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직성이 읽고 밑줄 긋다] 시월드, 처월드 부부갈등의 시작

토니 험프리스의 아는 만큼 행복이 커지는 <가족의 심리학>

최근 들어 ‘시월드’, ‘처월드’란 단어를 심심찮게 들을 수 있다. 시월드는 여자, 처월드는 남자 쪽에서 상대 집안을 비꼬며 부르는 말이다.

부부갈등의 시작이 양쪽 집안 부모, 형제들의 예의 없음에서 출발하는 경우가 많다. 부부가 서로의 집안에서 독립해야 하고, 양쪽 집안 부모들도 손을 떼야 한다. 결혼으로 독립했음에도 불구하고 양쪽 집안이 계속해서 참견하는 것은 집, 혼수용품 마련에 상당부분의 지분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정서적으로도 미성숙한 부모, 자식의 관계가 계속돼 참견하는 경우도 많다.

토니 험프리스의 책 ‘가족의 심리학’은 세계적인 가족상담 전문가의 30년 경험과 상담을 통해 얻은, 가족의 행복과 사랑에 관한 모든 것을 담은 가족심리 백과사전. 지난 100년 동안 심리학과 사회학 분야의 연구를 통해 밝혀진 지식을 토대로, 건강한 가족을 만드는 답을 보여주고 있다.

가족의 심리학, 토니 험프리스 지음, 윤영삼 옮김, 다산초당, 2006

p.36 이제는 더 이상 참지 않겠다고 다짐해야 한다. 더 이상 부모가 자기 인생을 지배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다짐을 해야 한다. 부모로부터 독립한다는 것은 그들을 더 이상 사랑하지 않겠다는 뜻이 아니다. 죽을 때까지 당신을 억누를 부모의 잘못된 양육방식, 그 고통스런 굴레에서 자신을 해방시킨다는 뜻이다.

p.48 외부의 도움은 언제나 가족이 먼저 요청했을 때 시작되어야 한다. 가족이 원하지도 않는데 다른 사람이 감 놔라 배 놔라 하는 것은 가족의 사생활을 침범하는 중대한 위협이다.

p.49 이 때 외부인으로는 시부모와 장인장모, 시댁과 처가식구, 친척, 이웃, 친구, 보모 등이 있다.

p.50 시부모와 장인장모가 자식들 집 열쇠를 가지고 마음대로 들락거리기도 한다. 그런 행위를 가만히 보고만 있어서는 안 된다. 과감히 막아야 한다. 부부는 사생활을 보장받을 권리가 있다. 자기집을 방문하기 전에 먼저 동의를 구하라고 요구해야 한다. 급한 일이 있거나 정당한 이유가 없을 때는 단호하게 ‘싫다’고 거절해야 한다.

p.51 “날 아껴주는 것도 좋고 집에 오는 것도 좋지만, 우리 가족이 하는 일을 방해하지는 말아달라.”

p.69 이들은 늘 잔소리를 입에 달고 다니는데, 이는 자신이 하는 일에 남의 주목을 끌어내려는 것이다. 결국 희생, 잔소리, 한탄 등의 행위는 모든 사람들의 눈길을 끌고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고자 하는 무의식적인 울부짖음이라 할 수 있다.

p.71 ‘헌신적인 사랑’은 이타적인 것이 아니라 극도로 이기적인 것이다. 헌신하는 관계는 그냥 베푸는 것이 아니라 ‘돌려받기 위해’ 베푸는 것이다. 이는 받는 사람이 지극히 충족하기 어려운 조건을 내세우는 관계다. 지나치게 헌신하는 사람은 자신의 고유한 자아를 발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른 가족들이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뿌리째 뽑는다.

p.245 부모의 감정을 책임질 필요는 없다. 상대방의 감정이 전적으로 상대방 자신에 대한 것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인지하는 것은 가족이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분리되는 첫걸음이다.

p.270 삼각관계는 문제를 완전히 터뜨려 풀 수 있는 기회를 아예 봉쇄해버린다. 삼각관계에 숨어 있는 또 다른 문제는 제삼자가 힘을 발휘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부부문제에 외부인이 개입하는 것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

p.275 듣기는 소통의 시작이다.

p.306 자기 뜻을 굽히지 않고 극단적으로 남을 지배하려고 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런 행동으로는 절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려줘야 한다. 또한 방어적인 행동은 그것이 제대로 먹혀들 때만 지속된다. 아무리 공격적으로 강압하는 사람도 상대방이 자신의 행동에 기죽지 않으면 더 이상 그런 행동을 못한다는 뜻이다.

자아의 경계를 세울 때는 다른 사람의 자아의 경계를 침범해서는 안된다. 위협적인 행동으로 남의 경계를 짓밟는 사람과 맞설 때도 보복한답시고 그 사람의 자아를 마구 짓밟아선 안 된다.

p.307
-분명하게 경고한다-“당신이 공격적 행동이나 교묘한 행동으로 위협한다 싶으면 난 절대 반응하지 않을 거야.”
-위협하는 행동이 계속될 때는 그 상황에서 무조건 빠져나와 몸을 피한다.
-아무리 위협해도 흔들려서는 안 된다. 절대 ‘굴복’하지 않겠다는 뜻을 단호하게 유지한다.
-상황이 잠잠해지면 어떤 이야기든 귀기울여 듣는다. 하지만 상대방을 존중하지 않는 태도가 보이면 즉시 대화를 멈춘다.
-위의 조치에 따랐음에도 위협하는 행동이 계속되면 직접 전문가의 도움을 찾아 나선다.

p.334 그러한 아이들은 실패하거나 비난받을 기미가 조금이라도 보이면 지나치게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또 자신의 뜻과 다르게 상황이 진행되거나 실수를 저지르면 몹시 당황한다. 자신을 향한 비난에 신경질적으로 반응하며 긍정적인 지적조차 순순히 받아들이지 못한다.

보상전략을 택하는 아이들은 회피전략을 쓰는 아이들보다 훨씬 더 위태롭다. 부모가 자신에게 부과한 비현실적인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쏟기 때문에 조그만 실수라도 하게 되면 극단적인 회피행동을 보인다. 무기력한 감정에 빠지거나, 자포자기 하거나, 환상속으로 도망치거나, 때로는 자살을 시도하기도 한다. 자살하는 아이들이 말하고 싶어하는 메시지는 바로 이런 것이다. ‘죽으면 이제 더 이상 실패할 일도 없고 다른 사람에게 상처받고 거절당할 일도 없겠지.’

p.335 저항은 회피나 보상의 측면을 동시에 취할 수도 있다. 말이나 행동을 통해 초점을 상대방에게 돌리고 공격하는 동시에 자신은 아예 노력하지 않음으로써 실패도 하지 않기 때문에 이것은 매우 현명한 방어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p.336 저항을 보상전략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부모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하면서도 비난받을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반항행동을 곁들이는 것이다. 신경이 날카로운 모범생의 경우, 조그만 비난해도 정서적 혼란에 빠지며 반항한다. 이는 부모가 자신의 심기를 건드리는 말을 한마디도 못하게 만드는 전략이다. 물론 ‘반항적인 완벽주의자’라는 그림자 자아 속에 자신의 정체성을 꼭꼭 숨긴다는 점에서 진짜 문제는 풀리지 않는다. 부모가 계속해서 비현실적인 기대를 하는 한 아이는 방어전략을 사용할 것이고, 부모에게 거부당할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아이는 결코 정서적으로 위태로운 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p.343 어른이 아이와 다른 점은 다른 사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기 자신을 돌볼 수 있다는 사실이다. 어른은 자신의 부모가 키워준 그림자 자아를 물리치고 스스로 자신의 진짜 자아를 키워낼 수 있다.

p.373 부모가 협조하지 않고 어른이 된 자녀를 계속 통제하려고 하면 아이의 인생을 망칠 뿐만 아니라 아이와의 관계도 갈수록 뒤틀릴 수밖에 없다…물론 아이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지 않는 부모도 있다. 그런 경우에 나는 젊은이들에게 조건 없는 사랑과 이해의 문을 열어놓되 자신을 해방시키는 일은 굳건히 밀고 나가라고 격려한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