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일 본명 되찾은 김지하 고향 유달산에서 쓴 이동순 시인의 ‘조사’
지하 형님의 별세 소식을 접하고 저의 가슴 속에는 만감이 교차합니다. 그래서 예전 1986년 7월 5일 새벽, 저에게 직접 써보내신 편지를 꺼내봅니다.
형님께서는 ‘지하’란 이름의 무게를 대단히 힘들고 불편하게 생각하신 듯합니다.
그 이름으로 썼던 여러 시작품들, 그 이름 때문에 겪었던 온갖 고초와 박해의 시간들, 그것으로부터 훨훨 벗어나 홀가분한 자유의 시간을 갈망하셨습니다.
한 인간에게 짐 지어진 이름의 굴레는 너무도 거추장스럽고 무거웠습니다. ‘김지하’라는 이름에게 요구하는 대중들의 강박은 몹시도 거북하고 불편했지요. 그래서 본명 ‘김영일’로 돌아가고 싶었던 것이지요.
하지만 그토록 갈망하던 소원을 생시에는 이루지 못하고 사시다가 별세 후 드디어 본명 ‘김영일’을 회복하셨네요. 빈소의 영정사진 밑 ‘김영일’이란 이름이 오늘 따라 한층 빛나는 광채로 느껴집니다.
형님께서는 당신의 장례식을 제가 살고 있던 충북 청주에서 하고싶어 하셨고 그 장례식의 조사를 저에게 쓰라고 그토록 이르셨건만 그 뜻을 이루지 못하셨네요.
드디어 ‘김지하’라는 허명에서 벗어나 본명 ‘김영일’로 돌아간 형님! 사진 앞에 서서 눈을 감고 명복을 빕니다.
1985년 그 뜨겁던 여름, 청주의 전채린 교수 댁 거실에서 윤구병, 김성동 둘을 심판으로 앉혀놓고 형님과 둘이 마주 앉아 꼬박 밤을 새며 무려 8시간 동안 노래시합을 펼치던 그날 밤의 뜨겁던 분위기가 주마등처럼 떠오릅니다.
형님의 고향 목포 유달산 자락에 와서 이 아침 저는 슬픈 조사를 써서 바칩니다.
다시 말한다.
<김지하>는 죽었다.
이제부터 나를 <김영일>이라 불러다오.
언제일런지 모르지만
장례식은 청주(淸州)에서 하자.
조사(弔詞)는 네가 써다오.
1986년 7월 5일
새벽 4시 35분
김 영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