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칸, <티탄> 황금종려상···뒤쿠르노 감독의 공포성 범죄 스릴러

영화 <티탄> 한 장면

여성 감독 첫 단독 수상, 흑인 최초 심사위원장 등 새역사 

[아시아엔=전찬일 영화평론가, 한국문화콘텐츠비평협회 회장, <아시아엔> 대중문화 전문위원] 30대 후반의 여성 감독 쥘리아 뒤쿠르노의 두 번째 장편 연출작 <티탄>에 황금종려상을 안겨주며, 코로나19로 2년만에 정상(?) 개최된 제74회 칸영화제가 18일 새벽(한국시간) 12일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티탄 포스터

영화는 그리스신화의 거인족에서 제목을 가져왔다. 어릴 적 사고로 티타늄 조각이 머리에 박힌 소녀가 성장해 자동차에 기이한 집착을 보이는 연쇄살인범(아가트 루셀 분)이 된다. 그녀는 경찰망을 피해 행방불명된 소년으로 위장해 소년의 아버지(뱅상 랭동)를 만나는 기행을 벌인다.

영화 <티탄> 한 장면

<티탄>은 간단한 줄거리 소개만으로도 그 파격·충격의 드라마가 상상되는, 문제적 공포성 범죄 스릴러다. 뒤쿠르노 감독은 열세 살 선머슴 같은 소녀를 축으로 전개되는 단편 <주니어>(2011)와, 장편 데뷔작 <로우>(Raw/Grave, 2016)를 병행, 섹션 비평가주간에서 선보이며 칸에서 이미 일대 큰 센세이션을 일으킨 바 있다. 그녀는 세 번째 도전만에 세계 최고 영화제 최고 영예를 차지하는 파란의 주인공에 등극했다.

뒤쿠르노 감독

개인적 동의 여부를 떠나, 이로써 그는 이전의 그 어느 감독도 이뤄내지 못한 위업을 일궈냈다. 칸의 새역사를 활짝 열어젖힌 것이다.

“황금종려상이 자신이 여성이라는 사실과는 관련이 없기를 바란다”고 역설했으나 그의 쾌거는 여성 감독으로는 역대 두 번째다. 1993년 <피아노> 이후 28년만이다. 제인 캠피언은 그때 첸 카이게의 <패왕별희>와 공동 수상이었다. 따라서 여성 감독의 단독 수상으로는 사상 최초다. 그러니 어찌 “역사적 위업”이라 일컫지 않을 수 있겠는가.

감독은 “세 영화를 관통하는 여주인공이 남자여도 무방했으며, 성 정체성은 따라서 그렇게 결정적 변수가 아니다”라고 강변하지만, 결과적으로 연쇄살인마가 여성이고, 공포영화라는 외피를 입고 있다는 점 등에서 <티탄>은 비교적 느슨하고 자유로웠던 칸의 외연과 내포를 한층 더 확장·심화시켰다고 평할 수 있다.

수상소감 밝히는 뒤쿠르노 감독

칸영화제 현장을 20회 다녀온 필자로서 기억하건대, 이렇게 자극적·도발적 공포물이 최고상을 안은 적은 없다. 영향을 넘어 자신의 영화적 DNA 안에 짙게 배어있다고 고백한, 캐나다 출신의 명장 데이비드 크로넨버그가 <크래쉬>로 1996년 가져간 것은 심사위원특별상이었다.

개인적 호불호야 세상의 거의 모든 영화에 해당되는 만큼 그렇다손 쳐도, 이래저래 이번 황금종려상은 칸 역사상 최대 파격이요 이변으로 기록될 공산이 크다. 파격·이변은 황금종려상만이 아니다. 한 부문도 아니고 심사위원대상과 심사위원상 두 부문에서 각 두 편씩 수상작을 낸 것도 이례적이다.

이란 아쉬가르 파라디의 <영웅>과 핀란드 유호 쿠오스마넨의 <컴파트먼트 넘버 6>, 태국 아핏차퐁 위라세타쿤의 <메모리아>와 이스라엘 나다브 라피드의 <아헤드의 무릎>이 그들이다. 경쟁작이 24편으로 지난 2019년 72회보다 3편이 늘어서 후하게 상을 안배한 게 아닌가, 싶기도 하나 심사위원들 간의 의견 일치가 그만큼 힘들었으리라는 것을 시사한다.

8인 심사위원 중 브라질의 명장 클레버 멘돈사 필류가 시상식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심사위원장 스파이크 리 감독이 ‘아주 민주적’이었다”고 발언한 것도 그런 분위기를 우회해 전한 것 아니겠는가.

칸 현지에서 가장 널리 참고되는 데일리 스크린 인터내셔널 평균 평점 3.0점(4점 만점)과 3.5점―<티탄>은 평균 이하인 1.6점으로 하위권이었다―을 받으며 황금종려상 유력 후보로 일찌감치 회자됐던 프랑스 레오 카락스의 개막작 <아네트>와 일본 하마구치 류스케의 <드라이브 마이 카>가 감독상과 각본상을 받은 것도 이변 아닌 이변인 감이 없지 않다. 그래서일까 카락스는 시상식장에 나타나질 않은 건지 못한 건지, 궁금증을 자아냈다.

반면 <아사코>로 2018년 빈손으로 돌아갔던 하마구치는 기뻐하는 표정이 역력했다. 그해 이창동 감독의 <버닝>은 칸 스크린 사상 최고 평점인 3.8점을 얻고, <드라이브 마이 카>처럼 국제영화비평가연맹(FIPRESCI/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Film Critics))상을 손에 쥐고도 무관의 수모를 당하지 않았는가. 그러고 보니 두 영화 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멋진 원작들을 각색한 영화들이었다.

연기상의 향배 역시 파격이요 이변이다. 그야말로 쟁쟁한 경쟁자들을 제압하고, 상대적으로 젊고 덜 알려진 배우들이 영광을 가져갔다. 호주 영화 <니트램>에서 열연을 펼친 30대 초반의 미국 배우 칼렙 랜드리 존스와, 노르웨이 영화 <세상에서 가장 나쁜 인간>의 레나트 라인제브가 그 주인공들이다.

그들로서는 저스틴 커젤과 요아킴 트리에 같은 문제적 감독들과 호흡을 맞출 수 있다는 것이 행운이요 축복이었던 셈이다. 칼렙은 저스틴과 첫 번째요, 레나테는 주목할 만한 시선 초청작 <오슬로, 8월 31일>(2011)에 이은 요아킴과의 두 번째 작업이었다.

칸의 새 역사는 블랙 시네마의 대표주자 스파이크 리가 흑인으로는 처음으로, 경쟁 심사위원장으로 칸을 찾았다는 데서도 드러난다. 그는 그동안 세 차례에 걸쳐 칸 경쟁부문에 입성했으나, 수상은 2018년 <블랙클랜스맨>의 심사위원대상이 전부였다.

대표작 <똑바로 살아라>와 <정글 피버>는 1989년과 1991년 본상 수상에 실패했다. 그는 시상식장에서 황금종려상을 제일 먼저 발설하는 치명적 실수 내지, 어쩌면 ‘의도적’이었을 수도 있을 한바탕 ‘해프닝’을 벌여, 도저히 잊을 수 없을 2021년 칸의 추억을 선사하기도 했다.

상의 안배에서도 올 칸은 가히 ‘역사적’이라 진단할 만하다. (감독 기준으로) 아프리카 출신의 두 감독 마하마트 살레 하룬(<링귀이>)과 나빌 아유쉬(<카사블랑카 비츠>)가 상을 받지 못한 건 아쉬우나, 프랑스 자본이 들어가고 프랑스어로 만들어진 영화니만큼 위안을 삼으련다. 프랑스 영화에 황금종려상과 감독상을 안긴 것은 묘수적 선택이었다 할 수 있다.

산업적으로는 미국 영화 앞에 한없이 기죽을 수밖에 없는 유럽 영화의 지존에 일말의 자존감을 선물했다고 할까. 동시에 태국과 일본 두 편의 아시아 영화와, 이란과 이스라엘 두 편의 중동 영화를 다 승자로 만들었다. 핀란드, 노르웨이 같은 영화 강소국과 호주 같은 별개 대륙의 영화도 품었다. 그러면서 미국 영화는 비선택했다.

결국 2021 칸은 유럽 영화의 완승, 미국 영화의 완패, 아시아 영화의 대선전으로 귀결될 수 있다. 남미 영화가 경쟁부문에 없어 아쉬웠는데, 클레버 멘돈사 필류를 심사위원으로 초대함으로써 만회했다. 위라세타쿤은 틸다 스윈턴을 데리고 콜롬비아로 날아가 촬영했다.

그쪽 자본도 끌어들이고. 한국 역시 마찬가지다. 비경쟁 부문에 초대된 <비상선언>의 이병헌을 시상자로 호명하는 파격을 연출했다. 

이병헌은 2021칸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자 르나트 라인제브에게 시상한 후 함께 포즈를 취했다. <사진 연합뉴스>

이병헌은 여우주연상을 안겼다. 그들은 각각 1인 3역과 2역을 완벽히 수행한 것이다. 흔치 않은 파격적 대우다.

그밖에도 홍상수의 <당신 얼굴 앞에서>는 신설된 칸 프리미어에서 호응 속에 첫선을 보였다. 윤대원의 <매미>는 학생 단편 경쟁 섹션인 씨네파운데이션 부문 2등상을 안았다. 그리고 봉준호는 개막 당일 개막식에 깜짝 등장해, 심사위원장 스파이크 리와 명예 황금종려상 수상자인 월드 스타 조디 포스터, 그 상의 시상자로 초청받은 유럽 최고의 거장 페드로 알모도바르와 나란히 74회 칸 개막을 선언했다. 이만하면 경쟁작이 부재해 느낄 수밖에 없었던 일말의 섭섭함을 달래고도 남음이 있지 않을까.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