섣부른 행동이 탄압을 초래하다 [아시아엔=김중겸 치안발전포럼 이사장, 경찰청 전 수사국장] 1825년 12월 14일 니콜라이 1세 즉위식을 틈타 귀족출신 장교들이 전제정치 타도를 외쳤다. 실패한 봉기, ‘데카브리스트의
Author: 김중겸
최대의 국가안보는 통치자 신변보호···인접국 점령과 공안사찰 ‘두 축’
[아시아엔=김중겸 치안발전포럼 이사장, 경찰청 전 수사국장] 군주는 귀족에게 땅을 주어 충성을 샀다. 불충한 신하는 응징했다. 죽이고 재산 몰수했다. 내 손에 다시 들어온 토지는 충신에게 선심
러, 에카테리나 시대 ‘황제’ 죽이는 ‘황제근위대’, 스탈린 시대엔?
[아시아엔=김중겸 경찰청 전 수사국장, 치안발전포럼 이사장] 표트르 대제의 아들 황태자 알렉세이는 아버지가 하녀와 살면서 황후인 어머니를 소박 놓았다며 좋게 보지 않았다. 사이가 나빴다. 이를 이용해
표트르대제와 러시아 제국의 탄생
[아시아엔=김중겸 치안발전포럼 이사장, 전 경찰청 수사국장] 열 살, 이복형과 공동 통지차로 등극했다. 나이 어리다고 이복누나가 수렴청정. 동생들 죽이고 집권하려는 욕심 부렸다. 목숨 위태로웠다. 시골로 피신했다.
러, 이반 4세 ‘KGB 원조’ 공안사찰조직으로 ‘공포정치’
[아시아엔=김중겸 (사)치안발전포럼 이사장, 전 경찰청 수사국장] 권력 쥐게 되면 수호에 나서야 한다. 가만히 앉아 있다가는 누가 언제 찬탈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급습(Sudden Attack) 막기 위해서는 동향정보가
“모피를 찾아서”···러시아의 영토확장 소사
[아시아엔=김중겸 치안발전포럼 이사장, 전 경찰청 수사국장] 유럽 북서쪽 스칸디나비아반도, 현재의 스웨덴 지역에서 살던 사람들이 벌이에 나섰다. 건너편 유럽동부에 상륙, 볼가강 타고 남쪽으로 내려갔다. 지중해로 이어지는
‘프랑스혁명’ 불러온 부패 법복귀족, 우리 사법부엔?
[아시아엔=김중겸 치안발전포럼 이사장, 전 인터폴 부총재] 정당이 선거에서 이기면 관직을 전리품으로 생각하여 선거운동 공로자에게 나눠주는 제도가 바로 엽관제다. 정실에 따른 임명과 파면은 절대군주도 이용했다. 1589년
美경찰 총기사용과 흑인···전인구의 14%, 총격사망자의 26% 차지
[아시아엔=김중겸 인터폴 부총재 역임, 전 청와대 치안비서관] 미국 경찰관은 매년 몇명이나 죽는가. 2010년부터 2016년까지 7년간 임무 수행 중 순직자는 총 1032명, 연평균 147.4명이다. 2016년 순직자
문대통령과 대선후보들···”국민이 나라 걱정하며 울게 않게 하시오”
[아시아엔=김중겸 치안발전포럼 이사장, 전 경찰청 수사국장] 1979년부터 1990년까지 영국 수상을 지내고 2013년 87세를 일기로 떠난 대처 수상 얘기다. 그는 미국 레이건과 더불어 신자유주의 정책을 실행했다.
일본 마약…2차대전땐 필로폰으로 ‘무기증산’, 요즘은 야쿠자가 ‘주범’
[아시아엔=김중겸 치안발전포럼 이사장, 인터폴 전 부총재] 아시아와 중동에는 오랜 역사 지닌 양귀비 재배지대가 있다. 타이-미얀마-라오스 접경지대 황금삼각지대(Golden Triangle)다. 그리고 아프가니스탄이다. 1960년대 미국의 히피들은 베트남전쟁 반대한
나폴레옹 워털루전투 패배···”보수반동을 불러오다”
[아시아엔=김중겸 치안발전포럼 이사장, 전 경찰청 수사국장] 1815년 벨기에 워털루 전투에서 나폴레옹은 패배해 세인트헬레나 섬으로 유배됐다. 23년간 계속됐던 유럽에서의 전쟁도 막을 내렸다. 보수세력은 프랑스혁명의 재발을 두려워했다.
19세기 유럽 ‘요지경’···”오고가는 촌지에, 관리들 급여는 없었다”
[아시아엔=김중겸 치안발전포럼 이사장, 전 인터폴 부총재] 1805년 빈에 온 나폴레옹을 시민들이 열렬히 환영했다. 반면 유럽의 국왕들은 전전긍긍했다. 자유, 평등, 박애의 혁명 물결을 두려워했다. 국왕들은 그
19세기 독일 비밀경찰 활동무대와 수법
[아시아엔=김중겸 전 경찰청 수사국장] 빌헬름 슈타이버(Wilhelm Steiber)는 법률가다. 무미건조한 법률보다 경찰 일이 구미 당겼다. 베를린경찰에 들어갔다. 1841년 수사과(Division Ⅳ) 경감(Inspector)에서 1848년 경찰서장(Chief of Police)으로 승진했다.
‘훔치는 권리’ 양산했던 산업화 초기 유럽의 ‘역설’
농민-뿌리는 있었다 [아시아엔=김중겸 전 경찰청 수사국장] 농업사회는 비록 영주와 지주에게 얽매인 삶으로 노예 같은 처지였어도 땅에 뿌리박고 살았다. 기아와 흉년으로 유랑민 신세가 되는 경우 제외하고는
해부학 발달 가져온 전염병과 전쟁, 그리고 현미경
[아시아엔=김중겸 전 경찰청 수사국장, 치안발전포럼 이사장] 망원경과 현미경은 안경과 똑같은 핵심부품 렌즈를 사용한다. 고대부터 시력 약한 사람 위해 만들었다. 인간의 눈을 보완해 불편 완화했다.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