 것이 제가 말하는 적절한 과제입니다. 그리고 그 라면을 맛있게 먹어주는 것. 이게 적절한 피드백입니다. “공부해라, 공부해라”라고 매일 외치는 것보다 분리수거를 맡기고, 망가진 물건을 고치게 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아이의 성적을 더 올린다는 것이 믿기 힘드시죠? 하지만 그게 사실입니다. 학습 역시 내재적 동기가 강화된 아이들이 더 좋은 결과를 얻으니까요. 물론 적절한 피드백이 따를 때 이야기지요.
Related Posts
- [김명근 칼럼] 군자의 의리는 헤어짐에서 빛난다
- [김명근 칼럼] ‘갑 위에 더 센 갑이…’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⑩ “여성이 남성을 선택한다”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⑨ “다른데 통한다? 그래서 끌린다”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⑧ “이야기의 시작…진화”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⑦ “출발은 '자신'에 대한 사랑에서”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⑥ “대리만족…왜 위로하지 않고 비난할까”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⑤ “사랑하게 될까봐 헤어졌다…?”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④ “나의 이미지와 관계 이미지”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③ “사람마다 다른 심리적 거리”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② "애착, 사랑과 집착 사이"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① “타인의 감정을 함께 느끼다”
-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 “질투에서 벗어나는 방법”
-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⑮ “하나 뿐인 의자…질투심의 파괴력”
-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⑭ “권력자에 대한 요구, 정의감? 시기심?”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⑬ “시기심을 억제하는 방법”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⑫ "경쟁심+무력감=시기심"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⑪ "경쟁 강요할수록 학원폭력 심해져"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⑩ “시기심과 질투심의 차이”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⑨ “시기와 질투의 뿌리는 경쟁심”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⑧ “내 삶은 내가 주도한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⑦ “분노 조절? 적절히 행동하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⑥ “논리로 감정을 다스린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⑤ “분노를 덜 느끼려면…”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④ “스님과 신부님은 어떻게 '화풀이' 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③ “우리는 왜 분노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② “화를 낼까, 참을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① “사랑은 뇌에서의 '밀수'행각”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⑦ “어떤 메뉴가 먹힐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⑥ “안철수가 네거티브 선거 하지 않은 이유”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⑤ “정책선거가 왜 안 통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④ “朴·文·安, 롤모델? 신분효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③ “대선 때마다 나타난 '롤모델 효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② "단일화, 여-야 누가 유리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① "나는 이성적으로 투표하는 걸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⑧ "기질은 타고난다, 자율성을 키워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⑦ "소통?…마음의 여유, 경청과 용서"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⑥ "부모의 거부, 아이의 장점도 무너뜨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⑤ "부모의 통제? 아이는 무책임해진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④ "성공을 부르는…'자율성'"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③ "성공한 사람의 기질은 무난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② "내성적이고 예민? 고칠 수 없어"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① '나의 행동, 성격 반 학습 반'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⑧ '돈과 행복의 관계'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⑥ "칭찬도 지나치면 독"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⑤ "행복수첩을 적어라"
- 긍정의 힘 "웃어라, 상황은 달라진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③ "싱글벙글…좋은 일 있으시죠?"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② '야단맞으며 공부 잘할 수 있나'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①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공부가 즐거운 이유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공부가 즐거운 이유④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공부가 즐거운 이유③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공부가 즐거운 이유②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공부가 즐거운 이유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