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덕권의 훈훈한 세상] 오드리 헵번, 당신이 너무 그립습니다

<로마의 휴일>의 여주인공 오드리 헵번 이야기다. 신문기자 그레고리 펙과 공주 오드리 헵번이 스쿠터로 로마의 거리를 종횡무진 달리면서 기타로 악한들을 내려치는 장면이 생생하게 기억된다. 오드리 헵번은 은막의 여왕뿐 아니라 실제로 이 세상에 누구도 따라 올 수 없는 아름다운 인생을 살고 간 위대한 인물이다.

1929년 벨기에 브뤼셀의 한 병원, 아기를 업은 한 여인이 헐레벌떡 들어왔다. “우리 딸이 며칠 전부터 심하게 기침을 합니다.” 생후 3개월 갓난아기였다. 눈도 제대로 뜨지 못하고 마른기침을 뱉어내는 아기는 한눈에 봐도 병색이 역력했다. 숙직 의사는 청진기로 이리저리 아기의 몸 상태를 체크했다.

“단순한 감기가 아닙니다. 백일해입니다.” “백일해요? 안 좋은 병인가요?” “연령이 낮을수록 위험한 병입니다. 기관지 폐렴이나 폐에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는 상태인 무기폐 등으로 이어질 수도 있고요. 이 아이는 조금 심각한 상태입니다.” 의사에 말에 아기의 엄마는 그 자리에서 주저앉고 말았다. “선생님, 꼭 좀 살려주세요. 무슨 일이든 할 테니 제 아기만은 꼭 살려주세요.”

다행히도 아기는 의사와 엄마의 극진한 보살핌 덕분에 극적으로 살아났다. 하지만 걸음마도 떼기 전에 죽음의 문턱을 넘었던 아기의 비극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았다. 아기가 건강하게 자라 열 살이 되었을 때 부모가 이혼하게 된 것이다. 나치 추종자였던 아버지는 가족을 떠났고 아이는 할아버지 손에 맡겨졌다.

“난 발레리나가 될 거야!” 하지만 170cm에 달하는 큰 키가 문제였다. 헵번은 짐을 꾸려 영국으로 건너갔다. 우연히 브로드웨이 연극 <지지>에 캐스팅이 되었다. 이 작품을 계기로 <로마의 휴일>에 출연할 수 있었다. 오드리 헵번의 사실상 데뷔작 <로마의 휴일>은 그녀를 일약 은막의 여왕으로 만들었다. 이 작품으로 ‘헵번스타일’이라는 숏커트 헤어스타일을 유행시키기도 했다.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은 그녀는 제7회 영국 아카데미 여우주연상과 제26회 미국아카데미와 제19회 뉴욕비평가 협회상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으며 스타덤에 올랐다. 그녀에게는 제2막의 인생이 시작되었다. 그 후 유니세프 친선대사가 되었다. 우연히 참석한 기금모금 행사에서 자신의 영화배우 경력이 세간에 관심과 신기함으로 남아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직도 나를 잊지 않고 기억하는 사람이 많구나. 영화의 힘이란 정말 놀랍다.” 그녀는 유니세프를 찾아갔다. 유니세프가 그녀를 원했던 것이 아니라 그녀가 먼저 유니세프에 손을 내민 것이다. 헵번은 취임사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제 자신이 2차 대전 직후 유니세프로부터 식량과 의약품을 지원 받았기 때문에 유니세프가 얼마나 중요한 일을 하는가를 증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언론과 세상 사람들은 그녀의 행보를 곱지 않게 보았다. 과거의 은막 스타가 세상의 주목을 받고 싶어 하는 행동이라고 했다. 하지만 그녀는 발걸음을 멈추지 않았다. 굶주림과 병으로 죽어가는 어린이들의 슬픈 현실을 세상에 알렸다. 곤경과 죽음에 처한 아이들을 차마 외면할 수 없었다. 죄악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아프리카 전역을 비롯해 방글라데시, 엘살바도르 등 50여곳이 넘게 이어졌다. 비행기를 타고 버스로 이동하는 험난한 여정이었지만 백발의 노구를 이끌고 걸어가는 그녀의 발걸음은 거침이 없었다. “어린이 한 명을 구하는 것은 축복입니다. 어린이 백만 명을 구하는 것은 신이 주신 기회입니다.”

그녀의 끝없는 행보에 언론과 사람들 시선도 달라지기 시작했다. 병에 걸린 아이들을 스스럼없이 만지고 고통 앞에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 세계인의 가슴을 울렸다. 각국에서 구호물자와 기부금들이 모이기 시작했다. “저게 뭐지요?” 1992년 소말리아를 방문했을 때 마을 공터 구석에 놓여 있는 수많은 자루를 보았다. 원주민에게 웃으며 물었을 때 그녀는 귀를 의심할 만한 이야기를 들었다.

다름 아닌 아이들 시체였다. 오드리 헵번은 강한 충격을 받았다. 그녀는 그 자리에서 주저앉아 두 손을 모았다. 하염없이 눈물이 쏟아졌다. 그 순간부터 오드리 헵번은 소말리아에 대해 강한 애착을 가지게 되었다. 소말리아 방문이 그녀의 건강을 더욱 악화시켰다. 그녀도 그것을 알고 있었다.

그녀는 아랫배에 강한 통증을 느낄 때마다 진통제를 맞으며 모든 일정을 소화했다. 그해 11월 오드리 햄번은 대장암 말기 진단을 받았다. 내로라 하는 의사들이 앞 다투어 그녀를 살려보겠다고 나섰지만 결과는 좋지 않았다. “선생님, 죄송합니다. 최선을 다했지만 암이 워낙 온몸에 널리 퍼져 있어서…” 오드리 헵번은 고개를 숙이는 의사의 손을 잡으며 말했다. “괜찮아요. 저한테 미안해하실 것 없어요. 그것이 제 숙명인걸요. 신이 제게 주신 시간이 얼마쯤 남았지요?” “3개월쯤 남았습니다.”

오드리 헵번의 암소식이 알려졌을 때 누군가가 물었다. “당신은 왜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아이들을 돕는 거죠?” “이것은 희생이 아닙니다. 희생은 자신이 원하지 않는 것을 위해 자신이 원하는 것을 포기하는 걸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희생이 아닙니다. 오히려 내가 받은 선물입니다.”

그해 크리스마스를 보내고 채 한 달도 되지 않은 1993년 1월20일, 그녀는 눈을 감았다. 향년 63세. 그날은 미국의 빌 클린턴 대통령 취임식 날이지만 그녀의 별세기사가 클린턴 취임기사보다 먼저 다루어졌다.

그녀를 조문한 엘리자베스 테일러는 이렇게 말했다. “하늘이 가장 아름다운 새 천사를 갖게 됐다.” “생각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 대로 생각하게 된다.” 오드리 헵번의 마지막 말이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