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만의 대중음악 산책] 1919년 ‘광복가’···”2천만 동포야 총칼 잡고 일어나거라”

[아시아엔=김세만 대중음악칼럼니스트] 1910년대 <학도가>가 거리에서 민중의 독립운동을 갈망하며 국민가요처럼 전국 방방곡곡에서 메아리칠 때 일제는 탄압의 강도를 더 높여갔다.

그러나 풀은 밟히면 밟힐수록 생명력이 더 살아나는 법. 100년 전 한민족의 모습이 바로 그랬다. <광복가>가 나온 것이 그 무렵이다. 1919년 1월 고종이 승하한 직후 3·1 독립운동이 전국에서 요원의 불길처럼 타올랐다.

1919년 3월1일 조선총독부의 탄압에 민족의 분노는 대규모 민중봉기로 폭발한 것이다. 덕수궁의 유폐됐던 고종이 1월 갑자기 승하하자 독살 등 여러 의혹이 제기됐다.

조선민중은 더 이상 참고 기다릴 수 없었다. 기미년 3월1일 탑골공원에서 손병희 등 민족대표 33인과 학생들이 모였다. 그리고 ‘독립선언문’을 발표하고 바로 “대한독립 만세!”를 목청껏 외쳤다.

감동과 감격의 독립만세와 함께 <광복가>를 부르면서 전국 곳곳에서 시위운동이 불타올랐다.

 

이천만 동포야 일어나거라

일어나서 총을 메고 칼을 잡아서

잃었던 내 조국과 너의 자유를

원수의 손에서 피로 찾아라

한산의 우로받은 송백가지도

무덤 속 누워있는 혼령까지도

노소를 막론하고 男이나 女나

어린아이까지도 일어나거나

끓는 피로 청산을 고루적시고

흘린 피로 강수를 붉게 하여라

섬나라 원수들은 쓸어버리고

평화의 종소리가 울릴 때까지

 

3·1기미독립운동은 서울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퍼져나갔다. 북간도, 만주, 연해주, 중국, 미국, 일본 등으로까지 파급되어 “대한독립 만세!” 물결은 1945년 해방의 기초가 되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