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상익의 시선] 옆방 노인의 죽음

“죽음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 삶의 진실을 마주하는 건 아닐까. 병이 들면 병이 든대로 환자로서 매일매일을 중요하게 살아가야 하지 않을까.”(본문에서) 사진은 레스보스섬의 모리아 난민캠프의 한 노인이 땔감으로 쓸 널판을 이고 걷는 장면

실버타운의 옆자리에 앉아 밥을 먹던 부인이 내게 말했다.
“그저께 한밤중에 413호에서 잠깐만 와달라고 전화가 왔어요. 가서 보니까 할아버지가 옆에 있던 할머니가 죽은 것 같다고 하더라구요. 저녁을 좀 많이 먹었는데 토하더니 그렇게 됐대요.”

노부부가 실버타운에 와서 일주일 정도 되자 한 사람이 죽었다. 부인의 말이 이어졌다.

“미국에서 오래 살다가 한국으로 온 부부였어요. 내가 좀 친절하게 해드렸어요. 소화가 안된다고 해서 죽을 해다 드렸었거든요. 고맙다고 하면서 선물을 주면 안되겠냐고 하면서 자기가 간직하고 있던 팔찌를 주는 거예요. 그래서 그건 너무 과하다고 했죠. 그 부인이 돌아가시기 하루 전의 일이예요. 그 부인은 이 실버타운으로 오기 전에 부산 다대포 바닷가에 아파트를 얻어서 부부가 3년 동안 잘 살아 봤다고 하더라구요.”

어쩌면 그 노인은 죽음을 예감한 것 같기도 했다. 실버타운 안에서 노년의 죽음은 알려지지 않는다. 조용히 실려나가 한 줌의 재로 변한다. 노인들은 의식적으로 죽음을 외면하는 것 같다. 노인들은 잠을 자다가 죽기를 소망한다. 요양원과 중환자실에서의 긴 사멸의 과정을 두려워 하기도 한다.

1년 전 보았던 눈이 작은 할머니가 갑자기 기억의 오지에서 나타났다. 엘레베이터에서 마주친 그 할머니는 남는 게 시간이라고 했다. 기나긴 노년의 적막이 답답했을까. 한번은 복도의 벽 아래 있는 긴 의자에 앉아 그 할머니가 마른 울음을 울고 있는 걸 봤다. 지독한 외로움이 그 주변에 공기같이 흐르고 있었다. 딸이 여행을 떠나 혼자 있는 개밥을 줘야 할 때만 할머니는 집으로 갈 수 있다는 말을 주위사람한테 들었다.

한번은 실버타운의 텅빈 PC방에서 그 할머니를 본 적이 있다. 적막한 공간 안에서 포커게임을 하고 있었다. 그 얼마 후 실버타운의 직원이 PC방 바닥에 쓰러져 있는 그 할머니를 발견하고 병원에 데려갔는데 의사 말이 이미 죽어있었다고 한다.

어제 저녁 창문의 유리창이 부드러운 회색의 황혼으로 물들 무렵 갑자기 스마트폰의 벨이 울렸다. 발신자가 없고 번호만 화면에 뜬다. 주소록에 없는 사람인 것 같았다.

“누구세요”

내가 물었다.

“목소리 들으니까 엄 변호사 맞네. 나 택수야.”

고등학교 동창이었다. 뒤늦게 같이 사법연수원을 다녔다. 춘천에 변호사가 없던 시절 그는 호수에서 피어오르는 물안개가 아름답다고 그곳에 가서 법률사무소를 냈다. 그곳에서 그는 자기 인생에 다양한 색칠을 하면서 살았다. 색소폰을 불었다. 독주회를 할 정도까지 실력이 올랐다는 소리를 들었다. 그가 오랫만에 내게 전화를 한 것이다.

“오랫만이다. 반갑다. 어떻게 지내고 있냐?”

내가 물었다.

“나 뇌경색이야. 다른 말로 하면 풍을 맞은 거지. 몸이 마비되서 넉달 동안 입원해 있었어. 회복이 되긴 됐는데 왼쪽 팔과 다리가 불편해서 지팡이 짚고 다녀. 이젠 골프도 못 쳐.”

인간은 누구나 언젠가 부서지던가 망가지게 되어 있다. 눈이 안보이고 귀가 안들리고 몸이 꿈띠어지고 걷지 못하게 된다. 암에 걸려 병원 침대에 누워 있을 수도 있다.

부처님은 죽는 사람을 보면서 너도 그렇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알라고 했다. 아픈 사람을 보면 너도 아플 것이라는 걸 배우라고 했다. 늙은 사람을 보면 너도 그렇게 늙을 것이라는 걸 깨달으라고 했다.

이번에는 마음의 오지에 숨어있던 한 현명한 노인이 혼령으로 떠올라 시간의 저쪽에서 이쪽으로 다가오는 환영을 느낀다. 그 노인이 내게 속삭인다.

‘인간에게 최대의 미혹은 삶에 대한 집착이오. 우리들이 자신이라고 믿고 있는 현재의 형체는 과연 자기일까? 나는 낮잠을 자다가 나비가 된 꿈을 꿨소. 나는 사람이라는 걸 잊고 꽃향기의 바다 위를 날아다녔소. 내가 나비인지 나비가 나인지 잘 모르겠습디다. 죽음이란 단지 이 형체에서 저 모습으로 형체를 바꾸는 데 불과한 것이오.’

나비 얘기를 하는 걸 보니까 그 노인은 장자였다. 나는 그 노인의 말을 조용히 기다리고 있었다.

‘삶에 집착하지도 말고 죽음을 기피 하지도 않았으면 하오.세상을 떠난다고 슬퍼하지 마시오. 무심히 왔다가 무심히 갈 뿐이오. 하늘의 섭리가 나를 죽게 만들려고 하는데 안 죽으려고 하면 나의 잘못이 아니겠소? 늙고 죽는것도 생각하기 나름이오. 젊어서는 무거운 삶의 짐을 지고 괴로워 하지만 늙음은 편하게 되는 것이고 죽음은 쉬는 것 아니겠소? 그게 인간의 일생인 만큼 늙음과 죽음을 긍정해 보는 건 어떻소?’

죽음을 정면으로 바라볼 때 삶의 진실을 마주하는 건 아닐까. 병이 들면 병이 든대로 환자로서 매일매일을 중요하게 살아가야 하지 않을까. 그런 것들을 받아들이고 소중하게 매일을 살아가는 것이 인생은 아닐까. 매일매일 이외에 달리 우리들 인생은 없을 것 같다. 죽음의 원인도 하나님의 분부다. 지나면 짧은 삶이지만 생을 두고 끝까지 정진해야 하는 건 아닐까.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