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상익의 촌철] ‘무소불위’ 안기부에 검찰도 법원도 무력했던 5공시절

“전두환은 대통령이 되자 중앙정보부를 국가안전기획부로 이름을 바꾸어 계속 같은 임무를 수행하게 했다. 변호사들은 안기부가 여당보다 강한 정치기구라고 했다. 그곳에서 정치의 판이 짜여진다고 했다. 검사들은 안기부 도청을 두려워했다. 그리고 안기부 요원이 써올리는 보고서도 무서워했다. 모든 기관장이 마찬가지였다. 법원도 마찬가지인 것 같았다.”(본문 중에서) 사진은 1980년 4월 15일 전두환 중장의 중앙정부장서리 취임식 <출처 ‘양지일지’, UPI뉴스 전재>

홍준표 대구시장은 어린 시절 순경이 아버지를 막 대하는 걸 보고 검사를 꿈꾸었다고 했다. 우리 또래가 소년 시절 흔히 보던 광경이었다. 까까머리 중학생 때 나는 빈민촌인 상계동에 살고 있는 작은아버지 집에 가서 묵었다.

바라크 창고 같은 집이었다. 판자로 된 쪽문을 열고 들어가면 방 하나와 바깥 흙바닥에 아궁이가 있었다. 마치 포로수용소 같이 들판에 그런 집들이 줄 지어 붙어 있었다. 그때는 경찰의 보조로 ‘방범’이라는 완장을 찬 사람들이 있었다. 옆에 경찰봉을 찬 그들이 이따금씩 판자문을 불쑥 열고 안에 있는 사람들을 훑어보았다. 그들의 쏘는 듯한 차가운 눈길이 나의 가슴을 꿰뚫는 것 같았다.

내가 살던 신설동 네거리에도 파출소가 있었다. 검은 경찰복에 가죽 혁대를 찬 순경을 이따금 길에서 봤다. 그의 눈은 독사의 눈빛같다고 느꼈다. 어쩌면 사람의 눈이 저렇게 살기를 띠고 무서울 수 있을까 하는 느낌이었다.

사람들이 경찰서로 불려 가면 형사들한테 일단 두들겨 맞았다. 쌍욕을 듣는 건 예사였다. 경찰들은 지나가는 사람이 머리가 길면 불러세워서 가위로 머리를 잘라버리기도 했다. 그런 경찰을 무서워하지 않고 살려면 검사를 해야 한다는 소리를 들었다. 이따금씩 드라마에서 검사 앞에서 주눅 든 경찰을 보면 속이 시원했다. 사법고시에 합격해서 검사가 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고등학교 시절 어른들 입에서 ‘중앙정보부’라는 소리를 흔히 들었다. 어른들은 정치 얘기를 하다가도 입을 닫고 주위를 살폈다. 혹시라도 중앙정보부 요원이 들으면 한밤중에 남산 지하실로 끌려가 죽도록 얻어맞는다고 했다. 늑대 위에 호랑이가 있듯 중앙정보부의 권력은 나는 새도 떨어뜨린다고 했다.

국회의 중진의원도 중앙정보부에 끌려가 죽도록 얻어터지고 콧수염이 뽑히는 수모를 당했다는 말을 들었다. 거기서 맞아 죽어도 호소할 데가 없다고 했다. 중앙정보부에서는 그 무서운 검사도 지하실로 끌어다 두들겨 팬다고 했다. 법무장교로 군에 입대해서 수도군단사령부 군검사로 배치됐을 때였다.

모든 장교들은 보안 부대원을 두려워했다. 그들은 군인을 감시했다. 그 보안부대 위에 사령부를 담당하는 중앙정보부 요원이 파견나와 있다고 했다. 그 중정요원은 장군 인사까지 관여한다고 했다. 장군들이 그 중정요원에게 꼼짝 못한다고 했다. 그 시절 중앙정보부는 사회 모든 분야를 감시 통제 조정하고 있는 것 같았다. 내가 소년시절의 모습이었다.

전두환은 대통령이 되자 중앙정보부를 국가안전기획부로 이름을 바꾸어 계속 같은 임무를 수행하게 했다. 변호사들은 안기부가 여당보다 강한 정치기구라고 했다. 그곳에서 정치의 판이 짜여진다고 했다. 검사들은 안기부 도청을 두려워했다. 그리고 안기부 요원이 써올리는 보고서도 무서워했다. 모든 기관장이 마찬가지였다. 법원도 마찬가지인 것 같았다.

판사인 친구가 내게 이런 말을 했다.

“판사실에 있는데 말이야 검은 선글라스를 쓰고 검은 양복을 입은 안전기획부 요원 몇 명이 뚜벅뚜벅 걸어들어오는 거야. 정중한 말을 쓰고 공손하게 말을 하는 데도 마음이 위축되고 겁이 나더라구. 공안사건에 대해 업무협조를 해달라고 하더라구. 말이 업무협조지 압력이지. 이 나라의 권력은 그 사람들에게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

그 무렵 고교 선배인 중견 판사가 있었다. 겉으로는 조용하지만 소신과 결기가 대단한 분이었다. 선배인 그 판사한테서 이런 말을 들었다.

“판사는 세상에 대해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신분상 직접 할 수가 없어. 그래서 내가 고교동기인 인권변호사 조영래 사무실로 몰래 찾아갔어. 내가 의견을 제시하고 조영래 변호사는 그 내용을 칼럼으로 써서 동아일보에 기고했지. 조영래는 이미 드러난 인물이라 정보기관에서도 마음대로 통제할 수 없는 재야 거물이 됐지. 내가 그 친구를 이용한 거야. 그런데 며칠 후에 법원장이 나를 부르더니 ‘당신 판사 그만하고 싶어?’ 하면서 겁을 주는거야. 깜짝놀랐지. 알고보니까 조영래 변호사의 사무실에 정보기관의 도청장치가 되어 있었던 거야. 그리고 안전기획부에서 나에 대한 정보를 법원장에게 통보한 거지. 그 법원장은 정보기관의 말을 잘 듣는 사람이야. 후에 그 양반이 대법원장이 됐지.”

대한민국은 법치가 아닌 것 같았다. 법은 포장이고 실질적인 권력에 의해 세상이 움직이고 있었다. 그리고 그 근원지가 대통령직속의 정보수사기관인 안전기획부였다. 북의 정치보위부같이 이름 자체부터 으스스한 느낌이 들었다.

이상하게 그 기관에 대해 알고 싶은 강한 호기심이 들었다. 책에서 본 엉뚱한 글 하나가 떠올랐다. 눈에 보이지도 않는 미세한 벌레 하나가 갑옷 같은 개미의 단단한 껍질을 뚫고 들어가 뇌에 자리를 잡는 경우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 개미의 행동이 갑자기 달라진다고 했다. 느닷없이 풀잎 꼭대기로 올라가 하늘을 쳐다보기도 하고 변화를 보인다는 것이다. 세균같이 작은 그 벌레가 개미를 바꾸어 버린 것이다. 한번 정보기관의 두꺼운 담 안으로 들어가 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