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길의 미감美感] 밤의 ‘벌교 꼬막’과 ‘겨울 물새’

그 사람 씽긋 웃는다
나도 씽긋 웃는다
사는 게 이렇구나
벌교 꼬막 까먹는다

꼬막 무침 <사진 김용길>

* 순천에서 진트재를 넘으면 벌교(보성군)다. 진트 고개는 <태백산맥> 씬스틸러 무녀 소화(무당 월녀의 딸)가 살았던 공간배경. 벌교는 거대한 갯벌(여자만)을 끼고 있는데 대한민국 최대 참고막 새고막의 무진장 서식처다. 순천, 보성, 고흥 사람들은 겨울의 나날 긴긴밤, 꼬막을 까먹고 사랑을 까먹었다.

사진 김용길

* 겨울 물새들(기러기, 고니, 원앙, 백로, 왜가리, 두루미)이 한겨울을 가로질러 날아오더니 얼음 조각이 동동 뜬 순천만에 발을 담근다. 양말도, 방한화도 신지 않았는데 발은 시럽지 않을까. 동상에 걸리지 않을까. 물오리는 아무리 찬바람이 몰아쳐도 차가운 물 위에서 유유히 동동 떠다닌다. 심지어 온몸을 담근 채 자맥질까지 한다. 곰처럼 겨울잠도 안 잔다. 도대체 겨울 물새는 어떻게 엄동설한을 견디고 살아갈까.

* 새들은 평균체온이 40도 이상으로 높다. 먹이만 잘 먹으면 높은 체온을 이용해 큰 추위를 견딜 수 있다. 새의 발목에는 일종의 열교환 장치가 있다. 발끝의 차가운 피는 열교환 장치를 거쳐 체내의 더운 피와 교체된다. 얼음 한복판에 서 있어도 얼음판도 녹지 않고 발바닥도 동상에 걸리지 않는다. 새들은 두 다리를 모두 웅크릴 수 없으므로 한쪽 다리로 서서 잔다. 한쪽 다리를 털 속에 묻어두기 때문에 두 다리로 서는 것에 비해 체온 유지에 큰 도움이 된다. 뛰어난 평형감각이 있어서 한 쪽 다리로도 거뜬히 서서 잔다. 아주 추울 때는 새들도 모여서 서로의 몸을 밀착시키며 기댄다.

* 우리는 꼬막을 까먹으며 기대고, 겨울 물새는 서서 자면서 기댄다. 사람이 잘 해내는 게 있고 물새가 잘 하는 게 있다. 잘 하는 것 잘 하면서 남은 겨울 살아내고 봄을 맞아야겠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