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파동이 남긴 것①] 식약청장의 무능과 축산정책 전면 개편 ‘절실’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보건영양’ 논설위원] 최근 살충제 계란 사태로 인하여 국민들은 ‘달걀 공포증(Eggphobia)’에 시달려야 했다. 식품 당국자들이 자초한 측면이 많다.
살충제 계란에 대한 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전에 류영진 식약처장은 “국내산 계란은 안심하고 먹어도 된다”고 말했고, 김영록 농식품부 장관은 지난 18일 “오늘부터 출하된 계란은 안전하다”고 말했지만 재검사와 추가 검사를 통해 살충제 계란이 거듭 발견됐다. 식품안전을 책임지는 당국자의 잘못된 정보 전달이 계란 공포증(恐怖症)을 키운 셈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림축산식품부는 8월 21일 ‘살충제 검출 계란 관련 추적 조사 및 위해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은 “살충제 계란 파동으로 국민들께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사과했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언론 인터뷰(조선일보, 8월 18일)에서 ‘살충제 계란’ 사태는 밀식 축산·공장식 양계 산업의 축산업계 관행이 가져온 필연적 결과라고 했다.
이 총리는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복지 축산’으로 가야 하며, 조류인플루엔자(AI) 상시 방역 체계를 포함해, 중장기 과제로 밀식(密植) 축산 해소를 추진하고 축산 농장에 CCTV를 설치하겠다”고 말했다.
(사)대한양계협회와 계란자조금관리위원회는 공동으로 “살충제 계란 사태에 대해 생산농가를 대표하여 깊이 사죄드립니다”는 제목의 사과문을 8월 25일자 일간지에 게재했다. 계란 생산자들은 살충제 부적합 사용 건에 대하여 정부와 신속하게 대책 안을 마련하여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우리는 완전무결(完全無缺)한 식품을 원하지만 사실상 100% 안전한 식품은 없는 게 현실이다. 예를 들면, 수돗물에는 염소(鹽素)소독 등의 결과로 발암물질이 미량(微量)이 불가피하게 나오고, 농축산물에는 항생제 등 유해물질이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인체에 위험한 물질이 단순히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위험물질을 얼마나 많이 섭취하는지가 중요하다. 또한 살충제 성분은 소량이라도 경우에 따라 세포 독성(毒性)이나 돌연변이(突然變異), 장기손상(臟器損傷)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살충제 계란 파동을 예방할 수 있는 대안으로 동물복지(animal welfare) 축산농장이 조명을 받고 있으므로 정부도 이러한 산란계(産卵鷄) 복지농장의 확대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동물복지 축산농장은 대부분 소규모 농장인데 정부 정책은 대형 농장 위주로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
공장식 축산과 후진적 동물복지정책은 반생명적, 반생태적(反生態的)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살충제 계란 사태를 통해 재확인했다.
동물의 생태와 생명의 존엄성을 고려한 전향적이고 종합적인 동물복지정책의 수립과 축산정책의 전면적인 개혁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에 우리는 와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