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틀즈의 장발과 트위기의 미니스커트···”1960년대는 그들의 시대였다”

1968년 인도를 방문한 비틀즈 멤버들. 모두 장발이다. 마하리시 마헤시 요기 명상 지도자 역시.

[아시아엔=김중겸 치안발전포럼 이사장, 전 경찰청 수사국장] 1960년대 미국 히피는 마리화나 피우고, 프리섹스 즐기며, 전쟁반대 데모를 했다. 오늘날 불법마약 상용의 원조다. 긴 머리도 깎을 생각하지 않았다.

이들이 붙잡힌 건 장발이 원인이 아니었다. 장군들은 살아남고 젊은 목숨만 스러져가는 명분 없는 월남전에 반대했기 때문이다.

영국 비틀즈도 장발의 대명사다. 이들이 경찰에게 그 긴 머리로 잡혔다는 뉴스는 없었다.

1968년 5월이 피크. 서양에서는 반항하는 청년들의 문화가 기성세대 가치관에 저항하는 反문화로 올라서더니 이후 쇠퇴했다.

원인은 트위기의 등장이었다. 봉제공장 여공 거쳐 미장원 샴푸 담당 때 모델로 발탁, 선풍 일으켰다.

1960년대 패션 아이콘 트위기

트위기(Twiggy)의 본명은 레슬리 로손이었다. 잔가지처럼 연약하다 하여 붙은 별명이 twiggy였다. 빼빼 마른 몸매가 여성의 표준이 되었다.

여기에 머리는 커트 머리(Bob cut). 그때까지 아름다운 여성의 헤어스타일이라던 긴 머리는 급격히 사라졌다. 남자들은 트위기 머리가 boyish(소년스럽다)고 했다. “장발은 이제 No! 저 단발 본뜨자.” I love 해병대 까까머리. Mohican Hairstyle이 다시 등장하고 유행했다.

미니스커트는 1920년대부터 등장했으나 각광받지 못했다. 그러다가 트위기가 미니스커트를 입자 난리가 났다. 너도나도 입었다.

일본에선 1965년에 미니스커트가 출시됐다. “어휴 창피해.” 안 팔렸다. 1967년 미니스커트 차림의 트위기가 도쿄 방문했다. 이제 안 입으면 현대여성이 아니다. 판매 폭발!

한국의 1970년대 장발단속

남자 대학생은 장발, 여대생은 미니스커트가 취체(取締) 대상이 됐다. 경찰아저씨 보이면 숨었다. 도망 다니다가 육교 건너갔다. 경찰관도 숨 턱턱 막힌다. 더 이상 뒤따라오지 않는다. 계단 맨 아래서 한숨 돌리고 있었다. 벌렁 뒤로 누었다가 발견했다.

“아, 이거 웬 새로운 경지냐?” 그때 한창 유행한 미니스커트 속을 보면서···. “야! 삼각이냐? 무슨 색깔야?” 올라가고 내려오는 여인의 팬티 놓고 내기한다.

그저 그 나이 때 장난기다. 한두 번 해보고는 시들해진다. 한때의 에피소드, 성인으로 가는 과정의 통과의례다.

젊은 탓으로 인한 탈선(aberrations of youth), 그걸로 끝낸다. 비행에 대한 자율억제다.

30cm자로 여대생 무릎 대고 단속···요즘 같으면 ‘성추행’ 

경찰의 단속은 어느 때 어느 곳이건 그 대상에 별 차이가 없나보다. 신체노출은 고금동서의 타부. 서양은 1920년대에 심했다.

우리는 1970년대 정치상황과 맞물렸다. 경찰관은 하루 몇 명 이상 단속이라는 일당 할당목표 달성에 내몰렸다.

손에 든 가위로 길가에서 머리카락 싹둑싹둑, 환경오염이다. 여대생 무릎에 자 대고 20cm 넘나 쟀다. 지금이라면 성추행이다.

젊은 남녀는 경찰관만 보이면 도망가고. 도망가는 대학생을 경찰관은 추격하고. 양쪽 모두 풍속화(風俗畵)의 주인공이다.

미니스커트는 경범죄처벌법에 과다노출로 1973년 등장, 1984년 퇴장했다. 장발도 같은 해 규정했으나 명줄 조금 길었다. 1988년 말 삭제됐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