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귀만의 포토월드] 에너지가 담긴 힘있는 춤, 조유섭

무용가 조유섭 <사진=신귀만 작가>

조유섭?에너지가 담긴 힘 있는 춤

어렸을 때부터 사람들의 시선 중심에 서는 것을 좋아했다. 혼자서 뮤지컬을 하는 등 여러 상황을 만들어 즐겼다. 가족들 앞에서 하던 것을 학교에 들어가면서 친구들을 관객으로 하게 되었다. “걷고 뛰고 땀 흘리는 것처럼 몸을 움직이는 게 좋았습니다. 그래서 예고 무용과에 진학하기로 마음먹었어요. 고등학교 때부터 본격적으로 춤을 배우게 됐습니다.”

그렇게 한국무용을 시작한 후 고3 때 잠시 위기를 겪었다. 집안이 어려워져 입시 준비를 하기 어려워진 것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배운 것으로 직접 해보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돼 직접 창작한 안무로 시험을 보고 무사히 합격했다. 눈빛에서 강한 의지나 에너지 같은 것이 전달됐던 게 아닌가 생각한다.

진심이 전달될 수 있는 춤

“제가 무용수로서 신체조건이 뛰어나다고 생각하지는 않아요. 하지만 에너지가 담긴 힘 있는 춤을 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세련되고 멋있는 테크닉이 뛰어난 춤보다는 진심이 전달될 수 있는 춤을 추고 싶다. 감정을 이입해 공감할 수 있는 춤이 좋다고 생각한다. 생각이 담겨있지 않은, 진심이 느껴지지 않는 춤은 멋있는 춤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사실 지금은 지향해야 할 춤에 대해 확실히 정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만물에는 변하면서도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고 생각하고 춤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간단하게는 같은 동작이라도 그날의 기분에 따라 달라질 때가 있어요. 항상 바뀌지만 그렇다고 춤이 전부 변하지는 않죠. 그런 면에서 심신에 담긴 것들을 모두 표현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하지만 한편으로 선생님들의 춤을 볼 때면 흐르는 대로 추는 게 진정한 춤이 아닐까 생각하기도 한다. 아직은 여러 과정을 거치며 배우는 중이다.

결국, 삶 자체가 춤이고 그 안에 모든 것이 들어있다. 사람들이 그런 부분을 알아보지 못하더라도 결국 전달되는 부분은 있기 마련이다.


사람들이 딛고 설 수 있는 대지

“창작할 때는 우선 잘 표현할 수 있는 것을 찾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직접 경험한 것이나 예전의 기억, 그때의 감정 등 여러 가지를 떠올리려 노력할 때도 있어요. 그런 것들을 어떻게 관객에게 전달할 것인가를 많이 고민해요.”

그렇게 창작을 하며 춤을 추지만 무대에 오르는 것과 다르게 현실적인 부분과도 마주해야 한다. 앞으로의 길에 대해 생각하면서 잠시 무용을 쉬고 다른 일을 해본 적도 있었다. 하지만 결국 다시 춤으로 돌아오게 됐다. 무대에 서기 위함이라기보다는 춤을 추는 것이 이미 하나의 생활이 되어 있었다. 물론 힘들 때도 있지만 그런 시간을 힘들다고 생각하지 않으면서 지금 같은 마음으로 계속 춤을 추고 싶은 것이 바람이다.

“문득 까만 흙이 떠올랐어요. 단단해 사람들이 딛고 설 수 있는 대지요. 저는 그런 대지 같았으면 합니다. 항상 변함없이 존재하는 대지처럼 그 자리를 지키고 있을 수 있으면 해요.” 또한, 땅은 가꾸면 풍요로움으로 우리에게 돌아온다. 그렇게 자신을 꾸준히 손질하며 성실해질 수 있었으면 한다. 그러면 자연스레 풍성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렇게 자리를 지키면서 계속 춤을 추고 싶다. <글=최경국 명지대 교수, 김다혜 작가>


*창작무용 처용아비: 처용무는 자연 만물의 순환 회귀하는 모습을 표현하는 춤이다. 올바름과 당당함 그리고 평온하여 조화를 이룸은 어진 임금의 태평한 세상을 암시하며 기후가 적절한 태평한 세상에서는 농사의 풍작을 기원한다. 이로써 역병을 침범할 수 없다. 더 나아가 우리네 아버지들은 지금의 처용이다. 따뜻하고 당당한 처용아비.

*조유섭: 부산예고 졸업.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무용학과 졸업. 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 전수자. 현재 강미리 ‘할’ 무용단 정단원.

news@theasian.asia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