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심리방역 그리고 ‘마스크 사태’가 몰고온 불안·공포·분노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보건영양’ 논설위원, 보건학박사,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서울대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건강커뮤니케이션 전공) 연구팀이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국민위험인식조사’를 1차(1. 31-2. 4) 및 2차(2.25-28) 두 차례 실시했다.·
유 교수는 “신종감염병이 초래하는 위기상황의 대응은 보건당국, 언론, 시민/사회가 관여하는 다주체(多主體) 활동이며, 그 핵심에 효과적인 위기소통이 있다. 원활한 사회적 위기소통을 촉진하는 자료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본 조사를 실시했다”고 말했다.
시민/사회의 경험과 평가영역에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일상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1차 조사 10.2%에서 2차에서는 4.2%로 줄었다. 한편 일상의 완전한 정지(=0)와 번화 없음(=100) 사이에서 절반 이상의 일상 정지를 시사하는 50점 이하 응답자가 1차 조사 때 48.0%에서 59.8%로 늘었다.
감정 경험 항목에서 1차 조사 때는 불안(60.2%)이 압도적이었고 공포(16.7%), 충격(10.9%), 분노(6.8%)가 뒤를 이었다. 그러나 2차 조사에서는 불안(48.8%)에 이어 분노가 21.6%로 대폭 상승하였다. 그리고 충격(12.6%), 공포(11.6%), 슬픔(3.7%), 혐오(1.7%)가 뒤를 이었다. 분노를 느꼈다는 응답은 20대, 대구경북 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혐오표현을 듣거나 본 적이 있는가’를 묻는 복수응답 질문에 58.4%가 그렇다고 응답해 1차 때 60.4%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혐오표현의 대상’은 1차 조사에는 ‘중국인’이 82.1%, ‘바이러스 감염 확진자’ 9.9%, 그리고 언론매체와 정당 및 정치인은 각각 2.5%에 불과했다.
그러나 2차 조사에서는 중국인(66.4%), 바이러스 감염확진자(46.2%), 확진자가 발생한 특정지역(42.9%), 대통령이나 고위공직자(41.5%), 특정 정치인이나 정당(32.7%), 조선족(20.1%), 특정언론이나 매체(18.8%) 등 지역, 정치, 언론 등으로 혐오표현의 대상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메르스 사태 때 감염환자는 186명이었지만, 격리된 사람은 1만4999명에 달했다. 이들 중 1692명을 대상으로 심리상태를 가톨릭의대 예방의학교실, 질병관리본부 등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불안증’이 확진자(47.2%)와 격리자(7.6%)로 나타났으며, 격리 해제 후 4개월이 지난 뒤에도 확진자(19.4%), 격리자(3.0%)의 불안상태가 지속됐다.
‘분노감’은 확진자(52.8%)와 격리자(16.6%)에서 나타났으며, 4개월 후에도 확진자(30.6%)와 격리자(6.4%)에서 지속되었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서는 감염병 유행 시기에 따라 적절한 심리방역(마음 방역)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심리방역은 감염병 초기가 지나고 지역사회 감염이 현실화되는 유행기에 중요하다. 최근 ‘마스크 사태’로 국민들의 불안과 공포는 분노로 전이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