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습관과 위 건강①위염] 위궤양·위암과 3대 위장병···술·담배·카페인이 주원인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보건영양’ 논설위원,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미국 워싱턴대 건강측정평가연구소(IHME)는 세계 188개국을 대상으로 건강 위험요인을 79개로 나눠 조사를 실시한 연구결과를 최근에 의학 저널 <랜싯>(Lancet)에 게재했다.

2013년 기준으로 사망위험 단일인자로 따지면 1위 고혈압, 2위 흡연이다. 하지만 연구소는 식습관(食習慣)과 관련된 요인 14개를 합치면 전 세계 사망 위험요인 1위는 잘못된 식습관이라고 밝혔다. 사망위험요인 상위 10개안에 포함된 식습관 관련 위험요인에는 5위 나트륨 과다 섭취, 6위 과일 섭취 부족 등이 있다.’

 

또한 연구소는 2013년 조사대상애 오른 세계 사망건수 3080만건 중 21%가 과일과 통곡물, 채소는 적게 먹고, 붉은색 고기와 설탕이 많이 들어 있는 음료수를 많이 섭취하는 등의 잘못된 식습관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식습관과 직결되는 인체기관은 위(胃)다. 위의 길이는 20-25cm, 용량은 2ℓ이며 음식물 흡수량은 평균 1.3ℓ이다. 위의 구조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튼튼한 근육층을 갖고 있어 신축성이 매우 뛰어나며, 빈 속일 때는 바람 빠진 풍선처럼 앞뒤 벽이 붙어있다가 음식물이 쌓이면 늘어난다.

위는 수축운동과 연동(聯動)운동을 1회 20초 간격으로 1분간 3회를 한다. 식후 30분쯤 지나면 위산이 음식물에 침투, 혼합되어 소화가 시작되며, 소화효소의 도움으로 음식물을 죽 상태로 만들어 유문의 조절에 의해 십이지장 쪽으로 조금씩 넘어가서 소화과정을 거치게 된다.

위로 들어온 음식은 액체인 경우 2시간, 고형물인 경우 4시간 이상 위 속에 머물게 되며, 위에서 분비되는 위액은 음식물과 함께 들어온 세균을 소독한다. 위액은 무색투명하고 약간 점성이 있으며 pH 1-2 정도의 강산성(强酸性)이다. 위는 복강동맥(腹腔動脈)에서 갈라져 나온 간동맥 등 6개 동맥을 통해 혈액을 공급받고 있으며, 위벽으로 들어간 혈관은 위점막층에서 거미줄 같은 혈관망을 형성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위장병은 대략 15가지 정도다. 이중 위염, 위궤양, 위암 등 3대 위장병이 전체의 90% 이상 차지한다. 식사 후 소화가 안 되며, 배에 가스가 차고, 명치에 덩어리가 걸린 것 같은 느낌을 호소하는 소화불량증은 많은 사람들이 앓고 있다. 생활습관으로 오는 소화불량증은 초기에 잡는 것이 좋다.

‘위염’이란 위내시경을 통해 위장 조직의 점막에서 염증이 증명된 상태를 말하며,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음식을 많이 먹거나 급하게 먹는 경우, 특히 매운 음식을 먹었을 때 위장에 염증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소염제ㆍ진통제ㆍ아스피린 등의 약물, 심한 스트레스, 흡연, 음주 등도 위염을 일으킬 수 있다.

위염은 발생하는 시간에 의해 급성과 만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조직학적 소견, 해부학적 분포 및 병태생리학적 특징에 따른 분류도 있다. 급성위염은 헬리코박터균에 감염을 비롯하여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진균 등에 감염되었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알코올, 약물에 의해 유발되기도 한다.

만성위염은 염증이 주로 있는 부위와 발생기전에 따라 A형과 B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A형은 자가면역성 기전에 의해 발생하며, 위 체부를 주로 침범한다. 한편 B형은 헬리코박터균과 관련되어 있으며 주로 위 전정부를 침범한다. 우리나라 만성 위염의 대부분은 B형 위염이다.

위장 점막에는 감각신경이 발달되어 있지 않아서 심한 염증이 생겨도 직접적인 증상을 느끼지 못 할 수도 있는 반면에 심한 복통을 호소하는 사람도 있다. 급성위염의 경우에는 명치부위의 갑작스러운 통증과 구역 및 구토 등이 발생한다. 만성위염의 경우는 특징적인 증상이 없으며, 많은 환자들은 소화불량증과 같은 상부 위장관 증상을 호소한다.

위염 치료는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에 따라 결정된다. 흔히 위의 산도(酸度)를 떨어뜨리는 약제, 위장관 운동 조절제, 위장 점막 보호제 등을 많이 사용한다. 위염 환자에서 정상인에 비해 위산 분비가 과다하게 분비된다는 증거는 없지만, 위의 산도를 떨어뜨리는 약제(제산제, H2 수용체 길항제 등)가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다.

급성위염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에는 자극이 적은 식사를 하여야 한다. 음주, 흡연, 카페인 등은 위염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피해야 한다. 만성위염이 경우에는 금연, 절주, 신선한 채소 위주의 식사를 하도록 한다. 특히 만성위염 환자는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위선암(癌)을 조기 진단을 위해 정기 검사를 받아야 한다.

위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음주, 흡연, 소염진통제 남용 등을 교정해야 한다. 고혈압이나 당뇨병의 합병증을 막기 위해 아스피린을 먹는 경우에 위염이 발생하면, 주치의와 상의하여 복용 약물을 바꾸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규칙적인 식사와 매일 30분가량 몸에 약간 땀이 날 정도의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대한상부위장관ㆍ헬리코박터학회의 2012년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위내시경 검진을 받은 25,536명 중 85.9%가 위염을 앓고 있다. 한편 위염에서 발전하는 위궤양 유병률은 약 10%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