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윤의 웰빙100세] 을미년 ‘송구영신’ 병신년 ‘근하신년’의 유래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보건영양’ 논설위원,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송구영신(送舊迎新)은 근하신년(謹賀新年)과 함께 대표적인 새해 인사말이며, 연하장(年賀狀)에 흔히 새겨져 있는 글귀다. <표준국어대사전>에 ‘송구영신’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음’, ‘근하신년’은 ‘삼가 새해를 축하한다는 뜻으로, 새해의 복을 비는 인사말’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연하장 문구에는 근하신춘(謹賀新春), 공하신년(恭賀新年) 등 다양한 말이 있으며, 줄여서 하정(賀正), 하춘(賀春) 같은 말도 있으나 ‘2자 숙어’(熟語)는 윗사람에게 보내면 결례(缺禮)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 해를 마감하는 연말이 되면 겸손하고 자중하는 마음으로 한해를 뒤돌아보면서 아쉬움을 많이 가진다. 하지만 아쉬움을 뒤로하고 신년을 맞아 지난해보다 더 큰 기대와 희망이 있기에 새해를 더욱 힘차게 시작하게 된다.

2015년 12월 31일 한 해를 보내며 가장 늦게 서해(西海)로 지는 ‘해넘이’는 오후 5시39분 53초에 전남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可居島)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육지에서는 전남 진도의 세방낙조에서 오후 5시34분에 해가 진다.

2016년 1월 1일 새해 ‘해맞이’는 오전 7시26분 18초에 경북 울릉군 울릉면 독도리 독도에서 가장 먼저 동해 일출을 볼 수 있으며, 7시31분 17초에는 울산시 간절곶과 방어진을 시작으로 내륙지방에서도 해가 떠오른다. ‘해맞이’ 명소인 강릉 정동진에서는 7시38분에, 서울은 남산에서 오전 7시46분 일출을 볼 수 있다.

금강산(金剛山), 지리산(智異山)과 함께 우리나라 삼신산(三神山)의 하나인 한라산(漢拏山) 정상에서 새해 첫 일출을 맞으려는 탐방객들의 야간산행을 위해 1월1일 0시부터 입산이 가능하다. 특히 해발 1950m로 남한 최고봉인 한라산 정상에는 둘레 약 3km, 지름 500m의 하구호인 백록담(白鹿潭)이 있으며, 주위 사방에 흙붉은오름(土赤岳), 사라오름(砂羅岳), 성널오름(城板岳) 등 360여 개의 오름 위로 솟아오르는 일출이 장관을 연출한다.

일부 사찰에서는 31일 밤 9시 특별법회(法會)와 제야의 종 타종, 소망의 연등 밝히기, 소지 태우기 등을 진행한다. 또한 108배를 통해 한 해를 돌아보는 참회의 시간을 가지고, 가족 구성원간 사랑을 재학인하고 힘찬 새해를 맞이하기 위해 범종을 치며 소원을 비는 행사도 갖는다.

‘빛의 화가’라고 불리는 모네(Claude Monet, 1840-1926)는 아침 해가 떠오르고 그리고 해가 지는 순간까지 시시각각 빛에 의해 세상의 색이 달라지고 있음에 집중하면서 그 찰나의 색을 잡으려고 노력한 프랑스 인상주의 화가이다. 모네는 빛(Light)으로 인해 진정한 화가 인생이 시작되었으며, 그가 탄생시킨 인상주의, 인상파는 1874년 <인상, 해돋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2015년 양띠해 을미년(乙未年)을 보내고, 새해 2016년 병신년(丙申年) 원숭이띠 해(Year of the Monkey)를 맞는다. 丙申年의 ‘丙’이 상징하는 색상은 붉은 색이며, ‘申’이 상징하는 동물은 원숭이이므로 2016년은 ‘붉은 원숭이의 해’가 된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