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탁 원장 “아태교육원, 세계시민교육의 메카로”

서강대 정외과 75학번인 정우탁 원장은 '동안(?)' 때문에 가끔 오해를 받기도 한다고 했다.

정우탁 유네스코 아태 국제이해교육원 4대 원장

지난해 12월 유네스코 아태 국제이해교육원(APCEIU·아태교육원) 신임 원장으로 정우탁(58) 전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정책사업본부장이 선임됐다. 정 원장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기획실장, 협력사업본부장, 정책사업본부장을 역임하며 교육 분야의 국제협력 전문가로 통한다.

18일 서울 구로동 아태교육원 사무실에서 만난 정 원장은 “UN이 교육 분야에 역량을 강화하기로 한 시기에 원장을 맡아 기대도 크고 책임도 막중하다”며 “우리의 미션인 글로벌시민교육에 집중해 아태교육원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지난 10월 반기문 UN사무총장은 유네스코집행이사회에 참석해 ‘교육우선구상(Education First Initiative: EFI)’을 주창하며 UN이 교육 분야에 집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유엔 사무총장의 유네스코회의 참석은 드문 일이다. 연설은 처음이었다.

정우탁 원장은 이날 연설을 세 가지로 요약했다. △모든 아동은 학교에 가야하며 △교육의 질이 높아야 하고 △글로벌시민교육을 해야 한다는 것.?이 중?세 번째 ‘글로벌시민교육’이 아태교육원의 일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정 원장은 “아태교육원이 글로벌시민교육의 메카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시급한 것이 전문가 양성. 코이카가 몇몇 대학과 국제개발협력과정을 만든 것을 벤치마킹해 사범대학, 국제대학원이 있는 대학과 석박사 과정 개설을 논의하고 있다. 정 원장은 “시범적으로 서울대와 국제이해교육 협동과정 개설을 추진하고 있고 온라인 과정도 염두해 두고 있다”며 “오는 7월에는 전 세계에서 세계시민교육의 전문가를 초청해 국제회의도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 원장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한국의 60년대 풍경을 본다며 한 때는 그 향수때문에 필리핀에 남고 싶기도 했단다.

아태교육원 독자건물·연수원 건립 추진

아태교육원은 2000년 아태지역의 국제이해교육을 진흥하기 위해 유네스코와 한국 정부가 협정을 맺어 설립한 유네스코 산하 기구다. 유네스코의 카테고리Ⅱ 기관으로?유네스코 로고나 명칭 사용이 허가된 협력 기관이다. 그렇다면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차이는 뭘까.

정 원장은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교육, 문화, 과학 등 폭넓은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촉진하는 일을 하는 국가위원회라면 아태교육원은 이름 그대로 ‘국제이해교육’에 집중하는 국제기구”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아태교육원은 교사교류, 출판 사업에 노력을 기울여왔다.?아태 지역의 교사, 교육 관계자 등을 초청해 국제이해교육 연수를 했고, 2012년부터 매년 50여 명의 예비교사를 선발해 몽골, 필리핀 학교에서 다문화교육 교류를 해오고 있다.?영자로 만드는 계간지 상생을 비롯해 ‘유네스코와 떠나는 다문화 속담 여행’, ‘다문화이해의 다섯 빛깔’ 등 여러 단행본을 출간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태교육원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행사나 출판물에서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점도 있지만 무엇보다 기관 명칭이 직관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세계시민교육사업을 제대로 펼치기 위해서라도 생각해 봐야 한다. 정 원장은 “지금보다 좀더 기억하고, 부르기 쉬운 기관 이름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나를 비롯해 아태교육원 직원들이 대외홍보에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다. 명칭 변경이 몇 가지 현안 중 하나다. 하지만 13년 동안 유지했던 이름이라 (제가) 부임했다고 해서 바꿀 수 있는 건 아니다. 계기가 필요하다. 때가 온다면 시도해 볼 생각이다.”

정우탁 원장은 이날 인터뷰 말미에?기관이 13년 되면서?어느 정도 안정됐기 때문에 독자 건물과 연수원?마련을?논의할 때가 됐다고 했다.?직원역량 강화에도 힘쓰겠다고 했다. 할 일이 많은 시기에 에너지 넘치는 원장이 들어와 직원이 좀 힘들겠다고 농을 건넸다.?정 원장은 “개인적으로 동남아 국가를 좋아하는데 우리나라 60년대 정서가 그곳에 있기 때문”이라며 “아등바등 사는 것은 내 체질이 아니다. 즐겁고 효율적으로 일하는 분위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부산 동래고를 나온 정우탁 원장은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75학번이다. 동 대학원에서 국제정치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남아 미래의 국가>, <인권> 등을 공동 집필했다. 1982년부터 유네스코한국위원회에서 활동했으며 2010년부터는 ICOM(Internationa Council of Museums) 한국위원회 위원을 맡고 있다. <글·사진=김남주 기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