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귀만의 포토월드] 여운을 남기는 춤을 추고 싶은 문동주

무용가 문동주 <사진=신귀만 작가>

시작이 그리 이르진 않았다. 기회 또한 우연히 찾아왔다. “고등학교 때 전학을 가게 됐는데. 2학년쯤 무용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본격적인 건 3학년 때부터였어요. 그렇게 시작한 무용이 너무 재미있었어요.” 그 후 무용과로 대학에 진학해 만난 손경순 선생님은 자신의 목표가 되었다.

“저도 사람들을 빠지게 하는 흡입력 있는 춤을 추고 싶어요. 같은 춤을 여러 번 반복해서 보게 되면 지겨울 때가 있지만 그렇지 않은 춤을 추는 사람들이 있죠. 전부 보여주기보다는 절제된 면을 가지면서도 우아한 춤을 추고 싶어요.” 보고 난 후에 잔상이 남아 여운을 느낄 수 있는 춤을 추고 싶은 바람이 있다.


생활을 변화시킬 수 있는 춤

좋아하는 무용을 하는 생활이 좋다. 연습하면서 춤추고 무대에 오르는 이런 생활이 만족스럽고 앞으로도 계속했으면 한다.

“지금은 중학생들을 가르치면서 무엇보다 ‘남들이 해보지 못하는 것을 한다’는 점을 강조해요. 이런 경험은 나중에 무용을 계속하고 안 하고에 관계없이 큰 재산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가끔 학생들은 예상치 못한 질문, 예를 들어 굽히라는 말에 맞게 “그럼 몇 센티미터 굽혀요?”라는 질문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미 언급한 것처럼 마음가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춤으로 생활이 변화할 수 있다고 믿어요. 생활이 정리되면 춤도 따라서 좋아지기도 하죠. 더디더라도 그렇게 해야해요. 아무리 춤이 빼어나도 생활이 정돈되지 않으며 그 춤이 오래가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자신의 생활은 집, 연습실이 전부인 단순한 패턴의 반복이다. 남들이 보기엔 심심할 수도 있겠지만 이런 생활이 재미있다. 한 가지에 집중해야 하는 성격이다.

“조금은 무심한 성격이라 표현을 제대로 하지 못해서 성격과 무용이 부딪힐 때도 많았어요. 하지만 그렇다고 그저 남의 동작을 흉내 내기만 할 수도 없었습니다. 포기하고 싶을 때도 많았지만 시간을 두고 기다린다는 생각을 했어요. 사람마다 때가 있듯 모든 것이 하나의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다 함께 즐기는 잔치

아직 해보지 못한 것이 많기 때문에 배운 것에서 새로움을 찾는 단계는 아니다. 하지만 그래서 춤은 항상 새롭고 재미있다. 무대도 마치 잔치같다고 생각한다. 평가되는 자리이면서 동시에 다 함께 즐기는 잔치도 되는 것이다.

“테크닉이 뛰어나지 않아도 표정이 좋아 보여 기분 좋아지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춤을 출 때 즐거운 제 감정이 움직임과 표정으로 전달되어 사람들과 함께 나눌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연습하면서 힘들고 어려울 땐 소리죽여 울기도 하지만 결국 문제도 답도 자신 안에 있었다. 그런 과정을 겪으며 성장할 때 행복을 느낀다.

“저는 물이 좋습니다. 무용도 물과 잘 어울리는 것 같아요. 물 자체는 색깔도 모양도 없지만 담는 것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또 끊임없이 흐르면서 장애물이 있을 땐 돌아가기도 하죠.” 결국, 흐르는 물은 뿌리를 향해 간다고 생각한다. 그런 물의 흐름을 닮은 춤을 추면서 더 깊어지고 싶다. <글=최경국 명지대 교수, 김다혜 작가>

*설장고
제천의식을 치른 후 열리는 축제에서 악기(북, 장고, 쇠, 징)를 들고 원을 그림 춤을 추다가 흥이 정점에 도달할 때 각자 자기의 장기를 자랑하며 춤을 추었는데, 그때 추던 춤을 장고춤이라고 한다. 네개의 악기 중 쇠는 번개소리, 징은 바람소리, 북은 구름소리, 장고는 비소리를 상징하는 것으로, 이는 하늘을 경외하고 칭송하며 그 뜻이 땅에서도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기원을 담고 있다. 이러한 장고춤은 고대 농경사회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이어져오는 한국 축제 춤 중의 하나이다.

*문동주
숭의여자대학 무용과 졸업
수원대학교 무용과 졸업
손경순 예전무영단 단원
서문여자중학교 전퉁무용 강사
경인교육대학교 평생교육원 강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재학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