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리 참 쉽지요] 길상음식의 상징 ‘죽순채’

결혼식 계절이다. 청첩장을 받은 것만 벌써 여러 장이다. 포근한 봄이 결혼하기 알맞은 계절인가 보다. 옛날에도 주로 날씨가 따스해지는 봄에 혼례를 많이 치렀다. 혼례식 전통 중에는 신부집 앞에 소나무와 대나무를 세우는 일이 있었다. 대나무는 지조, 소나무는 장수를 상징한다.

옛 사람들은 대나무는 줄기가 비었지만 굳은 마디로 인해 절조가 지켜지고, 정신이 투철하며 허식이 없음을 군자에 비유했다. 대나무는 순과 함께 성장해 아름다운 대나무 숲을 이루는데, 대순은 4년 동안 정성을 들여 가꾸어도 좀처럼 땅 밖으로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아 애를 태우기도 한다. 하지만 어느 순간 단단한 땅속의 흙을 박차고 나오면 석달 만에 20m 크기로 자랄 만큼 성장속도가 빠르다.

대나무의 어린 싹인 죽순(竹筍)은 끈기, 지조와 같은 길상 음식의 상징이 됐다. 대(竹)의 아래 줄기가 땅속을 뚫고 들어가 그 마디에 싹이 트고 일부 다른 싹은 땅 위로 올라와 다시 줄기가 된다. 그때 올라온 어린 싹을 죽순이라 부른다. 죽순에 관한 전설 또한 많다. 그 중 죽순 중에 맛이 좋다는 맹종죽의 이야기가 있다.

중국 오나라에 좌태어사 벼슬을 지낸, ‘맹종’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홀어머니를 지극히 모셨다. 어느 날 노모가 병이 나 죽순을?찾으셨다. 겨울이라 죽순이 있을 리 없었지만, 어머니를 위하는 맹종은 눈 쌓인 대밭에 들어가 죽순을 찾아 다녔다. 그러나 거의 불가능한 일. 종일 눈물만 흘리고 있는데 하늘이 감동했는지 눈물로 눈이 녹은 자리에 죽순이 돋아나기 시작하였다. 죽순으로 죽을 끓여 먹은 어머니의 병도 말끔히 낫다고 한다. 이를 맹종죽이라 일컫는다. 18세기 중국 강남에서 류큐(琉球, 오키나와)를 경유해 일본에 전해진 맹종죽은 다시 전라도로 유입되어 인가 부근에 재배되기 시작했다.

2월께부터 나오기 시작해 5월 중순까지 딸 수 있는 죽순은 조선왕조에서 생죽순과 죽순해(소금에 절인 죽순)로 분류했다. 이러한 죽순으로 죽순김치, 죽순탕, 죽순찜, 죽순채와 같은 여러 음식을 만들었다.

오늘날은 죽순 음식이 밥상에서 많이 사라져 가고 있어 아쉽기만 하다. 옛 궁중에서 입맛을 돋우기 위해 즐겨 먹었던 죽순채를 만들어 보자.

죽순채?

재료
죽순 날것 2개 또는 통조림 200g, 미나리, 숙주, 붉은고추, 달걀
고기양념: 간장 1/2T, 설탕 1/4T, 참기름, 다진파·마늘·깨소금 1/2t씩, 후추가루 약간
전체양념: 간장 2T, 설탕 1T, 물 2T, 식초 2T, 깨소금 2t?

만드는 법
1. 죽순은 살뜨물에 삶아 아린 맛을 없애고 빗살 모양으로 납작하게 썬다.
2. 소고기와 표고버섯은 채 썰어 고기양념으로 무친 후 볶는다.
3. 미나리는 줄기 부분만, 숙주는 다듬어 끓는 물에 소금을 약간 넣고 데친다.
4. 붉은 고추는 씨를 빼고 채 썬다.
5. 달걀은 황백지단으로 나누어 부친다.
6. 위의 재료를 전체 양념에 넣어 무친다.

*죽순의 효능
죽순은 열량이 낮아 다이어트에 좋고, 섬유소가 풍부해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한다. 죽순에 들어있는 칼륨이 염분 배출을 돕는 역할을 하여 혈압이 높은 사람에게 좋다. 또 담을 삭이고 갈증을 없애주며 숙취해소에 좋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