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은 ‘100세 시대’···“인생은 팔십부터”
[아시아엔=김덕권 원불교문인협회 명예회장] ‘팔십종수’(八十種樹)라는 말이 있다. 나이 80에 나무를 심는다는 뜻이다. 다 늙어 무슨 효도를 보려고 나무를 심을까?
필자 나이 이미 80이 넘었다. 혹자는 말한다.
“덕산님이 ‘덕화만발’이라는 카페를 열고 매일매일 힘들게‘덕화만발’이라는 글을 쓰고 계십니다. 그렇다고 이 세상과 사회가 달라질 수 있을까요? 너무 힘들게 살지 마시고 이젠 좀 건강도 돌보시고 인생을 즐기며 지내시면 좋겠습니다.”
박목월 선생의 수필 ‘씨 뿌리기’에 호주머니 안에 은행 열매나 호두를 넣고 다니며 학교 빈터나 뒷산에 심는 노교수 이야기가 나온다. 사람들이 그 이유를 묻자 “빈터에 은행나무가 우거지면 좋을 것 같아서”라고 했다.
옛말에 “예순에는 나무를 심지 않는다”(六十不種樹)고 했다. 심어봤자 그 열매나 재목은 못 보겠기에 하는 말이다. 정조(正祖) 시대 심재(沈? 1722~1784)의 <송천필담>(宋泉筆談)이라는 책이 있다. 서문에 보면, 심재는 “명성도 업적도 없는 사람이지만, 읽은 책의 내용, 성현의 가르침, 세상의 속된 말 등의 내용을 잡다하게 기록하였으며, 이를 후세의 선비들이 읽기를 바란다”고 하였다.
송천(松泉)이란 ‘소나무 사이의 밝은 달과 돌 위의 맑은 샘물’을 뜻하며, 이는 처사(處士)가 거처하기 좋은 곳을 말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 <송천필담>에 나오는 몇 가지 예화를 들어본다.
「송유(宋兪)가 70세 때 고희연(古稀宴)을 했다. 귤(柑) 열매 선물을 받고 그 씨를 거두어 심게 했다. 사람들이 속으로 웃었다. 그는 10년 뒤 귤열매를 먹고도 10년을 더 살다 세상을 떴다.」
「황흠(黃欽)이 80세에 고향에 물러나 지낼 때 종을 시켜 밤나무를 심게 했다. 이웃 사람이 웃었다. “연세가 여든이 넘으셨는데 너무 늦은 것이 아닐까요?” 황흠이 대답했다. “심심해서 그런 걸세. 자손에게 남겨준대도 나쁠 건 없지 않은가?” 10년 뒤에도 황흠은 건강했고, 그때 심은 밤나무에 밤송이가 달렸다. 이웃을 불러 말했다. “자네 이 밤 맛 좀 보게나. 후손을 위해 한 일이 날 위한 것이 되어 버렸군.”」
이 이야기들은 모두 <송천필담>에 나온다. 너무 늦은 때는 없다. 팔십만 넘으면 노인 행세를 하며 공부도 수행도 하지 않고, 일도 안 하며 그럭저럭 살다 죽을 날만 기다리기 쉽다. 100세 시대에 이런 조로(早老)는 너무 심하지 않은가?
씨를 뿌리면 나무는 자란다. 설사 제 당대에 ‘맑고 밝고 훈훈한 덕화만발의 세상’을 못 보면 어떤가? ‘팔십종수’를 하는 심정으로 나는 오늘도 졸필이지만 ‘덕화만발’을 쓰고 있다. 내게 이 덕화만발을 쓰는 동안만큼 행복한 시간은 없다.
나는 이 글을 쓰는 동안 마치 깊은 선정(禪定)에 든 듯 무아지경의 희열(喜悅)을 맛본다. 물론 여간 힘든 것이 아니다. 주제(主題)를 선정하고, 자료를 찾아야 하며, 문장을 쓰고 읽고 고치는 것은 혼자 하기에는 너무나 벅찬 작업이다.
그러나 ‘팔십종수’의 정신으로 이 땅에 ‘맑고 밝고 훈훈한 세상을 위한 씨 부리기’라고 생각하면, 이처럼 기쁜 일은 세상에 없을 것이다. 내가 얼마나 더 살 수 있을지는 모른다. 하지만 죽는 그 순간까지 이 글을 쓰다가 떠난다면 그 인생은 성공이라 말할 수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