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깐묵상] 자기 중독의 치료


에스더 7장

“하만이 심중에 이르되 왕이 존귀하게 하기를 원하시는 자는 나 외에 누구리요”(에 6:6)

하만은 왕후가 베푸는 잔치에 초대를 받았다며 자기가 대단한 사람이라도 된 것처럼 굴더니 이번에는 ‘왕이 드디어 나에게 큰상을 내리시려나보다’ 하고 혼자서 김칫국을 마시고 설레발까지 칩니다.

우월감이나 교만함, 열등감과 피해의식은 각각 다른 것 같지만 동일한 상태의 서로 다른 발현일 뿐입니다. 자기 자신에게 함몰되거나 과몰입 되어서 나밖에 모르는 상태라는 것입니다.

“모르드개를 매달려고 한 나무에 하만을 다니”(에 7:10)

결국 하만은 자신이 쳐 놓은 덫에 자신이 걸려 생을 마감하고 맙니다. 나라는 덫에 내가 걸린 것입니다.

자기 중심성은 죄인의 전형적 특징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다 자기중심적이라는 것과 사람은 다 죄인이라는 것은 같은 말입니다.

상대의 입장에서 한번 고려해 보는 것이 그렇게 어려울 수 없고, 사촌이라도 땅을 사면 배가 아프고, 말로는 하나님을 위해서라고 하지만 내 자랑을 포장하기 위해 하나님의 영광을 이용할 때도 많습니다.

문제의 상황이 빚어질 때 내가 더 큰 피해자라고 주장하고 싶고, 누군가에게 그 상황을 전할 때면 나에게 불리한 설명은 어떻게 그리도 잘 편집하는지 모릅니다. 나를 정당화하고 합리화하는데는 누구나 다 천재입니다.

우리의 마음을 MRI로 촬영할 수 있다면 하만과 비슷한 구석이 꽤나 많지 않을까요? 자기 중심성은 자기 중독을 낳습니다. 하만은 자기밖에 모르는 심각한 자기 중독자였던 것입니다.

“만물보다 거짓되고 심히 부패한 것은 마음이라 누가 능히 이를 알리요마는”(렘 17:9)

우리에게 예수님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내 욕심과 이기심에 질식되어서 죽는 줄도 모르고 서서히 죽어가는 나를 구출하러 예수님이 이 땅에 오셨습니다. 나 자신에게 빠져 헤어나올 길이 없는 나에게 출구를 열어주셨습니다. 그 길이 바로 십자가의 길입니다. 자기 중독이라는 미로를 빠져나오는 자기 부인의 길을 열어주신 것입니다. 이것이 구원의 길입니다.

“누구든지 나를 따라오려거든 자기를 부인하고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를 것이니라 누구든지 제 목숨을 구원하고자 하면 잃을 것이요 누구든지 나를 위하여 제 목숨을 잃으면 찾으리라”(마 16:24-25)

우리의 마음을 MRI로 촬영할 수 있다면 하만과 비슷한 구석이 꽤나 많지 않을까요? 자기 중심성은 자기 중독을 낳습니다. 하만은 자기밖에 모르는 심각한 자기 중독자였던 것입니다. “만물보다 거짓되고 심히 부패한 것은 마음이라 누가 능히 이를 알리요마는”(렘 17:9)  사진은 캐나다 토론토시가 마약 중독자들의 위생적인 마약주사를 돕기 위해 설치한 보건시설에서 투약하는 장면.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