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기자회견, 이낙연·정세균 총리 이취임을 보며
[아시아엔=김덕권 원불교문인협회 명예회장] 근 1년 동안을 온 나라에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개혁입법들이 1월 13일 국회를 통과했다. 14일에는 문재인 대통령의 연두기자회견이 열려 1시간 50분 동안에 걸쳐 지켜보았다. 그리고 이낙연 국무총리의 퇴임과 정세균 신임총리의 취임식을 보았다. 이제는 우리나라 정치인들이나 두 패로 갈라진 국민들도 한번쯤 되돌아보는 시간이 돼야할 것 같다.
요즘 국민들의 가장 큰 걱정 중 하나는 정치가 너무 오랫동안 국가 전반에 부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다. 정치는 국가가 해야 할 여러 분야 중의 하나에 자나지 않는다. 정치 말고도 우리가 해결해야 할 현안들이 얼마나 많은가?
남북문제, 북미 핵회담, 방위비협상, 호르무즈 파병, 한일무역 갈등, 총선 등 그야말로 문제가 산더미 같다. 그런데도 작금의 언론 뉴스를 보면 70% 이상이 정치문제를 가지고 아귀다툼하는 것만 보여준다.
사마천(司馬遷, BC 145?~BC 86?)은 2천여년 전 <사기>(史記)에서 “호전적인 나라는 반드시 망한다”고 했다.
국가만 그러한 것은 아니다. 싸우기 좋아하는 정당이나 개인도 마찬가지다. 늘 부정적인 사람이나 늘 호전적인 사람은 언제나 그 결말이 좋지 않다. 우리 주변에 보면 다른 사람을 깎아내려서 자신을 돋보이려고 애를 쓰는 사람이 있다.
그런 사람은 남을 짓밟아야 자신이 높아지는 줄 아는 것 같다. 그리고 현란한 언변으로 남의 주장을 함부로 제압하려거나 자신의 얘기가 늘 옳다는 듯이 단정적으로 목소리를 높이는 사람이 많다.
나는 이러한 사람을 볼 때마다 가시가나무가 생각난다. 나무의 가시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잎이나 가지 등이 변형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가시를 가진 나무는 많다. 아카시아, 장미, 찔레, 탱자나무 같은 것들이다.
그런데 이들 나무의 공통점은 모두가 집을 지을 정도로 큰 재목으로 자라지 못한다는 점이다. 그에 반해 가시를 가지고 있지 않은 나무는 거목(巨木)으로 성장해서 여러 용도로 사용된다. 나무나 사람이나 똑같다. 가시가 많은 나무나 가시가 많은 사람은 크게 성장하지 못하는 법이다. 왜냐하면 뾰족한 사람에게는 다칠까 봐 아무도 다가가지 않는다.
그런데 참 이상한 것은 가시가 많은 사람은 자신의 말이나 행동에 가시가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른다. 그래서 자신의 가시에 주변 사람들이 자주 다치고 있다는 것조차도 알지 못한다. 혹시라도 내가 가시 많은 사람은 아닌지 우리 한번쯤 돌아보면 좋겠다. 나는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남들은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 않겠는지 말이다.
조선후기 유학자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1798∼1879)은 일찍이 다음과 같은 교훈을 남겼다.
處世柔爲貴 剛强是禍基 發言常欲訥 臨事當如癡
急地尙思緩 安時不忘危 一生從此計 眞個好男兒
처세에는 부드러운 것이 제일 귀하고, 강하고 센 것은 재앙의 근본이다. 말하기는 어눌한 듯 조심히 하고, 일을 당하면 바보인 듯 삼가 행하라. 급할수록 마음을 더욱 늦추고, 편안할 때 위태해질 것을 잊지 마라. 일생을 이 글대로 살아간다면 그 사람이 참으로 대장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