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기억은 ‘감정’에 의존… “6세 이하에게 문자 학습은 무모”
배우 장동건씨의 키가 178cm라는 것은 아주 열렬한 팬이 아니라면 잘 외우지 못하겠죠. 하지만 이런 경우라면 어떨까요? “어 짜~아식 생긴 것도 나보다 잘 생겼으면서 키도 나보다 4cm나 크네” 이런 감정을 강하게 느꼈던 적이 있다면 그의 키가 178cm라는 것을 꽤 오랫동안 기억할 것입니다.
사람은 감정과 결부된 것은 잘 기억하고, 오랫동안 기억합니다. 인간의 진화 과정을 생각해보면 이건 당연한 일입니다. 중요한 일은 공포든, 기쁨이든 강한 감정 반응을 이끌어냅니다. 역으로 강한 감정 반응을 이끌어 냈던 일은 중요한 일인 경우가 많지요. 기억할 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감정은 기억을 돕도록 진화가 된 것입니다. 맛있는 과일이 잔뜩 열린 곳을 발견한 기쁨은 그 곳을 잘 기억했다가 그 다음해에 또 찾아 올 수 있게 해 주고, 맹수와 맞닥뜨렸던 공포는 그 곳을 잘 기억해서 피해 다니게 만들어 줍니다.
기억의 감정 의존성은 원시인들이 현대인보다 훨씬 더 강했겠지요? 인간의 뇌 발달 순서는 진화의 순서를 밟아갑니다. 그래서 아이들은 어른보다 기억의 감정 의존성이 훨씬 높습니다. 조금 더 전문적으로 설명하자면 측두엽이 제대로 발달되기 전에는 기억의 감정 의존성이 매우 높습니다.
어른들은 중요하다는 느낌이 들면 기억하려 합니다. 그런데 그 중요성이라는 것은 일차적인 감정이 아닙니다. 많은 경험을 통해 정리된 일종의 개념입니다. 인간이 다른 동물보다 뛰어난 것은 개념을 다룰 수 있기 때문이고, 이 능력은 측두엽이 자라면서 생겨나는 능력이라는 것이지요. 즉 측두엽이 발달하기 전 단계인 6세 이하의 아이들은 중요성을 기준으로 기억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아이들은 감정 자극이 얼마나 되었는가를 기준으로 기억을 합니다. 이런 원리가 지난 번 칼럼에서 말씀 드렸던 6세 이하 아이에게 문자나 글자를 가르치는 것이 무모한 짓이라는 내용의 이론적 배경입니다.
야단맞고 배운 아이들에게 공부는 ‘피하고 싶은 기억’
아이들은 재미있던 것을 주로 기억합니다. 그래서 놀이를 통해 배운 것을 학습을 통해 배운 것보다 훨씬 더 잘 기억합니다. 다양한 감각적 자극이 감정적 자극으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 6세 이하의 아이에게는 가장 중요한 영재 교육이라는 것이지요. 몇 년전 교육방송에서 6개월간 피아노를 가르친 아이가 6개월 간 컴퓨터를 가르친 아이보다 두뇌 발달이 더 잘되었다는 내용을 본 적이 있습니다.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두뇌 발달과는 전혀 다른 결과지요? 하지만 아이의 두뇌 발달 과정을 이해하면 당연한 결과입니다.
3~6세 아이의 교육의 핵심은 두 가지 뿐입니다. 공감각적 교육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하나입니다. 색깔, 소리, 냄새, 촉감 등이 함께 어우러진 교육이 핵심입니다. 두 번째는 즐겁게 배워야 한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학습 분위기에서 배운 것이 아니라, 놀이의 분위기에서 배운 것이 머리에 남고 두뇌를 발달시킬 수 있다는 것이지요.
야단쳐가며 가르치는 것은 어떨까요? 공포와 관련된 기억이니까 아무 감정을 안 일으키는 것보다는 기억에 남겠지요. 어떤 형태로 남을까요? 피해야 될 것, 호랑이가 출몰하는 산길 같은 존재. 그렇게 기억에 남겠지요. 만 4세부터 학습지에 시달린 많은 아이들이 공부란 어떻게든 피해 도망가야 할 것으로 느끼는 이유를 이해하시겠지요?
Related Posts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⑨ “다른데 통한다? 그래서 끌린다”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⑧ “이야기의 시작…진화”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⑦ “출발은 '자신'에 대한 사랑에서”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⑥ “대리만족…왜 위로하지 않고 비난할까”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⑤ “사랑하게 될까봐 헤어졌다…?”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④ “나의 이미지와 관계 이미지”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③ “사람마다 다른 심리적 거리”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② "애착, 사랑과 집착 사이"
- [김명근의 마음산책] 사랑이야기① “타인의 감정을 함께 느끼다”
-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 “질투에서 벗어나는 방법”
-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⑮ “하나 뿐인 의자…질투심의 파괴력”
-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⑭ “권력자에 대한 요구, 정의감? 시기심?”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⑬ “시기심을 억제하는 방법”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⑫ "경쟁심+무력감=시기심"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⑪ "경쟁 강요할수록 학원폭력 심해져"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⑩ “시기심과 질투심의 차이”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⑨ “시기와 질투의 뿌리는 경쟁심”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⑧ “내 삶은 내가 주도한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⑦ “분노 조절? 적절히 행동하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⑥ “논리로 감정을 다스린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⑤ “분노를 덜 느끼려면…”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④ “스님과 신부님은 어떻게 '화풀이' 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③ “우리는 왜 분노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② “화를 낼까, 참을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감정 이야기① “사랑은 뇌에서의 '밀수'행각”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⑦ “어떤 메뉴가 먹힐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⑥ “안철수가 네거티브 선거 하지 않은 이유”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⑤ “정책선거가 왜 안 통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④ “朴·文·安, 롤모델? 신분효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③ “대선 때마다 나타난 '롤모델 효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② "단일화, 여-야 누가 유리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선거의 심리학① "나는 이성적으로 투표하는 걸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⑧ "기질은 타고난다, 자율성을 키워라"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⑦ "소통?…마음의 여유, 경청과 용서"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⑥ "부모의 거부, 아이의 장점도 무너뜨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⑤ "부모의 통제? 아이는 무책임해진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④ "성공을 부르는…'자율성'"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③ "성공한 사람의 기질은 무난할까?"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② "내성적이고 예민? 고칠 수 없어"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성격 이야기① '나의 행동, 성격 반 학습 반'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⑧ '돈과 행복의 관계'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⑦ "주도성을 기르는 방법"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⑥ "칭찬도 지나치면 독"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⑤ "행복수첩을 적어라"
- 긍정의 힘 "웃어라, 상황은 달라진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③ "싱글벙글…좋은 일 있으시죠?"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② '야단맞으며 공부 잘할 수 있나'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긍정의 힘①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공부가 즐거운 이유⑤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공부가 즐거운 이유③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공부가 즐거운 이유②
- [韓醫 김명근의 마음산책] 공부가 즐거운 이유①
아이를 키우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