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우의 행복한 도전⑬] 공무원에게 영전·승진보다 더 소중한 가치

멀리서 본 한국해양대학교 전경. 필자가 4급으로 승진한 후 첫 발령지였다. 

 

[아시아엔=이기우 이해찬 전 국무총리 비서실장,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회장 역임] 초기 사무관 시절 나는 정말 정신없이 일했다. 보통교육국 교육행정과 사무관이 되면서 핵심 부서의 힘을 실감할 수 있었다. 보통교육국은 대학교육국과 함께 교육부 내에서도 2대 핵심 부서 중 하나였기에 일하는 재미도 남달랐다. 그만큼 확실하게 인정을 받았던 것도 사실이다.

이때 모시던 상사 중 한 분이 박병용 국장이다. 굉장한 추진력으로 상사들의 신임은 물론 많은 부하 직원의 존경까지 한 몸에 받았던 분이다. 그야말로 카리스마가 대단했다. 한 번 지시해서 안을 만들어 내면 장관에게까지 꼭 그 안을 관철시키는 분이었다. 당연히 무슨 일을 하든 믿고 따를 수밖에 없었고 밑에서 열심히 보좌하면 할수록 그만큼, 아니 그 이상의 보람을 부하들에게 안겨 주셨다.

이분의 유명한 일화가 하나 있다. 한번은 박병용 국장이 대학정책실 조정관 시절에 장관을 모시고 광주를 방문하게 되었다. 전라북도를 거쳐 광주로 들어가는 길에 고속도로에서 그만 교통사고가 나고 말았다. 장관은 안 다쳤는데 수행차를 타고 있던 박병용 국장과 동승했던 신문 기자가 크게 다쳤다.

신문 기자는 결혼을 일주일 남겨 놓은 예비 신랑이었다. 구급차를 타고 전남대병원 응급실에 두 사람이 들어갔다. 그런데 수술 장비와 인력에 한계가 있어서 한 명씩 수술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박병용 국장은 고통 속에서도 젊은 기자에게 수술을 먼저 받으라고 양보했고, 자신은 그다음으로 수술을 받겠다고 했다. 그 덕분에 기자는 수술을 무사히 끝내고 회복할 수 있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박병용 국장이 더 많이 다쳐서 목숨이 위태로운 위급한 상황이었다. 이때 수술을 집도했던 의사가 세월이 흐른 뒤에 전남대병원 원장이 되었다. 한번은 내가 박병용 국장을 모시고 같이 점심을 먹은 일이 있었다.

그때 옆에서 들은 이야기로는 그 당시 박 국장의 상처 부위를 열어 보니 뼈가 하도 많이 부서져서 도저히 수술을 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한다. 할 수 없이 뼈를 이리저리 얽은 채로 봉합할 수밖에 없었단다. 천만다행으로 그게 제대로 자리를 잡아 붙었고, 박 국장의 사례는 학계에서 아주 예외적인 모델케이스로 써먹을 정도라는 말을 전해 들을 수 있었다. 그런 말을 들으면서도 박병용 국장은 호기롭게 웃을 뿐이었다. 그 정도로 카리스마가 대단한 분이었다.

바로 이 박병용 국장이 나를 신임하고 좋아해 주었다. 그러던 와중에 나는 능력을 인정받아 사무관(5급)에서 서기관(4급)으로 승진하게 되었고 곧바로 부산 한국해양대학교 서무과장으로 나가게 되었다. 서무과장으로 근무한 지 6개월 정도 지난 어느 날, 교육부 총무과장이 나를 불렀다.

“박병용 국장님한테 연락이 왔다. 이 과장을 의무교육과장으로 달라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해?” “네?” 나는 일말의 망설임도 없이 곧바로 대답했다. “과장님, 절대 안 됩니다! 안 된다고 해 주십시오!” 총무과장은 크게 놀라는 눈치였다. 내가 당연히 수락할 줄 알았던 것이다. “정말 그래? 그럼 곤란한데…….”

장관의 신임을 받고 있는 잘나가는 국장이 일을 더 열심히 해보겠다고 멀리 있는 나를 달라고 하는 상황이었다. 당연히 감사한 일이다. 나를 필요로 하는 상사가 있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가. 교육부 본부의 과장이 되는 일은 서기관급에서도 영광된 자리이고, 또 열심히 하면 승진의 기회가 있는 자리이므로 공무원이라면 환호하며 기뻐할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서기관 승진 6개월 만에 다시 본부로 영전을 시켜 주는 파격적인 인사였다. 그만큼 내가 필요하다는 말이기도 했다. 그러나 나는 그 소리를 듣자마자 그럴 수 없다고 반응한 것이다.

부산에서 서울로 박병용 국장을 직접 찾아갔다. 국장은 반갑게 나를 맞아 주었다. 아마도 내가 자신의 제안에 기쁘게 응답하리라는 기대를 했던 것 같다. “국장님, 아니 제가 앞으로 공무원 생활 하라고 하시는 겁니까, 아니면 말라고 하시는 겁니까? 저를 의무교육과장으로 달라고 하셨다면서요?” “그래, 맞아. 내가 함께 일하려고 이 과장을 달라고 했지. 이 과장만큼 일 잘하는 사람이 어디 있어?” “네, 국장님. 그 부분은 정말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나는 진지한 태도로 말을 이어 나갔다. “그런데 교육부 과장 되는 게 하늘의 별따기잖습니까. 제가 앞으로 공무원으로 살 날이 까마득한데 서기관 승진 6개월 만에 다시 교육부 과장으로 영전을 해서 돌아오게 되면, 저보다 먼저 승진해서 교육부를 떠나 외곽에 있는 선배 스물두 분이 전부 저하고 적대 관계가 됩니다.”

나는 간절하게 말씀을 드렸다. “저 좀 살려 주십시오. 선배들이 있는데 제가 들어가면 아무리 일을 잘해도 누가 저를 곱게 보겠습니까?” 내 속마음이 바로 그랬다. 일은 혼자서만 하는 것이 아니다. 주변 사람들과의 인화도 매우 중요한 덕목 중 하나이다.

특히나 조직 생활을 할 때에는 늘 겸손한 자세로 주변과의 어울림도 생각하면서 관계를 맺어 나가야 한다. 총무과장의 말을 들었을 때, 바로 그런 상황이 예상되었고 당연히 선배들에게 먼저 기회가 돌아가야 한다는 생각을 했던 것이다.

또 시간이 걸리더라도 정당한 수순을 밟아 가며 많은 사람의 신뢰가 바탕이 된 후에 영전하는 것이 길게 보면 중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이처럼 나에게는 나름대로의 이유가 있었다.

나는 그 당시 서울시교육청에 근무하는 선배를 나 대신 추천했고 결국 그 선배가 발령을 받게 되었다. 일을 무사히 끝마치고 한국해양대학교로 돌아와 교육부 총무과장에게 그동안의 상황을 보고했다. 총무과장은 껄껄껄 웃으며 말했다.

“이기우니까 국장님이 이야기 들어줬지 다른 사람은 어림없다. 어느 상사가 자기 대신 다른 사람을 써 달라는 부하 직원의 청을 들어주겠나. 그만큼 국장님이 이 과장을 신뢰한다는 말도 되고. 참, 살다가 영전하기 싫다는 사람도 보네. 하하하.”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