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오신날-아시아불교③] 인도네시아②자바의 ‘보로부두르’와 ‘쁘람바난’

보로부두르 유적지

3일은 불기 2561년 부처님오신날입니다. <아시아엔>은 부처님의 자비와 은총이 독자들께 함께 하시길 기원합니다. <아시아엔>은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스리랑카·미얀마·태국·캄보디아·라오스·인도네시아·베트남 등 아시아 각국의 불교의 어제와 오늘을 <불교평론>(발행인 조오현)의 도움으로 소개합니다. 귀한 글 주신 마성, 조준호, 김홍구, 송위지, 양승윤, 이병욱님과 홍사성 편집인 겸 주간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편집자)

[아시아엔=양승윤 한국외대 명예교수, 인도네시아 가쟈마다대학교 초빙교수, <인도네시아사> <Budaya Spirit dan Politik Korea>(한국의 정신문화와 정치) <작은 며느리의 나라, 인도네시아> 등 저자] 동남아 대륙부의 최대 왕국인 앙코르(Angkor) 왕국도 자바를 거쳐 바닷길을 건너온 힌두불교를 배경으로 크게 번영했다.

8세기에서 14세기에 이르는 동안 동남아 고대왕국들은 수많은 기념비적인 건축물을 축조하였는데, 보로부두르(Borobudur)와 앙코르와트(Angkor Wat) 이외에도 쁘람바난과 버강(Pagan) 등지에 대표적인 유적이 남아 있다. 앙코르와트는 오늘날 캄보디아에, 보로부두르와 쁘람바난은 인도네시아 자바에, 버강은 미얀마에 있다.

이들 동남아의 고대국가는 모두 중국에 조공사절이나 교역사절을 보냈고, 중국 왕실은 이러한 사절단의 왕래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 있다. 중국 사료에 따르면, 초기 동남아 교역국가로 삼불제(三佛齊)와 부남(扶南)이 등장한다.

삼불제는 스리비자야 왕국이며, 부남은 앙코르 왕국의 전신인 푸난(Funan)이었다. 푸난은 쩐라(Zenla)로 발전하는데, 쩐라의 중국식 명칭은 진랍(眞臘)이었다. 이 왕국이 바로 크메르(Khmer)족이 메콩(Mekong) 강 하류의 거대한 천연 호수 톤레사프(Tonle Sap) 인근에 세운 앙코르 왕국이다.

쁘람바난 유적지

8세기 말(연대 미상)부터 834년경까지 쩐라를 통치한 자야바르만 2세(Jayavarman II)는 스리비자야 영향 하에 있던 자바왕국들의 간섭을 벗어나 톤레사프 인근 지역을 정복하여 통치 영역을 크게 확대하였다. 특히 관개를 통한 인공적인 벼(禾) 재배에 성공함으로써 식량확보에 획기적인 진전을 보아 왕권 확립을 다질 수 있었다.

그러나 앙코르왕국의 번영과 영화는 지속되지 않았다. 똔레쌉 호수 주변의 광활한 농경지는 충분한 식량원이 되었기 때문에, 스리비자야 무역왕국의 경우와 달리 식량부족이 앙코르왕국 쇠퇴의 원인은 아니었을 것이다.

크메르족, 군소 고산족과 함께 주변국가에서 잡아온 수많은 전쟁포로가 톤레사프 주변의 농경지에 군거하며 식량을 생산하고 앙코르왕국 건설에 동원되었다. 왕국 건설 사업은 전쟁에 의존했으나, 전쟁은 항상 승리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었다. 자야바르만 7세 왕 이후의 앙코르왕국은 동쪽과 서쪽에서 참(Cham)족과 씨암(Siam)족의 협공을 받게 되었다. 머지않아 북쪽의 비엣(Viet)족이 공격에 가담함으로써 대륙부 동남아 최대의 왕국이자 찬란한 앙코르 제국은 주변국가의 협공으로 점차 국력이 쇠진하기 시작하였다.

때를 맞추어 씨암족이 크게 발흥하여 12세기경부터 앙코르왕국에 대한 적극 공세에 나섰다. 이들은 쑤코타이(Sukhothai) 왕국을 세워 앙코르왕국의 모든 것을 약탈해 갔다. 왕실의 수많은 학자와 장인(匠人)들도 주요 대상이었다. 오늘날의 태국 영토로 영역을 확장하고 수코타이를 전성기로 이끈 람깜행(Ramkhamhaeng) 대왕이 창제한 태국문자도 앙코르문자를 기초로 만들어진 것이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