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엔=김재화 말글커뮤니케이션 대표, 1세대 유머작가] 늦가을 ‘만추’에 감에 대한 단상이다. 아직 나무에 매달려 있는 감, 껍질 얇게 깎아 널어 말리는 감 모두 예쁜 정경이다. 감은

[아시아엔=김재화 말글커뮤니케이션 대표, 1세대 유머작가] 늦가을 ‘만추’에 감에 대한 단상이다. 아직 나무에 매달려 있는 감, 껍질 얇게 깎아 널어 말리는 감 모두 예쁜 정경이다. 감은
[아시아엔=김재화 말글커뮤니케이션 대표, 1세대 유머작가] 유세차 서력 2021년 11월 7일, 3류 문사 김재화가 두어 자 글로써 책자(冊子)에게 고(告)하노라. 인간 만인 손과 머리 돕는 중요로운 것이
[아시아엔=김재화 말글커뮤니케이션 대표, 유머작가] ‘안녕하세요?’ 이상 많이 쓰는 우리네 인사말, 단연 이거다. “식사하셨어요?” 큰 부자들이나 삼시세끼 자기 먹고 싶은 대로 먹고 그러지 못한 사람들은 밥
호랑이는 죽어서 뼈를, 사람은 죽어서 길이름을 남긴다 [아시아엔=김재화 말글커뮤니케이션 대표, 유머작가] 위 제목을 읽은 독자께서 호랑이가 가죽을 남기지 왜 뼈냐고 하실는지 모르겠다. 필자 머릿속엔 전남
[아시아엔=김재화 유머코디네이터, 언론학 박사] 예전에 벼슬아치가 행차할 때 길잡이 하인인 갈도(喝道)가 ‘물렀거라’라 외치면 그 어떤 것도 앞에서 얼쩡거리지 못했다. 그러면 더위는 어떻게 쫓아야 할까? 작년
[아시아엔=김재화 유머코디네이터, 말글커뮤니케이션 대표] 상인들이 손님을 부르며 더러 이 말을 한다. “말만 잘하면 공짜로 드릴게요!” 그 다정다감에 친근한 호객멘트에 손님들이 분명히 끌리기 마련이다. 어쨌건 말
[아시아엔=김재화 유머코디네이터, 말글커뮤니케이션 대표]?대한민국에서 국회의원이나 대통령 등 막강한 정치인이 되는 건 그야말로 누워서 떡먹기 아니 체할 수 있으니, 누워서 천장 쳐다보기보다 더 쉽다. 나이가 몇
[아시아엔=김재화 말글커뮤니케이션 대표, 유머작가] 꽃은 봄이라는 자기만의 계절이 있다. 눈 속에서도 기어이 꽃을 피우는 독한 설중매(雪中梅)가 없는 건 아니지만 주로 한 계절을 정해 두고 활동하니
[아시아엔=김재화 유머코디네이터, 언론학박사] 미당 서정주, 젊은 시절부터 시재(詩才)가 킹왕짱 역대급으로 빼어났다. 하여 당대 문우들도 한 수씩 사사하길 원했다는데. 절친이자 역시 소설로 주목 받기 시작한 김동리가
[아시아엔=김재화 말글스튜디오 대표, 유머1번지 초대작가, <꽃이 되는 말, 칼이 되는 말> 저자] 이병헌, 김장훈, 차태현, 이경규, 김하늘, 김구라, 정형돈···. 인기 빵빵한 유명 연예인들이다. 演藝(연예)인이지 연애(戀愛)
[아시아엔=김재화 말글커뮤니케이션 대표] 대다수 다른 나라가 그렇지만 우리는 더욱 눈치를 봐야 하는 강대국 미국의 제45대 대통령에 트럼프가 당선됐다. 우리에게 썩 우호적인 말을 하지 않았던 트럼프다.
[아시아엔=김재화 <아시아엔> ‘문화예술’ 전문기자. 말글커뮤니케이션 대표, ‘웃으면 복이 와요’ ‘유머 1번지’ 작가] 막둥이 선생님! 8월27일이면 천국에서 무슨 웃음잔치라도 열리는 건가요? 14년 전 같은 날, 한국
기능을 말하는 것이기에 ‘무선호출기’라 해야 함에도 ‘삐삐’라는 애칭으로 더 사랑을 받았던 기계. 이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의 호출 알림 소리대로 삐삐(Beeper)라고도 불렀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초까지 널리
[아시아엔=김재화 말글커뮤니케이션 대표] 1990년대 말 ‘메르스 확산’ 같은 조짐에 이어 이내 ‘쓰나미급 유행어’가 된 말이 있다. 사전을 무시한 “아, 엽기발랄하다!”가 일상어가 된 것이다. 묘하고, 특이하고,
[아시아엔=김재화 말글커뮤니케이션 대표] 이토록 고약한 속담은 지구상에 한국밖에 없(었)을 것이다. 저 아마존 숲속 부족 무리들도 이 따위 말은 구사하지 않고 산다. “마누라와 북어는 사흘에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