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사단법인 아시아기자협회로 가기

NEXT NEWS NETWORK

Go to TheAsiaN In EnglishGo to Arabic version of The AsiaN
Friday 22 January 2021
  • ALL
  • 아시아
    • 동북아
    • 아세안
    • 서남아
    • 중동
    • 중앙아
    • 기타
  • 코리아
    • 미디어리뷰
    • 정치
    • 경제-산업
    • 사회-문화
    • 한반도
  • 오피니언
    • 칼럼
    • 인터뷰
    • 성명서
  • 스포테인먼트
    • 스포츠
    • 엔터테인먼트
  • 멀티미디어
    • 사진
    • 동영상
  • 플라자
    • 북리뷰
    • 오늘의시
    • 가볼만한 곳
    • 행사/전시/공연
    • 인사/동정/부음
  • 아시아엔 소개

Author: 김인철

[중동미술 수메르③] 메소포타미아인은 왜 원통형 도장을 만들었을까?

김인철 ALL

[아시아엔=김인철 김인철 전주비전대 교수, 시각문화 저널리스트, 전 한국미술협회 이사, SFU(캐나다) 연구교수]?원통형 인장이 수메르에서 제작된 일은 획기적이면서도 흥미로운 일이다. 사실 원통형 인장은 현재 동아시아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문 읽기

[중동미술 수메르②] 카파제 ‘조각’·우르왕묘 ‘공예’·키시궁전 ‘건축’ 등 뚜렷한 미의식

김인철 ALL

[아시아엔=김인철 전주비전대 교수, 시각문화 저널리스트, 전 한국미술협회 이사, SFU(캐나다) 연구교수] 사뮤엘 크라머(Samuel Noah Kramer)는 <역사는 수메르에서 시작되었다>(History Begins at Sumer: Thirty-Nine Firsts in Recorded History.

전문 읽기

[중동미술 수메르①] 인류 최초 ‘설형문자’와 ‘길가메시 서사시’

김인철 ALL

수메르는 대체 무엇인가? [아시아엔=김인철 전주비전대 교수,시각문화 저널리스트, 전 한국미술협회 이사, 캐나다 SFU 연구교수]?인류에 있어서 최초의 문자는 바로 쐐기문자(楔形文字)였다. 설형문자라고도 불리는 쐐기형태 글자의 발명은 고대 수메르에서

전문 읽기

[서양미술 속 매매춘 여성③] 에곤 쉴르···소녀 매춘부의 ‘음모’ 대담하게 표현

김인철 ALL

[아시아엔=김인철 <아시아엔> 미술비평가, 전주비전대 교수] 프랑스 시인 보들레르는 한때 “미술이란 것은 매춘이다”라고 언급했다. 회화의 역사에 있어서 작가들은 그들의 애인 또는 모델들을 매춘이라는 이름으로 작업했다. 대상

전문 읽기

[서양미술 속 매매춘 여성②] 피카소 ‘아비뇽의 아가씨들’ 아프리카 여인들 3차원 묘사

김인철 ALL

[아시아엔=김인철 <아시아엔> 미술비평가, 전주비전대 교수] 프랑스 시인 보들레르는 한때 “미술이란 것은 매춘이다”라고 언급했다. 회화의 역사에 있어서 작가들은 그들의 애인 또는 모델들을 매춘이라는 이름으로 작업했다. 대상

전문 읽기

[서양미술 속 매매춘 여성①] 타락한 뮤즈(?) 8인방···마네에서 지아코메티까지

김인철 ALL, 사회-문화, 칼럼

[아시아엔=김인철 <아시아엔> 미술비평가, 전주비전대 교수] 프랑스 시인 보들레르는 한때 “미술이란 것은 매춘이다”라고 언급했다. 회화의 역사에 있어서 작가들은 그들의 애인 또는 모델들을 매춘이라는 이름으로 작업했다. 대상

전문 읽기

[김인철의 아시아미술①] 페르시아···’이슬람제국 이전’ 중동미술의 요람

김인철 중동, 칼럼

[아시아엔=김인철 전주비전대 교수, <아시아엔> 편집고문] 페르시아 또는 이란의 미술은 인류가 이룩한 다른 역사적 유산들과 비교하여 매우 풍부한 모습을 하고 있다. 특히 건축, 직조, 도기, 서예,

전문 읽기

[시각문화 3.0시대⑫] 상징주의: 물질 vs 정신세계 갈등 해소에 관심

김인철 ALL

  [아시아엔=<아시아엔> 디자인 고문, 김인철 전주비전대 교수] 상징주의는 1880년대 후반 프랑스에서 시를 중심으로 시작된 문학운동을 말한다.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 말라르메(St?phane Mallarm?), 랭보(Arthur Rimbaud) 등이 주도적 역할을

전문 읽기

[시각문화 3.0시대⑪] 앤디 워홀과 클래스 올덴버그가 돋보이는 까닭은?

김인철 기타

[아시아엔=김인철 <아시아엔> 디자인 고문, 전주비전대 교수] 영국에서 단초를 제공한 후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발전돼 세계로 퍼진 팝 아트(Pop art)는 산업사회의 번영을 미술 속에 적극적으로 수용한 점에서

전문 읽기

[2016 아시아의 별] 이라크 여성 건축가 자하 하디드의 삶과 작품

김인철 ALL, 칼럼

존슨 런던시장 “스트랫포드 건물들과 함께 런던시민 가슴에 영원히 남을 것” [아시아엔=김인철 <아시아엔> 디자인 고문, 전주비전대 교수] 지난 3월 저명한 건축가 자하 하디드의 갑작스런 죽음은 아시아인들은

전문 읽기

[시각문화 3.0시대⑩] “미국이여 똥이나 먹어라!”···구겐하임 미술관의 ‘황금변기’

김인철 1. 한반도, 기타, 사회-문화, 칼럼

-마우리치오 카텔란(Maurizio Cattelan)의 아메리카(2016)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의 샘(1917) -리차드 해밀턴(Richard Hamilton)의 ‘오늘날 우리 가정을 이토록 색다르고 매력적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Just what is it that makes

전문 읽기

[시각문화 3.0시대⑨] 칸딘스키 ‘추상표현주의’와 프랑스의 ‘앵포르멜 미술’

김인철 ALL, 사회-문화

빌렘 데 쿠닝(자신의 스튜디오에서)? 로버트 마더웰의 스페인공화국에 바치는 비가 21? 마크 로스코의 No. 1(Royal Red and Blue, 1954)? 볼스의 무제(1946-47), 작업 중인 장 ?뒤 뷔페

전문 읽기

[시각문화 3.0시대⑧] 후기인상파 3인방 ‘고흐·세잔·고갱’ 그리고 입체파 피카소

김인철 칼럼

[아시아엔=김인철 전주비전대 교수, 전 한국미술협회 이사] 인류의 시각에 있어서 인상주의는 시민혁명만큼이나 획기적이었다. 인상주의가 나타날 무렵 이들에 대한 반발과 무시는 심했다. 하지만 서서히 그들의 노력이 인정받아

전문 읽기

[시각문화 3.0시대⑦] 후기인상파, “그들은 미술계의 시민혁명이었다”

김인철 1. 한반도, 사회-문화, 칼럼

· [아시아엔=김인철 <아시아엔> 전문기자, 전주비전대 교수, 시각문화평론가] 인류의 시각에서 인상주의는 시민혁명만큼이나 획기적이었다. 인상주의가 나타날 무렵, 이들에 대한 반발과 무시는 심했다. 하지만 서서히 그들의 노력이 인정받아

전문 읽기

[시각 문화 3.0 시대 ③] 이미지의 연속성까지 구현한 인류: 영화·애니메이션의 탄생

김인철 오피니언, 칼럼

[아시아엔=김인철 전주비전대 교수, 시각문화평론가] 인류는 시각이미지의 영속성과 더불어 연속성(連續性, continuity)도 아울러 추구했는데 이는 조금 지나친 욕심으로 비춰지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 그 결과물들을 놓고 볼 때

전문 읽기

Posts navigation

1 2 Next Posts»

아시아

[아시아라운드업 1/21] 중국, ‘실종설’ 마윈 재등장 직후 ‘전자결제 규제’ 초안 발표

팔레스타인 총리 “바이든 행정부 기대 커…이스라엘 정착촌 건설 막아주길”

아시아

[아시아라운드업 1/21] 중국, ‘실종설’ 마윈 재등장 직후 ‘전자결제 규제’ 초안 발표

팔레스타인 총리 “바이든 행정부 기대 커…이스라엘 정착촌 건설 막아주길”

코리아

문대통령 지지율 4주만에 소폭 올라 37.9%

[전문] 박원순 피해자 입장문 “남인순, 충격과 공포···의원 사퇴하라”

코리아

문대통령 지지율 4주만에 소폭 올라 37.9%

[전문] 박원순 피해자 입장문 “남인순, 충격과 공포···의원 사퇴하라”

많이 본 기사

  • [암유병자 200만 시대②] ‘암예방 수칙 10계명’
  • 美 망명 캄보디아 야권 지도자, 탑승불허로 귀국 무산···”명백한 정치탄압”
  • [암유병자 200만 시대①] "필자도 전립선암 환자"
  • 선교100주년교회 이재철 목사 '빈손' 은퇴···거창으로 '낙향'
  • [아시아라운드업 1/20] '동남아판 우버' 그랩, 뉴욕증시 상장 추진

최신 기사

  • 오피스 체크인, “잠겨 있던 문 활짝 열다”
  • [베이직 묵상] 원수를 사랑하라고?
  • “성범죄자 80%는 아는 사람이다”
  • 日경찰, 대국민 봉사 “통계로는 좋게 나오는데”
  • 30년간 성상납 협박하며 할리우드 주름잡았다

칼럼

  • 알파고 시나씨
    알파고 시나씨
    • 북마케도니아 나토 가입 및 한국과 수교 뒷얘기
  • 아시라프 달리
    아시라프 달리
    • 인도-이집트, ‘코로나 시대 문화축전’ 이렇게 성공했다
  • 아이반 림
    아이반 림
    • 싱가포르 국부 리콴유의 차남 리셴양, 총선 ‘와일드 카드’ 될 수 있을까
  • 이강렬
    이강렬
    • 유명 교육 유튜버들, 틀린 정보 자제를
  • 이상기
    이상기
    • 지상 1m의 시선 사진전 “휠체어에 탄 풍경”

상호: (주)아자미디어앤컬처 / 사업자등록번호: 101-86-64640
제호: THEAsiaN / 등록정보: 서울특별시 아01771 / 등록일: 2011년 9월 6일 / 발행일: 2011년 11월 11일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로 35 화수회관 207호 / 전화: 02-712-4111 / 팩스: 02-718-1114 / 이메일 news@theasian.asia
발행인·편집인: 이상기 / 청소년보호책임자: 이주형      [회사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Contac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