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를 너무 빨아 통통하게 살이 부어 오른 모기는 잘 날지 못한다. 그러나 도무지 만족할 줄 모른다. 다시금 피를 빨아야 할 대상을 찾아 그 앞에 서성인다. 그 순간 양 손바닥에 맞아 피를 뿌리며 장렬히 ‘산화(散華)’한다.
최근 송영선 씨가 강남의 사업가, K 모 씨에게 여의도 오피스텔 운영비 등 정치활동 자금 명목으로 1억 5천 만원을 ‘애걸한’ 녹취록이 언론에 공개돼, 천추에 씻을 수 없는 망신을 당했다. 동시에 그토록 갈구하던 국방장관의 꿈도 물거품이 됐다.
중국 속담에 빤쥔루빤후(伴君如伴虎)라는 말이 있다. 군주(권력)를 가까이 하는 것은 마치 호랑이를 가까이 하는 것과 같아서, 예기치 못한 살신의 화를 당할 수 있다는 뜻이다. 재기를 노리며 호랑이(권력)에 가까이 다가가려다가 송영선은 결국 물려 죽고 말았다.
이 보도가 나가자 한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무려 3000개 가까운 댓글이 쇄도하였다. 무료하던 차에 댓글 모두를 쭉 훑어보았다. 차마 입에 담을 수 없는 온갖 욕설과 조롱, 비난들로 가득했다.
한 타락한 정치인의 도덕성을 놓고 비난해야 마땅하나 상당수가 신체의 특정 부위까지 거론해가며 통렬한 인신공격을 가하였다. 그 불명예를 어떻게 씻을 것인가. 아마 인제 내린천 맑은 물에 백년을 씻어도 모자랄 것이다.
반사 이익을 노리는 진영에서는 송영선의 ‘거사’에 쾌재를 부르고 있다. 비아냥거리는 ‘예찬’의 글도 적지 않게 눈에 띠었다. ‘박근혜를 껴안고 뛰어내린 논개 송영선!’, ‘장하다! 송영선 열사!’ 운운하며 그녀의 ‘장거’를 기렸다. 아울러 계속해서 핵폭탄을 터뜨려 주기를 희망하였다. 이처럼 살아있는 사람을 ‘추모하고 기리는’ 예는 일찍이 별로 들어본 적이 없다.
위키 백과에 나타난 송영선의 프로필을 들여다보자.
-1953년생, 59세.
-경북여고 및 경북대 졸, 하와이 대학 정치학 박사.
-국방연구원 연구원, 동 연구원 국방정책실장 및 안보전략센터 소장
-17, 18대 국회의원(국회 국방위 소속)
-30년간 북한과 안보 연구
화려한 경력이 아닐 수 없다. 얼핏 봐서는 오직 국방과 국가를 위해 헌신한 ‘우국지사’임에 틀림없다.
이 정도면 국방장관 감으로 결코 부족하다 할 수 없다. 그녀는 최초의 여성 대통령 밑에서 최초의 여성 국방장관이 되려는 ‘아름다운 꿈’을 간직했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국방장관이라는 자리가 전리품 나눠 갖듯 아무나 차지할 수 있는 자리인가. 사업가에게 돈 몇 푼 빌어 갖다 바치면 되는 자리인가.
독일·브라질·아르헨티나에서 여성 총리, 여성 대통령이 맹활약하고 있는 시절에, 우리나라에서 여성이 국방의 수장이 되지 말란 법도 없다. 그러나 왜 우직한 모습과 다르게 정도를 포기하고 샛길로 가려다 횡액을 자초 하였는가. 애석하고 애석할 뿐이다.
어느 한 순간, 국방장관 집무실에 앉아 뭇 장성들을 향해 매서운 눈을 부라리며 호통 치는 ‘국방장관 송영선 열사’의 모습이 뭉게뭉게 피어오른다.
“당신들 도대체 뭐하는 사람들입니까? 세 끼 밥 먹고 그렇게 할 일들이 없어요?”
글을 마무리하려는데 중국산 살찐 모기 한 마리가 눈앞에 무기력하게 오르락내리락 거린다. 벽에다 대고 힘껏 내리쳤다. 벽이 벌겋게 물들며 아내가 좋아하는 납작 만두처럼 모기가 납작하게 되었다. 정치판에 난무하는 굶주린 모기와 살찐 모기들! 그들은 과연 그들의 최후를 알기나 하는 것일까.
Related Posts
- [강성현 칼럼] 도연명의 삶, 어느 정비공의 삶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되새겨 보는 중국인의 특성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시진핑과 어머니, 그리고 퍼스트레이디 펑리위안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시중쉰과 시진핑의 인생유전①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루쉰은 왜 ‘메스’를 버리고 ‘붓’을 들었나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리틀 등소평’ 시진핑, 개혁·개방을 외치다
- [강성현 칼럼] 시진핑 시대, 왜 차이위안페이를 주목하는가?④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시진핑, ‘중화민족 부흥의 길(??之路)’을 말하다
- [강성현 칼럼] 시진핑 시대, 왜 차이위안페이를 주목하는가?③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원숭이 두개골(?腦), 없어서 못 팔아
- [강성현 칼럼] 시진핑 시대, 왜 차이위안페이(蔡元培)를 주목하는가?①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중국에 불어오는 '문사철' 바람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기적을 일궈 낸 ‘바보’ 진스밍(金世明)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전업주부? 중국은 '빤삐엔톈'이 대세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꿈 잃은 9억 농민의 '출애굽기'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젊은이와 노인의 ‘이종격투기’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이방인 눈에 비친 中 '황금연휴'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주원장, 장제스, 전두환의 닮은꼴은?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공자의 부활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명문 여대생의 매란(賣卵), 그 충격적 현장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직장인의 처세와 '따즈루오위'의 의미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서민들의 ‘오지랖’과 돈 맛
- [강성현 칼럼] 빨대 근성과 줄대기 근성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윈난인이 기리는 '철기 이범석 장군'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마오타이주의 ‘불편한’ 진실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도산 선생은 왜 중국에 ‘이상촌’ 건설을 꿈꾸었나?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소황제(小皇帝)들의 대학입시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식언이 난무하는 사회 “언제 밥 한 끼 해요”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누가 자오펑을 죽음으로 내몰았는가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서울시공무원 '반바지'와 中國 대학총장 '청바지'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삼성반도체, 시안(西安) 진출의 의미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중국의 표준어 '보통화'는 만능인가?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영혼 없는 스님, 영혼 없는 공무원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소는 보호해도 개는 안 돼'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닭장차'에서는 '대변 절대 금지!'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독성 캡슐', 13억 인민은 절규한다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中 보이보, 보시라이 韓 문대성, 김구라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조선족과 한선족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중국 대학생들의 ‘내무 생활’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레이펑은 누구인가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원자바오의 일갈 “공산당 최대 위기는 부정부패”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호사다마(好事多魔)와 호사다마(好事多磨)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한중수교 20년 성과와 반성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돈에 목숨 건’ 장자제 가마꾼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장안의 달'이 보고 싶거든 달려오라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다이아몬드급 ‘식모’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조선족 '붕어빵 사장' 한광석 이야기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영원한 왕따 한유에서 '태두' 유래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책벌레, 증국번(曾國藩)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한중수교 20돌과 노파(老婆)의 유래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속물’ 제갈량의 아내는 추녀(醜女)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두 팔이 없는 피아니스트 '류웨이'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한족 파출부'가 담가주는 김치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뒷골목 새벽시장의 정취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향기와 악취, 타오싱즈와 유영구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벤츠 타는 교수, 자전거 타는 교수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개미족(蟻族)의 비애와 꿈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짝퉁 만드는 중국인, 즐기는 한국인
- [강성현의 중국이야기] 이사, 한비 그리고 박원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