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통계] “저소득층, 다문화 수용성 낮아”

한국여성정책硏?안상수 위원 국내 첫 ‘다문화수용성’ 조사

일반 국민들의 다문화 인식은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상수 연구위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안상수 연구위원은 25일 서울 전국은행연합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여성가족부 주최 제5차 다문화가족포럼에서 일반 국민 2500명(19~74세)을 대상으로 문화개방성, 국민정체성, 세계시민행동의지 등을 조사해 측정한 다문화수용성지수 평균이 51점(100점 만점)으로 나왔다고 밝혔다.

안 연구위원은 ‘국민 다문화 수용성 제고를 위한 향후 정책방향과 과제’에 대한 주제 강연에서 “최초로 이뤄진 조사인 탓에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높낮음의 기준은 없으나 다문화수용성 상위 20%에 속한 국민의 평균지수가 70점인 것을 고려하면 향후 국민의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외국인 근로자와 노동시장 중첩 가능성이 높은 저소득층 및 단순 노무직 분야에서 일하는 내국인은 다문화수용성이 50점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며 “노동시장이 중첩돼 경쟁관계에 놓일 수 있는 내국인을 대상으로 다문화수용성을 제고할 정책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제사회와 비교해 다문화 공존에 대해 부정적인 반면 이주민을 위협적 대상으로 안 보는 현상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 대다수가 외국 이주민의 존재를 체감하지 못하거나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에 대해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해석했다.

이번 조사에서 친인척 중 외국인이나 이주민이 있거나 이주민과 교류가 빈번한 경우 오히려 다문화수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또 이주민이 한국 문화와 관습에 순응할 것을 요구하는 일방적 기대가 강한 특징을 보여줬다.

안 연구위원은 “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해 ‘대상별 및 생애주기별 맞춤형 다문화교육 강화’, ‘일반국민과 다문화가족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기회 제공 강화’, ‘다문화 인식 제고를 위한 미디어 환경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토연구원이 2009년 정부에 제출한 ‘그랜드비전 2050 : 우리 국토에 영향을 미칠 미래변화 전망 분석’ 용역보고서에서 2050년의 우리나라 메가트렌드를 ‘저인구’, ‘초고령화’, ‘다문화사회’로 제시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외국인은 2020년에 254만명, 2050년에는 409만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남주 기자 david9303@theasian.asia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