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전 ‘아덴만 여명작전’을 되새겨 보는 이유···준비된 개인·조직만이 승리한다

[아시아엔=김국헌 전 국방부 정책기획관] 2011년 1월 해군 청해부대가 아덴만에서 소말리아 해적에 납치된 쥬얼리호를 급습, 인질을 구출하였다. “해적과의 협상은 없다”는 한국정부의 의지를 힘으로 뒷받침한 작전이었다. 국가가 군사력을 기르는 이유가 이런데 써먹기 위해서다. 아덴만에 해군력을 전개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과 영국 등 몇 나라에 지나지 않는다. 국력이 일취월장하는 중국? 어림도 없다. 해양력 신장이란 그냥 돈으로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아덴만 여명작전의 성공이 우리 국위를 한껏 선양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전통적 해양강국 영국과 미국이 한국을 다시 보게 되었다. 3면이 바다인 우리로서 국가전략의 핵심으로 해양력을 중시하는 것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 이승만 대통령은 육해공군이라고 부르지 않고 꼭 해륙공군이라고 불렀다. 미국에서 많은 망명 세월을 보낸 그는 해군의 중요성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다. 부산과 목포 등지에 세워진 국립 해양대학교는 우수한 해원의 요람지였다. 박정희 대통령의 조국근대화를 뒷받침한 것은 처음에 원양선단에 의한 참치잡이 선단이었다. 월남전 참전용사와 파독 광부, 간호사의 봉급이 들어온 것은 그 다음이다.

아덴만 여명작전은 합참의 합동작전의 개가였다. 청해부대의 활약은 손발이었고 두뇌와 신경은 우리 합참의 지휘·통제·통신·정보 체계였다. 이는 국민들의 세금으로 이룩한 군 현대화의 결과였다. 얼마 전 빈 라덴을 사살하는 작전에서 오바마 대통령이 작전지휘관 옆에 앉아 있는 광경이 방영되어 모두를 놀라게 하였다. 여기에 나타나지는 않지만 이 완전작전을 가능하게 한 것은 전 세계에 걸친 미군의 작전체계이다. 중국도, 러시아도 어림도 없다. 한국군과 미군은 2인3각체제다. 한미연합사령부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민구 국방부장관은 당시 합참의장으로서 아덴만 여명작전을 지휘하였다. 김관진 안보실장은 국방부장관으로서 대통령과 합참을 연결하였다. 사단이나 함대 등 단위부대를 지휘하는 것과는 차원이 다르게 합참의장은 군사지휘시스템이 한 치도 어긋나지 않고 정교하게 움직이도록 시스템을 유지 통제해야 한다.

합참의 군사지휘본부는 외부에 접근이 통제되어 있어 그 전모를 알고 있는 것은 연합사와 합참에 근무한 경험이 있지 않으면, 장군도 잘 모른다. 따라서 국민 일반에 구구하게 설명할 수는 없으나 영화에 나오는 미군의 작전 시스템과 방불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북한이 통합군체제를 갖고 있지만 지휘통제통신체계는 도저히 우리를 따라오지 못한다. 한국군이 우수한 것은 지금도 세계에서 작전을 전개하고 있는 미군의 실전 경험을 고스란히 흡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군이 가끔 중국군에 태평양사령부의 일부 공개하는 것은 가르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되어 있으니 함부로 움직이지 말라는 일종의 무력시위다.

항공모함을 가졌다고 하여 바로 가공할 전력이 되는 것이 아니며 매번 목숨을 걸어야 되는 이함 착륙을 통하여 해군항공전력이 실전화하기 위해서는 무수한 시간과 축적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중국군 실무진은 미군 전력의 실체를 보며 아연실색한다. 아덴만 여명작전은 우리 군사력과 한미연합작전체제의 총체적 과시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