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산책] 김용옥 교수의 ‘계림수필’···봉해(닭)가 ‘대철학자’ 도올을 깨우치다


도올 김용옥 교수는 자유분방한 듯하면서도 자기절제가 강하다. 그는 세세한 관찰과 부단한 책읽기로 시대를 요약하고 정리하여 거리낌 없이 공표한다. 서울 동숭동 대학로에서 닭을 기르며, 鷄我一體의 일기를 쓴 책이 <계림수필(鷄林隨筆)>(통나무, 2009.12)이다.

‘봉해처럼 살리라’고 소제목을 붙인 이 책은, 2009년 4월14일 ‘문득 시작해’ 2009년 11월9일까지 200일간의 기록이다. 봉해는 그가 키우는 닭 이름이며, 계림은 봉해가 노니는 자그만 동산이다.

김 교수는 2011년 8월14일 필자가 아시아기자협회 아이반 림(싱가포르) 회장과 ‘계림’을 방문했을 때, 일행에게 직접 만든 요리를 대접해주고 <계림수필> 표지에 필자 얼굴을 그려주었다.

그는 “최근 낙산재에서 암탉 한 마리가 봉황이 되는 사건이 있었다”고 책의 시작을 알렸다. 낙산재는 바로 그가 집필 겸 기거하는 곳으로 낙산 아래에 있어 지어진 이름. 그는 자신과 노니는 병아리(나중에 자라 닭이 된)들을 의인화하여, 자신의 지식과 지혜, 그리고 통찰을 책에 쏟았다.

일기는 어떤 날은 단 한, 두 문장 어떤 날은 사진과 함께 십여 쪽에 이르며, 과거와 현재, 동서양을 종횡무진한다. 필자가 밑줄 그은 그의 책 가운데 몇 대목을 소개한다.

“새벽 1시24분 <대학학기 한글역주>를 탈고하다”(11월9일)
“비만은 암보다 더 무서운 질병이다. 회춘의 가능성을 봉쇄시킨다. 이미 자기절제력을 상실한 것이다. 인간도 주색을 금하고 일상생활을 조절하면 회춘할 수 있다. 생체의 시간이 물리적 시간에 역행한다는 것은 아름다운 일이다.”(11월8일)

“진보론도 너무 편협한 이념이나 인맥에 매달리면 곤란하다. 억지로 보수까지 껴안을 필요는 없다고 하더라도, 포용이 부족하다. 좌우를 막론하고 현상에 대한 비판의식이 없는 글은 글이라 할 수 없다.”(266쪽)

“나 도올은 봉해처럼 살리라. 교육은 반드시 개념적 도덕적신체적 훈련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이 셋 중 하나라도 빠지면 교육이라 말할 수 없다.”(262쪽)

“민주의 기본원리는 자유가 아니라 협동이다.”(250쪽)

“우리나라 교육의 죄악의 원흉은 과외가 아니라 서울대학교와 교육부 두 기관이다. 둘 다 기본적으로 일본 천황제 교육의 연장판이다. 서울대 학부가 입시경쟁의 중심축이 되지 않으면 공교육이 질이 자연스레 높아지게 되어있다.”(248쪽)

“대학이나 신문사가 자주 도태되는 현상이 있어야만 정상적인 국가라고 할 수 있다.”(249쪽)

“나는 누가 선배라고 부르면, 그를 평생 다시 상대하지 않는다. 선후배 운운하는 모임에 끼어봤자 결국 나오는 것은 사람 욕 밖에 없다. 한국 사람들은 추상적 주제를 가지고 담론을 제기하지 않는다. 참으로 애석하다. 정치란 깨져도 깨져도 손해 볼 일이 없는 사람들 간의 게임인 것 같다.”(216쪽)

“내가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 58kg이었는데 지금도 유지하고 있다. 45년 동안 일체 몸무게 변화가 없었다. 그 눈금을 유지하기 위해 처절한 노력을 해온 것이다.”(206쪽)

“단재 신채호, 심산 김창숙, 우당 이회영, 이 세분은 모두 아나키스트 성향을 가진 분들이었다. 아나키즘은 무정부주의라고 잘못 번역되는 바람에 정부를 전복하는 무질서한 폭력적 사상처럼 오해되고 있지만, 아나키즘은 인간 세상의 불필요한 권력을 최소화하자는 사상이다.”(183쪽)

“나는 오후 불식을 결심했다. 내 오후 불식은 정오 오자가 아니라, 다섯 오자다. 즉 오후 5시 이후로는 안 먹는다는 것이다. 오후 불식이란 부처님께서 만드신 제도인데, 원시불교로부터 소승불교에 이르기까지 오늘날까지 지켜지고 있다. 초기 승단에서는 각박한 제도였으나, 오후 불식은 아침식사가 그렇게 맛있을 수가 없고, 또 엄청난 시간을 번다. 밤에 자다 일어났을 때는 반드시 양치질을 하라, 박테리아가 쏟아져 나간다. 구강건강이 엄청나게 좋아진다.”(172쪽)

“압구정 로데오거리는 썰렁하다. 그곳엔 문화가 없기 때문이다. 동숭동 대학로는 밤낮을 가리지 않고 항상 젊은이들이 바글거린다. 문화가 있기 때문이다. 대학로는 우리나라 면적 단위당 가장 많은 대학이 밀집되어 있다.”(168쪽)

“나는 결심했다. 죽을 때까지 나를 선생님이라 부르지 아니하는 불교계 언론과는 대면도 하지 않겠다. 자신을 높이면서 타인을 낮추려는 것은 우리나라 불교계 열등의식의 고질적 표출이다.”(92쪽)

“모든 비즈니스 레터 위에 아무개 선생님이라고 써보낸다고 해서 안 될 일이 무엇인가. 페트를 방안이나 아파트에서 끼고 사는 사람들은 인간에 대한 결손된 사유가 있다. 동물은 인간의 사적 공간에서 인간의 호오를 위해서 존재해서는 안 된다. 개의 인간에 대한 복종은 타자의 복종을 좋아하는 인간의 가장 천박한 마스터베이션에 불과하다. 봉해는 나의 엄마의 화신이라는 생각이 자꾸 든다. 윤회를 나는 믿지 않지만 나에게 나타난 봉해의 조촐하고 단호한 모습이 나의 엄마를 닮았다. 자식을 위해 희생하고 하루 종일 일하는 봉해, 나의 엄마를 연상시킨다. 조그맣게 과시적이지 않은 모습도 그러하다.”(71쪽)

“전라도 사람들은 기나긴 압제의 타성 때문에 그들 스스로를 압제의 사슬 속에 집어넣는 경향이 있다. 서로 물고 뜯는 것이다. 피동적 뭉침만이 있고 능동적 개방이 없다. 미래의 창조를 위한 뭉침이 없는 것이다. 기초가 쌓여있으니 생각만 바뀌면 되살아날 수 있다.”(71쪽)

“참새는 참으로 영민하다. 모기도 매우 영민하다. 모기가 사람의 피를 빨고, 사람의 분노를 피하는 방식은 호랑기보다 더 영민하다. 그래서 호랑이는 사라져가고, 모기는 창성한다.”(68쪽)

“이 세상이 나를 어찌 대하든 나는 소리 없이 살리라. 아무리 나를 끌어내리려 해도 침묵으로 일관하리라, 시비를 가리려하지 마라. 오직 우리는 내일을 위하여 무엇을 할 수 있을 것인가 그것만을 생각하자.”(55쪽)

“텔레비전 연속극을 안보는 삶이 위대한 삶이다. 연속극의 중독은 알콜 중독보다도 무섭다. 일상생활에서 TV를 안보는 사람이 반은 되어야 한다.”(51쪽)

“오늘 아침 봉해가 두해 동안 지녀오던 꽁지털이 모두 사라졌다. 여러 가지 정황으로 판단해 보건대, 부리로 자신이 뽑아낸 것이 확실하다. 자연적으로 깃털이 그렇게 다 빠질 수는 없다. 하룻밤 사이에 그 많은 깃털을 뽑은 그 결단력에 감탄을 금치 않을 수 없다. 대자연의 변화를 감지 못하고 살아가는 인간이 가엾기만 하다.”(48~49쪽, 10월 8일)

“역사의 승리는 항상 비전의 사람에게 돌아간다. 거대한 꿈을 실천해야 한다. 꿈이 있어야만 권력을 잡을 가치가 있다. 그런데 요즘 정치가들은 권력부터 잡고 꿈을 날조하려 한다.” (23쪽, 7월21일)

“보수에 대한 저주보다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진보에 대한 반성이다. 국민이 10년이란 세월을 진보에게 허락했는데, 그 세월동안 달성한 것이 아무 것도 없다.”(24쪽, 7월22일)

“노무현 대통령은 생각과 뜻은 선량했으나 역사의 방향을 구조적으로 틀지 못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자신의 편협한 삶과 가치관에서 나오는 확신과 관념에 매달려 민족의 창조적 가능성을 봉쇄시키고 있다.”(20쪽, 7월9일)

도올 김용옥 선생은 첫 일기(2009년 4월14일, 화요일) 끝 부분에 이렇게 적고 있다. “어제는 봉해가 알을 네 개나 낳아둔 것을 발견했다. 전혀 타자의 손이 닿기 어려운 은밀한 곳이었다. 좀 과장된 표현 같지만, 요 며칠 사이 봉해를 관찰하며 많은 생각을 했다. 의인화된 하나님의 마음보다는 내 마음을 자연으로 삼아야 하지 않을까?”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