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민수의 로·티·플⑥] 가깝고도 먼나라, 멀고도 가까운 나라

[아시아엔=차민수 강원관광대 교수, 드라마 <올인> 실제인물] 원래 빙하시대 이전에는 한국과 일본 사이에는 바다가 없었다. 빙하가 녹으며 수심이 400m가 되어 일본은 자연히 섬으로 나눠졌다. 현재 현해탄 수심의 깊은 곳이 200m 밖에 되지 않는 것을 보면 싶게 이해될 것이다.일본과 한국은 하나의 민족이었다는 이야기다. 일본인의 80% 이상이 우리와 같은 DNA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섬나라로 오랜 기간 지나면서 생긴 모습은 조금 달라졌지만···.

섬나라 사람의 본능에는 대륙으로 가고자 하는 ‘대륙지향적 사고’가 있다. 영국을 보면 답이 쉽게 나온다. 영국이 해가 지지 않는 나라였던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역사는 되풀이 되는 법이다. 우리 인간에게도 유행이 되풀이되어 돌아오듯이 역사 또한 그렇다. 신라시대 때도 왜적이 침공하여 도적질을 하였다는 기록을 볼 수 있다. 임진왜란 때 명나라를 치겠으니 길을 내라고 한 것도 침략의 구실이며, 한일합방도 자신들의 야욕을 그대로 성공시킨 것이라고 하겠다.

그러면 현재 상황은 어떤가? 필자는 지금도 진행형이라고 본다. 앞으로 대한민국의 국력이 흔들리면 언제라도 다시 한국을 합병하려 들 것이다.

독일은 수상이 바뀔 때마다 2차세계대전을 일으킨 것에 대하여 사죄하며 유대인 학살 현장인 아우슈비츠수용소에 직접 가서 헌화한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그러한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뜻을 밝힌다.

일본은 어떠한가? 일본의 장관이나 지도자들이 “위안부는 자발적으로 간 것”이라든지 “징병도 자발적이었다”라는 망언을 수없이 되풀이 하고 있다. 반성과 사죄가 없다는 것은 다시 그럴 수 있다는 뜻이다.

강경화 외교부장관이 위안부 문제해결을 거론한 것은 늦었더라도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다. 앙금을 가지고 가까워질 수는 없는 것이다. 일본의 양심적인 지식인들은 “일본이 2차세계대전 중 아시아 국가들에 끼친 피해에 대하여 부끄럽고 심히 죄송스럽다”고 말한다.

하지만 수상 아베를 추종하는 극우세력들은 아직도 부끄러운 줄 모르고 헛소리와 변명으로 일관하고 있다.

트럼프가 당선되자마자 미국을 맨 처음 찾은 것은 아베다. 힘있는 미국에게는 아부하고 머리를 조아리는 아베가 한국에게는 고자세다. 심히 분한 일이다.

일본을 이기려면 우리가 일본보다 부강한 나라가 되어 그들이 우리를 다시는 넘보지 못하게 하는 방법밖에 없다. 즉 국력인 것이다. 국력에는 경제력만 있는 게 아니다. 문화와 높은 국민수준이 포함된다. 촛불시민들의 간절한 희망을 품고 당선된 문재인 대통령이 바로 그런 자신의 입지를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적극 활용하면 어떨까?

미국은 멀지만 가까워야 할 수밖에 없는 나라다. 그것이 국익을 지키는 첩경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이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