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
[잠깐묵상] 아주 오래된 감옥···내 자신의 감정·사고방식·논리·경험···.
사람은 저마다 독특한 감옥에 갇혀 살아가는 죄인입니다. 그 감옥은 자신의 감정, 사고방식, 논리, 경험의 총합으로 이루어진 세상입니다. 우리는 자신의 경험이 형성한 세계를 ‘있는 그대로의 현실’이라고 믿습니다. 그렇기에 그 세계 밖에 있는 것은 실재하지 않거나, 틀렸거나, 어리석은 것으로 간주합니다. 또한 다른 사람도 자신과 비슷한 사고방식을 갖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기며, 털끝만큼의 의심도…
더 읽기 » -
칼럼
[잠깐묵상] 비극을 통해 알게 된 간극
“힘으로 시작된 전쟁은 언제나 어느 한쪽이 죽어야 끝이 납니다. 하지만 그 끝이 진짜 끝일까요? 원한과 복수의 시작입니다. 하나님 은혜를 알면 쉽게 다짐하고 행동하기보다 그저 무릎을 꿇습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수준을 보여 줍니다. 갈등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인간이 고작 한다는 것이 희생양을 물색해서 십자가에 매다는 일이라면, 하나님은 바로 그 희생양이 되기를 자처하시며…
더 읽기 » -
칼럼
[잠깐묵상] 마지막 남은 반사신경, 누구를 의지하시렵니까?
‘무조건 반사의 경로’ <출처 금성출판사 티칭백과> 사무엘상 30장 “백성들이 자녀들 때문에 마음이 슬퍼서 다윗을 돌로 치자 하니 다윗이 크게 다급하였으나 그의 하나님 여호와를 힘입고 용기를 얻었더라”(삼상 30:6) 다윗과 그의 일행이 시글락으로 돌아왔을 때, 그들의 눈앞에 펼쳐진 광경은 불타버린 성읍과 흔적도 없이 사라진 가족들이었습니다. 아말렉 사람들이 기습하여 모든 것을 빼앗아간 것입니다.…
더 읽기 » -
칼럼
[잠깐묵상] “다윗 안에도 사울이 있었습니다”
사울에게 하프를 연주하는 다윗 사무엘상 25장 “다윗이 자기 사람들에게 이르되 너희는 각기 칼을 차라 하니 각기 칼을 차매 다윗도 자기 칼을 차고 사백 명 가량은 데리고 올라가고 이백 명은 소유물 곁에 있게 하니라”(삼상 25:13) 다윗은 화가 머리끝까지 치밀어 올랐습니다. 자신이 나발에게 베푼 호의가 무시당하는 순간, 결국 분노가 임계점을 넘어버렸습니다. 부하…
더 읽기 » -
사회
[잠깐묵상] 다윗과 요나단…문경지우(刎頸之友)
익산에서 발견한 황새 <사진 박경만> 사무엘상 23장 “곧 요나단이 그에게 이르기를 두려워하지 말라 내 아버지 사울의 손이 네게 미치지 못할 것이요 너는 이스라엘 왕이 되고 나는 네 다음이 될 것을 내 아버지 사울도 안다 하니라”(삼상 23:17) 요나단은 왕세자였습니다. 아버지 사울을 이어 이스라엘의 왕이 될 사람이었습니다. 다윗을 제거하는 일에 누구보다 앞장서야…
더 읽기 » -
사회
[잠깐묵상] 시편 34편…사랑과 용서와 십자가
다윗이 사울을 피해 도망다니는 중에 쓴 노래 가사가 있습니다. 시편 34편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그는 여호와의 선하심을 노래합니다. 그의 입술에는 불만과 불평 대신에 찬양과 감사가 있었습니다. 참 이상한 일 아닙니까? 사울은 다윗의 인생을 망가뜨리기 위해 온 힘을 다하고 있는데, 정작 망가지고 있는 것은 사울 자신의 인생이었습니다. 이 추격전에서 피가 말랐던 사람은 사울이었던…
더 읽기 » -
사회
[잠깐묵상] 사람은 외모를 보지만, 그분은 나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웹툰 ‘외모지상주의’ 사무엘상 16장 “사람은 외모를 보거니와 나 여호와는 중심을 보느니라”(삼상 16:7) 누구나 그런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옷차림 하나, 말투 몇 마디, 특정한 행동 몇 가지 등 그런 조각들만으로 타인이 나를 판단하고, “저 사람은 그런 사람이구나” 하고 정의가 내려지는 경험 말입니다. 타인이 알고 있는 몇 개의 단서가 곧 나의 전체가…
더 읽기 » -
사회
[잠깐묵상] 사울이 가장 왕다웠던 순간
그는 자신의 왕권을 챙기는 대신, 하나님이 이루신 구원의 의미를 기억했습니다. 자신의 감정을 해결하는 것보다, 하나님의 구원을 선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순간이 사울 인생의 절정이었습니다. 가장 왕다웠던 순간입니다. 사울,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인생은 자신의 왕권을 지키려고 할 때 가장 바닥이었습니다. 왕권에 위협이 되는 다윗을 제거하려는 과정에서 그는 왕다운 면모를 모두 잃었습니다.(본문에서) 그림은 ‘다윗을…
더 읽기 » -
사회
[잠깐묵상] 하나님은 우리의 보호자인가? 수호신인가?
법궤 속에는 하나님이 손수 쓰신 십계명 돌판과 하나님이 직접 내리신 만나와 하나님이 직접 싹이 나게 하신 아론의 지팡이가 들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 어떤 신령한 물건이 법궤 안에 들어 있다 하더라도 하나님을 떠난 이스라엘 앞에서 법궤는 그저 싯딤나무로 만들어진 궤짝,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었습니다. 우리가 읽고 있는 성경이 아무리 영적인…
더 읽기 » -
칼럼
[잠깐묵상] “변질은 늘 조용히 시작됩니다”…나의 영적 현주소는?
무한한 경쟁, 식지 않는 탐욕, 서로를 태우는 분노의 불길이 세상을 집어삼키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이 불길을 멈추기 위해, 전혀 다른 성질의 불을 준비하셨습니다. 맞불입니다. 이것은 사람의 열심이 만든 불이 아닙니다. 사람의 열정이 식어버린 그 자리에 하나님께서 홀로 남아 애를 태워 빛을 내는 불입니다.(본문에서) 사무엘상 3장 “하나님의 등불은 아직 꺼지지 아니하였으며 사무엘은…
더 읽기 » -
사회
[잠깐묵상] 씨실 구속사(救贖史)와 날실 인간사(人間事)의 만남
하나님은 당신의 섭리를 논리적 체계나 교리로 가르치시기보다 이야기로 가르치십니다. 인문(人文)과 천문(天文)이라는 두 무늬가 어우러져 전혀 새로운 무늬를 만들어 내는 이야기입니다. 지극히 인간적인 이야기이지만, 그 속에는 하나님의 서사가 흐르고 있습니다. 이것은 엄격한 과학적 언어로는 측정할 수 없는 깊이입니다. 법률적 용어의 치밀함으로도 진술이 불가합니다. 오직 서사로만 표현될 수 있는 깊이와 넓이입니다.(본문에서) 룻기…
더 읽기 » -
칼럼
[잠깐묵상] 분노를 설계하는 사람
한 명의 레위인이 지핀 분노의 불길은 좀처럼 진화되지 않고 이스라엘을 오래도록 태우고 있었습니다.(본문 가운데) 사사기 19장 “그 집에 이르러서는 칼을 가지고 자기 첩의 시체를 거두어 그 마디를 찍어 열두 덩이에 나누고 그것을 이스라엘 사방에 두루 보내매”(삿 19:20) 자기 첩의 시체를 토막 내서 여러 지파에 보낸다는 발상은 가히 충격적입니다. 이것은 메시지를…
더 읽기 » -
칼럼
[잠깐묵상] “이렇게 사는 것이 맞나?”
마땅한 일이 처음부터 마땅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처음엔 못마땅했던 것들이 점점 익숙해지고, 익숙해지면 당연해지고, 당연해지면 도리어 이전에 마땅하던 것들이 못마땅해지는 순간이 옵니다.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사람들이 당연하다고 여기는 것들에 의문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그게 정말 성공적 삶일까?’, ‘그게 진짜 행복이고 기쁨인가?’, ‘이렇게 사는 것이 맞나?’(하략) 사진은 서울 익선동 골목 사사기 18장 “전에…
더 읽기 » -
칼럼
[잠깐묵상] ‘인스타용 스포츠’, ‘인스타용 데이트’라는 말과 사사 ‘엘론’
오늘날은 개인적으로도 방대한 양의 기록을 남길 수 있는 시대입니다. 나의 일상과 생각, 신념 등의 상당한 부분을 SNS상에 기록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이 기록에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관심을 보입니다. 그러다 보니 SNS에 기록될 만한 순간을 연출하기 위해 살아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인스타용 스포츠’, ‘인스타용 데이트’라는 말이 괜히 있겠습니까? 사사 엘론, 그는 이 땅에…
더 읽기 » -
칼럼
[잠깐묵상] 사람이 선택한 신들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을 제거한 자리에 자기 수준의 신을 갖다 놓았습니다. 그런 그들에게 하나님은 “너희가 선택한 신들에게 부르짖어 보아라”고 말씀하십니다. (중략) 결국 인간은 스스로를 구원해야 하는 막다른 길에 다다르고 맙니다. 위버멘쉬(Übermensch)가 되든가, 이데올로기에 자신을 맡겨야 합니다. 그런데 위버멘쉬를 이야기한 니체는 위버멘쉬가 되었습니까? 인류 역사에 등장한 이데올로기들은 과연 이 세상을 유토피아로 변화시켰습니까?(본문에서)…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