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시 신창면 고려인마을②] 다문화 지역사회에서 대학의 역할은?

선문대 글로컬다문화교육센터가 운영하는 신창초등학교 다문화돌봄교실과 선문대 교수-대학원생이 만든 다모여세계시민 사회적협동조합. 이들은 신창면 하모니 마을학교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사진 선문대 글로컬다문화교육센터>

선문대, 이주민 정착 위해 바람직한 방향 제시 ‘돋보여’ 

[아시아엔=임영상 한국외대 명예교수, 아시아발전재단 자문위원] 지난 9월 11일 충남 아산시(조일교 부시장)의 주도로 경기 안산시(이민근 시장)와 인천 연수구(이재호 구청장)가 ‘국내 거주 외국인 및 동포 정책 제도 개선’을 위한 공동건의문을 냈다.

내용을 보니 △비자 제도 운용 시 지방자치단체장 권한 강화 △외국국적동포 한국어 의무교육 강화 △지역특화형 비자 사업 신청 자격 확대 △출입국·이민관리청 신설과 연계한 지자체 재정지원 제도화 등이 포함돼 있다. (<노컷뉴스> 2023-9-12 「아산시, 인천 연수구·안산시와 외국인 정책 개선 공동건의」)

‘외국국적동포 한국어 의무교육 강화’는 사실상 한국어를 상실한 채 한국에 들어오는 고려인동포 이야기다. 2021년 12월 기준 고려인 거주 1~3위인 안산시(14,980명), 아산시(7,672명), 연수구(6,507명)에 사는 귀환 고려인동포의 한국살이에 한국어교육이 시급함을 반증해준다. ‘지역특화형 비자 사업 신청 자격 확대’는 89개 인구감소지역이 아닌 지역으로 확대해달라는 이야기와 다름없다. 즉, 동포가족 중에 방문동거(F-1) 비자를 소지한 타민족 배우자도 일할 수 있는 비자 특례를 요청하는 내용이다. 고려인동포 가족 가운데 해당자가 많은 것이다.

다문화돌봄교실 동화구연 수업을 진행하는 이정민 선생님

2019년 10월 이후, 거의 4년 만인 지난 8월 22일 다시 신창면 고려인마을을 찾았다. 고려인동포 자조 모임이 생긴 것이 큰 변화였다. 한국인 활동가와 협력하는 형태이지만, 2022년 ‘신창고려인청년모임’(대표 최세르게이)이 발족하고 ‘신창외국인행복학교’도 운영했다. 2023년에는 사정으로 중단되었는데, 다시 2024년에는 진행이 가능해졌다. (<아시아엔> 2023-8-26 「[아산시 신창면 고려인마을①] “우리도 함께하고 싶어요!”」)

그런데 더 중요한 변화는 1910년에 개교한 신창초등학교의 변화였다. 2019년에도 다문화(고려인) 학생이 많이 늘어나 한국어학급을 맡는 교사가 3명이 있을 정도였는데, 2023년 현재 다문화(절대다수가 고려인) 학생의 비중이 70%로 늘어났다. 그뿐만 아니라 2020년부터 선문대학교 글로컬다문화교육센터가 운영하는 다문화돌봄교실이 학교 안에 생겼다. 지역 사회(대학)와 학교의 협력 사업이 자리를 잡은 것이다.

선문대에 따르면 신창초 다문화돌봄교실은 주중 방과 후와 토요일 한국어 교육은 물론 동화구연과 예체능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다채롭게 구성해 학교생활에 적응하고 인지적 정신적 영역과 사회성 발달에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 토요일 태권도 프로그램은 개인별 맞춤형 지도를 통해 신체적 정서적 건강증진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는 활동으로 정착했다. 매월 1회 진행하는 신창면 마을주민과 함께하는 문화체험 활동은 마을 어른들과 학부모들이 함께 참여하며 한국 문화를 배워보는 기회가 됐다.

주말 러시아어 말놀이(한국의 전래동화를 한국어와 러시아어로 듣는 놀이) 수업을 진행하는 남라이사(붉은색 옷)와 임영아(검정색 옷) 선생님

선문대의 신창면 다문화 공간(고려인마을) 활동은 신창초등학교에 그치지 않았다. 2020년 남부현 교수와 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 졸업생들이 모여 만든 다모여세계시민 사회적협동조합(이사장 남부현)이 2020년 6월부터 다문화 학생과 고려인 이주민 학부모와 어르신을 위한 한글 공부방인 ‘하모니마을학교’를 시작했다. 2021년 10월에는 천안 목주로타리클럽의 후원으로 신창면 읍내2리 마을회관 옆에 수업과 상담이 가능한 컨테이너가 만들어졌다. 2023년부터는 읍내2리 백종용 이장과 마을주민의 협력으로 마을회관 2층에 교육공간을 마련했다.

남부현 이사장(우)이 백종용 이장(좌)에게 감사패를 전달하고 있다. <사진 로컬세계>

필자가 확인한 ‘이주민 동네와 대학의 협력’ 사례로는 광주광역시 월곡동 고려인마을 행사에 호남대학교(미디어영상공연학과와 태권도경호학과) 학생들의 음악극 공연(<아시아엔> 2023-3-6 「‘고려일보’ 100주년 기획전의 특별한 ‘감회’와 광주 고려인마을의 새로운 ‘시도’」)과 충북 음성군 금왕읍 소피아외국인센터가 강동대 국제교류센터 한국어교실 운영을 맡은 경우다. (<아시아엔> 2023-8-13 「[음성 고려인마을②] 강동대-소피아외국인센터의 협력을 주목한다」)

고려인 어르신 한국어 수업을 진행하는 박은주 선생님(왼쪽)

저출산·고령화 시대 지역과 대학의 상생을 위한 협력이 절실한 오늘이다. 이런 점에서, 선문대의 사례는 이주민 동네, 다문화 공간의 초등학교와 마을회관에 들어가 장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아니 할 수 없다. 바로 신창에 있는 순천향대학교도 지역의 다문화 청소년을 위한 축구교실을 여는 등 학교 개방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반가운 일이다. 특별히 한국어 교육이 시급한 전국의 고려인마을과 지역 대학/단체의 협력을 기대해본다.

놀이 수업을 진행하는 정현희·남라이사 선생님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