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옥의 주식 이야기 18] 헷지 아닌 ‘홀짝 놀이’ 파생상품, 증권시장 왜곡시킨다

뉴욕증시 <사진 픽사베이>

[아시아엔=박영옥 주식농부, 아시아기자협회 이사, 스마트인컴 대표] 2008년 세계금융위기의 발단이 된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는 2000년대 초반 경기부양을 위한 초저금리 정책에서 시작되었다. 주택융자 금리가 인하되자 자본이 부동산으로 몰렸고 당연히 부동산 가격이 상승했다. 대출금리보다 더 빠른 상승률을 보였기 때문에 대출은행으로서는 안전한 거래처럼 보였다. 담보로 잡은 주택을 팔면 대출금 회수는 어렵지 않다는 계산이었다.

당신이 만일 안전한 데다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상품을 알고 있다면 가장 아쉬운 점이 무엇일까? 그렇다. 돈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때는 돈이 아무리 많아도 부족하다. 땅 짚고 헤엄치면서 노다지를 캘 수 있는데, 투자를 많이 할수록 더 많은 돈을 그것도 안전하게 벌 수 있는데 전 재산을 투자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대출은행들도 그랬다. 모지기 상품은 원금을 회수하려면 길게는 몇십년이 걸린다. 대출을 더 해주고 싶은데 가진 돈이 더 이상 없었다. 이때 월스트리트가 구세주로 나타났다. 대출은행이 돈을 빌려주고 받은 채권(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는)을 월스트리트의 금융사가 웃돈을 주고 사들인 것이다. 그러면 대출은행은 다시 대출해줄 돈이 생긴다. 대출과 채권 매도라는 순환 덕분에 얼마든지 돈을 빌려줄 수 있게 되었다.

섞이고 쪼개진 파생상품,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키웠다

월스트리트로 간 채권은 어떻게 되었을까? 모기지 채권은 이런 저런 다른 종류의 채권과 섞이고 쪼개져 파생상품이 되었다. 이 파생상품을 사들인 금융사는 이를 기반으로 또 다른 파생상품을 만들어냈다. 이렇게 담보로 잡은 부동산과 몇십년 동안 들어올 이자를 기반으로 한 파생상품이 월스트리트 전체로 퍼졌다.

그러나 저금리 정책이 종료되면서 이자와 원금을 갚지 못해 파산하는 사람이 속출했다. 부동산 버블도 꺼졌다. 대형 금융사와 증권사의 파산은 자연스러운 수순이었다.

이상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대략적인’ 개요다. ‘대략적인’이라는 말을 강조한 것은 모기지 기반 파생상품의 복잡성 때문이다. 금융가의 머리 좋은 사람들이 만들어낸 복잡한, 그래서 본질을 파악하기 어려운 파생상품들이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만들어냈다.

애초 파생상품이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았을 것이고, 그러면 금리가 올라 파산하는 사람이 있더라도 은행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었을 것이다. 설사 은행 한두 곳이 망하더라도 그 여파는 크지 않았을 것이다.

모두들 저금리 정책이 영원히 지속되고 집값 역시 영원히 상승할 거라고 생각했던 것일까? 곰곰이 생각해보자. 주택가격은 계속해서 오를까? 그럴 수 없다. 저금리 정책은 끝까지 지속될 수 있을까? 그럴 수 없다. 금리가 올라간다면 저소득층 사람들이 이자를 계속 낼 수 있을까? 그럴 수 없다.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이 아니다. 그런데도 모두들 저금리 정책이 영원히 지속되고 집값 역시 영원히 상승할 것처럼 행동했다. 왜 그랬을까? 필자는 기초자산인 주택과 이자, 그리고 주택을 소유하고 이자를 낼 저소득층의 사람들까지 고려하기에는 파생상품이 너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웠던 거라고 생각한다.

꼼꼼하게 파고 들어가면 불가능한 전제 위에 만들어진 파생상품이었지만 잘게 쪼개고 섞고 복잡하게 꼬아놓으니 본질을 파악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가만 보면 병아리 셈과 다를 게 없다. 병아리가 자라서 알을 낳고 그 알이 병아리가 되고 그 병아리가 자라서 또 알을 낳고…. 그렇게 머릿속 숫자놀음을 하다가 바구니에 담긴 알을 깨먹은 것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실체가 아니었을까.

온갖 펀드와 복잡한 파생상품, 당신에게 익숙한가

필자는 단순한 것을 좋아한다. 투자한 기업들도 단순한 수익구조를 갖고 있다. 지분관계가 복잡하고 자회사로 얽혀 있는 기업은 어디서 문제가 생길지 모르고, 문제가 생겨도 초기에 발견하기 어렵다. 굳이 비유하자면 비행기 같은 기업보다 자전거 같은 기업을 좋아한다. 자전거는 작동원리가 단순하고 고장이 났을 때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금방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이 단순해야 하는 것처럼 증권시장도 그래야 한다고 생각한다. “기업에 자본을 투자하고 이익이 나면 공유한다”는 원리 외에 다른 무엇이 필요한지 모르겠다.

그러나 우리는 ‘복잡한 금융환경’에 놓여 있다. 학교에서 배운 것으로는 어림도 없다. 책 몇 권 읽는 것으로도 알기 어렵다.

대다수의 신문 구독자가 경제면은 그냥 넘긴다. 주식투자를 하고 있는 사람들조차 속출하는 ‘기괴한’ 단어들을 다 알지 못한다. 전업투자자인 필자조차도 한참을 들여다봐야 이해하는 신상품들이 있다. ELS, ETF, INDEX 등의 이름을 달고 나오는 온갖 펀드가 그것들이다.

같은 인덱스펀드라 해도 증권사마다 조건이 다르니 이해하기 쉽지 않다. 투자자들은 그저 아주 특별한 악재가 발생하지만 않으면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정도만 아는 것 같다.

나는 기업 공부에 시간을 낼 수 없는 개인투자자라면 간접투자를 하는 편이 낫다고 생각한다. 생업에 종사하는 것만으로 벅찬 사람보다는 업무시간 내내 기업을 연구하고 경제동향을 예의주시하는 사람들이 투자를 더 잘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몇몇 종목을 뽑아 지수를 만들어서 그것을 거래하는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 개별기업의 가치 대신 지수가 주가를 주도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실제로 프로그램 매수를 보면 기업 내용이 좋은데도 사정없이 팔아치우고 내용이 좋지 않은 기업인데도 마구 사들이곤 한다. 지수와 종목의 갭을 메우기 위해서다. 결국 기업 가치와 주가가 따로 놀게 되는데 이것은 증권시장의 왜곡이다.

동물의 꼬리는 달릴 때 균형을 잡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그것은 몸통의 균형을 보조하는 기능일 뿐이다. 파생상품 역시 현물시장을 보조하는 기능에서 멈춰야 한다. 지금은 파생상품이라는 꼬리가 현물시장이라는 몸통보다 거래 규모가 크다. 모기지 파생상품이 주택과 이자를 가린 것처럼 우리 증시의 파생상품 역시 기업이라는 본질을 가리게 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다.

2017년 3월 금융위원회는 파생상품시장 활성화를 위해 코스피200 선물옵션의 거래단위인 거래승수를 50만원에서 25만원으로 낮췄다. 또 미니코스피200 선물옵션의 거래승수는 5만원으로, 코스피200 변동성지수선물의 거래승수는 25만원으로 낮췄다. 기존의 절반 수준이다. 정말 궁금하다. 특정 시점의 지수가 오를 것이냐 내릴 것이냐를 두고 벌이는 도박을 왜 활성화해야 하는가.

현물을 가진 사람이 위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헷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홀이냐 짝이냐를 놓고 하는 놀음이 왜 활성화되어야 하는가. 파생상품시장의 활성화가 기업과 경제에 어떤 도움을 주는지 정말 알 수 없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