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박상설의 자연 수업’…아흔살 캠퍼의 장쾌한 인생 탐험

오대산 캠프나비에서 돋보기로 글씨를 키워가며 독서 중인 박상설 선생

“늙어가는 데는 별난 기술이 필요하다. 나는 오늘도 숲으로 출근했다 글쓰기로 퇴근한다. 나의 글은 늙지도 죽지도 않는다, 자연처럼!”

2021년 12월 23일 타계한 박상설 <아시아엔> ‘사람과 자연’ 전문기자의 <잘 산다는 것에 대하여>(토네이도, 2014)가 이달 초 <박상설의 자연 수업>(나무와달, 2023)으로 복간됐다. <박상설의 자연 수업>은 저자가 손수 검수한 초판본 구성을 훼손하지 않되, 저자가 직접 쓴 글과 촬영한 사진만으로 판면을 재구성해 저자의 고유한 세계가 심플하게 드러나도록 집중했다. 또, 설산 트레킹을 즐겼던 만년의 삶을 기념해 화이트 에디션으로 단장했다.

박상설 선생은 <아시아엔> 창간 얼마 뒤부터 10년 가까이 칼럼을 썼다. 그가 2015년 식수한 아시아엔 4주년 기념 금강송 앞에서 포즈를 취했다. 

셰익스피어의 말 그대로 ‘심플 라이프, 하이 씽킹’을 몸소 실천한 박상설 전문기자는 숨지기 두달 전까지 <아시아엔>에 자연주의 칼럼을 기고했다. 또 오대산 600고지 레저농원 ‘캠프나비’와 전국 어디서나 부르는 곳에 달려가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전 세대를 아우르는 인문학 강좌를 열정적으로 펼쳤다.

“산에 나를 버렸더니 산이 나를 살렸다” “숲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지운다” “텐트 안은 인생과 철학을 품은 우주다” 등의 그의 말은 들판에 뒹굴고, 산을 오르내리며 체득한 깨우침에서 왔다.

박상설의 답설(눈을 밟다)

박상설의 자연 수업 1 : 자연은 치유다, 자유다

아프고 병들면 찾는 곳이 꼭 병원만은 아니다. 모든 것 다 내려놓고 자연의 품으로 찾아드는 이도 적지 않다. 그런 결행을 시도한 이들에게 생각지도 못한 기적이 일어나기도 한다. 죽기 위해 세계 오지를 떠돌았던 박상설이 산 증인이다. 수술도 받을 수 없는 뇌졸중 환자였던 그가 자연에 자신의 몸을 내버리러 떠난 뒤, 치유되었고 살아남았다. 자연은 치유의 원천이다. 아프고 병든 현실로부터 치유받고 자유로워지고 싶다면 자연과 동행해야 한다. 우리 안의 자연성을 회복해야 한다. 자연 중심의 삶은 우리 몸을 살릴 뿐만 아니라 열린 마음과 풍부한 감성을 키워준다. 이것이 진정한 치유, 자유로 가는 지름길이다.

오대산 600고지 캠프나비 안 밭에서 회원들과 일하는 박상설 선생 

박상설의 자연 수업 2 : 자연에서 체득한 서바이벌 정신으로 인생을 설계하라

그는 도시의 일상과 자연의 공간을 이분법적으로 나누지 않는다. 오히려 도시 노동자가 바쁜 시간을 쪼개 틈틈이 목가적 영농과 레저 놀이를 병행하는 생활을 할 때 인생이 소박해지고 중심이 잡힌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 등산, 캠핑, 주말 영농 등 자연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을 즐겨 하면 DNA 속 잠들어 있는 생존 본능이 깨어나고 공동체 의식이 싹튼다. 말보다는 행동으로 자신의 삶을 직접 변화시킬 힘을 얻게 된다. 인생에서 진정한 성공을 이루려면 자신의 가치관을 점검하고 인생의 목표를 설정한 뒤 궁극적으로 행동하는 삶으로 나아가야 한다. 습관을 수정하면 운명이 변화하고 성공하는 인생을 살게 된다. 이런 변혁의 근본적인 힘은 ‘안온한 집’에만 머물러서는 불가능하다. 자연에서 체득한 서바이벌 정신으로 인생을 새로 설계하라.

사해안 낙조를 바라보며 생각에 잠긴 박상설 선생

박상설의 자연 수업 3 : 생각이 깊어지는 삶이 행복하다

우리가 자연을 찾는 궁극의 이유 중 하나는 몸을 굴려 생각이 깊어지게 하기 위해서다. 생각이 깊어져 사색의 품격을 가지려면 숲으로 들어가야 한다. 속도를 중시하고 경쟁이 극심한 사회를 뛰어넘을 수 있는 대안은 자연에서만 탄생하기 때문이다. 캠핑지에서 삼겹살 굽는 삶에 만족할 것이 아니라 책 한 권 들고 더 깊은 숲으로 들어가야 한다. 인간이 자연과의 접속을 잃지 않고 자신의 분야에서 스스로 땀 흘려 깊어지면 그의 인생도 점점 원숙해지며, 자신의 내면이 자연과 유랑하면서 궁극의 자유에 이르게 된다.

책은 모두 4강으로 이루어져 있다. 1강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에서는 저자의 드라마틱한 인생 여정과 함께 다양한 레저 활동 및 여행에 대한 인문적 단상을,  2강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서는 저자가 오지 탐험 중에 만난 별난 사람들 이야기를, 3강 ‘생각이 깊어지는 삶이 행복하다’에서는 자연과 사람, 사회와 미래를 바라보는 저자의 철학적 단상을, 4강 ‘홀로 숲을 이루는 나무는 없다’에서는 총체적 삶의 변혁을 꿈꾸며 우리의 체질 개선을 시도하는 저자의 인생과 문화 특강을 담았다. 

박상설의 가장 가까운 벗은 책이었다.  


지은이 박상설(1928. 1. 27~2021. 12. 23)

건설부 공무원을 거쳐 건설업체 임원으로 활동하던 1987년(60세)에 뇌졸중으로 쓰러지면서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했다. 한국에서는 병명을 찾지 못하다가 3년 후 미국으로 건너가서야 ‘뇌간동맥경색’ 판정을 받았다. 당시 수술이 불가능했다. 매일 아스피린 한 알을 먹고 끊임없이 운동하는 것만이 유일한 처방이었다. 그때 기존 삶의 방식을 모두 내려놓고 불편한 몸으로 오지를 떠돌겠다고 결심했다. 텐트 하나 걸머지고 알래스카, 고비사막, 타르사막, 인도와 네팔의 자연 속으로 뛰어들었다. 죽자고 뛰어든 곳에서 살아났고, 눕지 않고 걷기를 계속한 것이 기적을 가져왔다. 그는 자연을 다시 만났고 체험했으며 비로소 신앙하게 되었다. 이때의 체험을 기록한 글이 2001년 동아일보 투병문학상 우수상을 받았다. “마지막 스승은 나를 산에 버리는 것”이라고 입버릇처럼 말하던 그는 하얀 눈이 소복이 쌓이던 날에 생전 원하던 자연의 품으로 돌아갔다. 걷고 등산하고 캠핑하면서 인간 DNA 안에 각인된 자연 회귀 본능을 따를 때 궁극적으로 행복해진다는 것이 그의 일관된 메시지였다.

다음은 박상설 선생의 평소 생각을 담은 유튜브 링크

https://youtu.be/nrB5sUZNpa4?si=x4k2OrY9bloYBeMy

추천 글

‘마지막 스승은 자신을 산에 버리는 것’이라고 말하는 그의 체험과 사색이 녹아든 이 책에서 인생의 도전과 지혜와 기쁨이 무엇인지를 독자들이 깨닫게 되기를 바란다.-이장무 전 기후변화센터 이사장, 전 서울대 총장

박상설 선생을 보면 19세기 미국 시인 에머슨과 그의 시가 떠오른다. 에머슨이 내 옆에 슬며시 다가와 속삭인다. “박상설 선생을 본받으시오. 그가 하자면 하고, 그가 가자면 가시오. 그는 자연주의자가 아니오. 자연 그 자체라오.”-이상기 <아시아엔> 발행인, 전 한국기자협회장

박상설은 사유와 행동을 묶어 벤처 인생을 경영하며 ‘행복’, ‘잘 산다는 것’의 의미를 엿보게 한다. 신명나는 국민 행복 프로젝트의 캐치프레이즈는 ‘맑고 자유롭게 자연으로!’ 그 자체다.-정현홍(전 국립공원관리공단 탐방관리이사)

지금까지와는 다른 ‘가지 않은 길’을 가야겠다는 결심이 서는 순간, 재활을 마다하고 병원 문을 나섰다. 동행은 배낭 하나뿐이었다. 그의 ‘자연으로의 여정’은 그렇게 시작되었다.-나공주(전 국립공원관리공단 탐방지원처장, 전 지리산국립공원본부장)

깐돌 선생님께서 보여주신, 세대를 초월한 깊은 사고와 특별했던 삶의 방식은 이 시대의 진정한 어른 상에 대한 존경심의 발로이자 사무치는 그리움이 되고도 남는다.-엘크(‘캠프나비 행동하는 레저인문학’ 운영자)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