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 첫날, 제55회 단종문화제 마지막날 문화도시 영월 곳곳을 찾았다. 어린 단종 임금 유배길의 슬픔 가득한 영월 남면 배일치재는 지금도 처연함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듯하다. 때마침

오월 첫날, 제55회 단종문화제 마지막날 문화도시 영월 곳곳을 찾았다. 어린 단종 임금 유배길의 슬픔 가득한 영월 남면 배일치재는 지금도 처연함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듯하다. 때마침
지난 주말 오전 집안 행사차 영월을 출발해 광명으로 향했다. 도로는 한산하고, 벚꽃은 한창이다. 왕복 8백리길, 볼 일을 마치고 영월로 돌아오는 창밖엔 해가 뉘엿뉘엿 서산을 넘는다.
농촌은 느린 듯하나 정확하고 봄은 숨은 듯하나 어느새 와 있고
태백시 두위봉 백운사 설경. 한달 뒤면 진달래 피고지고 곧이어 철쭉도 흐드러질 거다. 그리고 녹음 짙어지고, 길가 코스모스 바람에 날리고 올 가을 단풍은 유난히 붉으려나. 그리고
영월 금몽암 주변에 피어있는 노루귀가 귀한 분들을 만나게 해주었다. 한국사진작가협회 증평지부장을 비롯한 회원분들이 영월 노루귀를 찾아왔다. 오늘 노루귀에 대해 검색해봤다. 이렇게 두산백과는 소개하고 있다. 미나리아재비목
새봄이 되면서 영월 노루광장에 왜가리가 날아왔습니다. 날렵한 몸매와 유연한 날갯짓을 카메라에 담았습니다. 날아온 왜가리떼가 어디선가 나뭇가지 등을 물어와 집을 짓습니다. 이들은 집이 완성되면 짝짓기를 하고,
영월 뼝창마을 동강할미꽃이 봄비를 맞이합니다. 영월의 동강 석회암지대 바위틈에서 자라는 ‘동강 할미꽃 예전에 흔했지만 지금은 너무 귀합니다. 이름만 들어도 정겨운 할미꽃 다 어디로 간 걸까요?
영월의 봄소식을 전하는 노루귀가 살포시 얼굴을 내밀고 있다. 노루귀를 검색해보니 이렇게 나와 있다. “노루귀는 다년생 초본으로 나무 밑에서 자라는 양지식물이다. 키는 9~14㎝, 잎은 길이 5㎝이고,
영월에서 투표 후 봄소식을 전합니다. 노루귀가 살포시 얼굴을 내밀고 있습니다.
영월군농업기술센터에서 바라본 석양입니다. 불이 붙는 듯, 구름이 타오르는 듯. 산 위에 길게 누운 용 같기도 합니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그것은 그냥 아름답기 그지없는 석양의 구름이고
주천강, 동강, 서강이 흐르는 영월군은 해마다 섶다리를 놓는다. 농번기가 끝나면 마을 사람들이 모두 나와 다리를 놓는다. 기둥이 될 다리를 세우고 긴 나무를 건너지르고 그 위에
영월 동강 뚝방길 구두 발자국 누가 걸어갔을까? 이 길 누가 또 밟을까?
유난히 추웠던 올 겨울 꽁꽁 얼어 붙었던 영월 연하계곡이 조금씩 녹기 시작했다. 사진 아랫 부분에 갈색 조그만 바위가 물 위로 드러났다. 이 바위는 영월 연하계곡
동강이 흐르는 영월읍 삼옥리 겨울 풍경입니다. 꽁꽁 얼어붙은 강이 산을 떠받쳐주는 듯합니다. 20일 오늘 대한이 지나고 보름 후면 입춘, 2021년 겨울도 2022년 봄과 바톤 터치를
[아시아엔=고명진 영월미디어기자박물관장, 전 한국일보 사진부장] 새해 첫 아침 2022년을 비춰줄 해를 맞으러 영월 봉래산으로 향했다. 세모부터 이어진 맹추위를 아랑곳 않고 어린이들을 동행한 젊은 부부들 모습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