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엔=이신석 ‘분쟁지역’ 전문기자] 하루 40km를 걷는다는 것은 보통 각오가 아니면 어렵다. 더욱이 낮에는 햇볕이 내리쬐고 밤에는 으스스한 날씨의 사막에서 매일 강행군이다. 모텔에 들어가면 눕기 바쁘게

[아시아엔=이신석 ‘분쟁지역’ 전문기자] 하루 40km를 걷는다는 것은 보통 각오가 아니면 어렵다. 더욱이 낮에는 햇볕이 내리쬐고 밤에는 으스스한 날씨의 사막에서 매일 강행군이다. 모텔에 들어가면 눕기 바쁘게
[아시아엔=이신석 ‘분쟁지역’ 전문기자] 12월 25일 나는 시라즈(Shiraz)를 출발해 다음 행선지로 향했다. 두바이에서 환승해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 도착한 지 이틀만이다. 페이스북에 시라즈의 골목에 붙은 가정집과 터널을
제주 올레길을 기획·개발한 이는 <시사저널> 편집국장 출신 서명숙씨다. 그는 언론계를 떠나며 스페인의 산티아고 순례길로 발걸음을 옮겼다. 고행과 깨달음의 시간들은 제주 올레길을 여는 밑거름이 됐다. 이신석
[아시아엔=이신석 <아시아엔> 분쟁지역 전문기자] <빠삐용>을 어릴 적 수십 번 읽었다. 책 커버이자 그의 가슴에 새겨진 나비 즉 ‘빠삐용’은 ‘자유’라는 의미다. 어릴 때부터 나를 강하게 통제하려는
[아시아엔=이신석 <아시아엔> 분쟁지역 전문기자] 나에겐 늘 성욕, 아니 성적 수치스러움이 최우선이다. 하카리 현재 시각 2016년 2월16일 새벽 3시, 38시간째 굶는 중이다. 혹자는 인간의 욕망이 수면욕
[아시아엔=이신석 <아시아엔> 분쟁지역 전문기자] 날이 밝아 출근한 대원들이 분주히 움직인다. 나는 한잠도 못잤지만 창밖으로 보이는 아름다운 경치에 넋을 잃었다. 하카리는 경사가 급한 산들로 둘러싸였고 산의
[아시아엔=이신석 <아시아엔> 분쟁지역 전문기자]??밤이 깊었다. 국경지대에서 들려오는 총소리가 사방으로 퍼져 바위산 중턱에 부딪힌다. 그리고 이내 메아리가 되어 사방천지에 가득 찬다. 상황실에는 합수부 요원의 상황접수와 명령하달이
[아시아엔=터키 하카리/이신석 <아시아엔> 분쟁지역 전문기자] 이곳에 억류된 후 잠시 사이지만 제법 정이 든 아르펜이 내게 다가왔다. “토니! 당신은 지금 밖에 나가면 저격수에게 바로 사살당할 거야.”
[아시아엔=글·사진/이신석 <아시아엔> 분쟁지역 전문기자] 조사는 끊임없이 계속됐다. 또 다른 건물에 이르자 대원들은 나를 이끌고 3층으로 데려갔다. 가슴은 진정되지 않고 계속해서 강하게 압박되며 심한 두통이 찾아온다.
[아시아엔=이신석 <아시아엔> 분쟁지역 전문기자] 나는 전쟁포로처럼 두 손을 머리에 얹고 초소로 끌려갔다. 이제 나를 안타깝게 동정하는 사람은 세상에 아무도 없다. 가방은 땅바닥에 내팽겨지고 안에 든
지난 2월14일, <아시아엔> 이신석 분쟁지역 전문기자는 쿠르드족 거주지이자 쿠르드인에게 쿠르디스탄(Kurdistan, 쿠르드족의 땅)으로 불리며 연일 전투가 벌어지던 하카리(Hakkari)에서 터키 보안군에게 붙잡혔다. 터키정부와 쿠르드족 간에 극렬하게 전투가
[아시아엔=이신석 <아시아엔> 분쟁지역전문기자] Day 12 미드얏은 크게 두 지역으로 나뉘는데 쿠르드인들이 많이 몰려사는 지역과 아랍인들이 몰려사는 에스텔 지역으로 나뉜다. 기자의 숙소는 에스텔에 있다. 첫날 현지정보원?하키와
[아시아엔=이신석 분쟁지역전문기자] Day 11 오늘은 심한 갈등과 테러 그리고 각국의 테러리스트와 스파이가 암약하는 누사빈을 거쳐서 실로피로 향하게 된다. 가는 도중 온천수가 솟는 것이 보이는데 지친
[아시아엔=이신석 분쟁지역전문기자] Day 10 한국은 구정 연휴 기간이라고 들었다. 그러나 이 곳에선 연휴 분위기를 즐길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아침을 대충 터키식으로 해결하고 커피를 판매하는
[아시아엔=이신석 <아시아엔> ?분쟁지역 전문기자] Day 9 아침부터 다짜고짜 누사빈 평화촉구 시위현장에서 만난 여기자가 자신을 찍은 사진을 보내달라고 메신저로 닥달한다. 잠시 기다리라고 메시지를 보내고서는 사진을 찾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