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꽂이’ 보면 동서양 문화 차이 금세 알 수 있다

꽃꽂이는 문화차이를 잘 드러내 보이는 또다른 문화다. <사진 유튜브>

[아시아엔=김덕권 원불교문인협회 명예회장] 대인은 마음이 허공과 합일(合一)한 사람이 아닐까? 보통 동양종교를 진공묘유(眞空妙有)의 비움의 종교라면 서양종교는 성령(聖靈) 충만의 채움의 종교라고 한다.

동양과 서양의 꽃꽂이도 이와 같아서 서양은 다양한 종류의 꽃을 360도 꽉꽉 채워 보여준다. 반면 동양의 꽃꽂이는 꽃과 꽃 사이 여백을 통해 자연의 신비를 전하는 데 주력한다. 전방위가 아닌, 특정 각도 전시만으로 충분한 것이다.

채우고 메우는 과정에서 서양식 꽃꽂이는 꽃이 많이 필요하지만 동양 꽃꽂이는 꽃과 풀 하나만으로도 가능하다. 신이 창조한 자연을 가감 없이 즐기자는 것이 서양의 가치라면, 인간과 꽃이 함께 창조해내는 빈 여백 속의 자연 찬미가 동양의 가치다.

원불교의 성가(聖歌)중에 ‘입정(入定)의 노래’가 있다. 마음의 원리를 밝힌 노래다.

예쁘고 밉고 참마음 아닙니다.
좋고 나쁘고 참마음 아닙니다.
허공처럼 텅 빈 마음 그 것이 참마음
이 마음속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밖에서 들어오는 마음 없습니다.
안에서 나가는 마음 없습니다.
없다는 한마음 그 맘도 없습니다.
없고 없고 없는 마음 그대로 그대로.

정산(鼎山) 종사는 <법어>(法語) ‘원리편’에서 이런 말씀을 하신다.

“그대들은 허공이 되라. 허공은 비었으므로 일체 만물을 소유하나니, 우리도 대인이 되려면 그 마음이 허공 같이 되어야 하나니라. 자신을 다스리되 빈 마음으로써 하고, 가정을 다스리되 빈 마음으로써 하고, 나라를 다스리되 빈 마음으로써 하며, 모든 동지와 모든 동포를 대할 때에도 또한 빈 마음으로써 화(和)하여, 매사에 상(相)이 없고, 원근이 없으며, 증애(憎愛)가 끊어지면 불보살이니라.”

아예 생각 자체를 지우고, 머리를 텅 비우라는 것이다. 이것이 선(禪)의 본질이다. 1993년 열반한 성철스님이 이런 말씀을 했다. 기자가 산보 나서는 스님에게 물었다.

“걸으면서 무슨 생각을 하시나요?”
“생각은 무슨. 아무런 생각도 안 해요.”

노자의 <도덕경>에는 비우는 것이 경쟁력이라며 몇 가지 비움의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허심실복(虛心實腹). ‘마음을 비우고 배를 채워야한다.’ 마음에 욕심이 가득차고 욕망이 가득하면 머리가 무거워져 결국 중심을 잃고 쓰러지게 마련이다.

둘째, 약지강골(弱志强骨). ‘뜻을 약하게 하고 뼈를 튼튼하게 하라.’ 의지가 너무 강하면 마음의 상처가 됩니다.

셋째, 색태폐문(塞兌閉門). ‘감각기관을 닫고 정신활동을 정지시켜라.’ 입을 막아 말을 아끼고, 눈을 막아 화려한 색을 피하며, 귀를 막아 아름다운 소리를 멀리 한다.

넷째, 좌예해분(挫銳解紛). ‘날카로움을 꺾고 복잡함을 풀어라.’ 날카로운 칼은 남에게 상처주기 쉽다. 그 날카로움을 꺾어 누구도 찔리지 않게 해야 한다.

다섯째, 화광동진(和光同塵). ‘광채를 줄이고 세속의 눈높이에 그 눈높이를 맞추라’ 빛이 강한 사람에게는 사람이 모여 들지 못하기 때문이다.

허공과 같이 텅 비어있는 마음이 모든 것을 포용한다. 허공처럼 텅 빈 마음이 바로 우리가 진리와 하나 된 모습이다. 텅 비어있는 마음으로 깨달음을 구하고, ‘없고 없고 없는 마음 그대로 그대로’인 사람이 세상 최대의 대인이고, 최고의 인생이 아닐까?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