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르드 난민수용소에서 떠올린 ‘몰개월의 새’ 4] 라브리오 뒤로 한 채 쏟아진 오열
최근 중동에선 터키의 쿠르드족 소탕전이 연일 벌어지고 있다. 쿠르드족이 어떤 민족이길래 터키가 이토록 열을 올리고 있는가?
아리안계 인종인 이들은 이란, 이라크, 터키 등지에서 거주하는 약 4,000만 명의 유랑민족이다. 쿠르드족은 약 4,000년 전 현 터키 남동부와 이란-이라크-시리아 국경지역에 해당하는 쿠르디스탄에서 거주했다. 중세 이후 쿠르드족은 오스만제국에 속해 있었지만 제국이 1차대전에서 패한 후 이들에게도 암운이 드리워졌다. 승전국 영국과 프랑스의 사이크스-피코 협정에 따라 이란, 이라크, 시리아, 터키 4개국으로 뿔뿔이 흩어지게 된 것이다. 1920년 강대국은 쿠르드족에 자치권을 약속했으나 지키지 않았고, 독립과 자치권을 향한 쿠르드의 열망은 지금까지 이어져 왔다.
1927년 쿠르드족은 터키 동부에 아라라트 공화국을 세웠으나 3년 만에 터키의 침공으로 멸망했으며, 1946년 이란에 거주했던 쿠르드족이 세운 마하바드 공화국도 이란의 공격을 받아 소멸했다. 이후에도 쿠르드족은 터키, 이라크, 이란 3국을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펼쳤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았다. 가장 최근인 2017년 9월만해도 이라크의 쿠르드 자치정부가 독립투표를 실시해 91.8%의 찬성표를 얻었지만, 이라크를 비롯한 인접국들의 반대로 독립이 어려워 보인다.
쿠르드족 중 가장 많은 약 1,500만 명이 살고 있는 터키. 터키의 쿠르드족 대다수는 정부의 차별정책과 탄압을 견디며 생존해 왔다. 독립을 주장해온 쿠르드인들이 쿠르디스탄 노동자당(PKK)을 세워 투쟁에 나섰지만, 터키-쿠르드 관계는 악화일로를 걸었다. 결국 수많은 쿠르드인들은 고향을 등지고 이웃나라 그리스로 떠나야만 했다. 10여년에 걸쳐 20여차례 터키를 방문하며 쿠르드족의 실상을 알려온 이신석 <매거진 N> 분쟁지역 순회특파원. 그가 2017년 12월 중순 터키 쿠르드 난민의 자취가 묻어있는 그리스로 향했다. -편집자
[아시아엔=이신석 분쟁지역 특파원] 자고 가라는 권유를 완곡하게 거절하며 간신히 그 자리를 빠져 나왔다. 하키가 따라 나오면서 배웅해 주겠다고 했다.
와이파이가 필요해서 같이 근처의 카페테리아로 향했다. 카페테리아에는 우리에게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는 그리스인 커플과 축구중계를 보는 노인 하나가 있었다.
위스키를 스트레이트로 시키고 와이파이에 연결하는 동안 하키는 카페를 들락거렸다. 비바람이 부는데 문도 제대로 닫지 않고 나갔다 들어왔다 한다며 노인이 하키에게 화를 내고 투덜거렸다. 굳이 그러지 않아도 될 걸 분명 난민이라 일부러 그러는 것 같았다. 그리스인 주민에도 한 눈에 터키 난민으로 보였으리라.
하키는 내가 건네준 돈으로 바텐더에게 위스키를 한 잔 사왔다. 하키는 술을 더 마시고픈 눈치였지만 나는 다시 아테네로 돌아가야 했기에 자리에서 일어섰다. 우버가 잡히지 않아 버스를 타고 가려는데 굳이 하키가 버스를 타고 데려다 주겠다고 했다. 그럴 필요 없다고 했음에도 애원하는 눈빛으로 호텔까지 자신을 데려다 달라고 계속 졸랐다. 자기를 데리고 가면 무엇이든 하겠다는 듯한 눈빛이 너무 애절해서 쳐다 보고 있을 수가 없었다. 난민 신세인 그는 아테네에서 술도 한 잔 하고 자유도 맛보고 싶은 욕구가 강했으리라.
버스는 한참 동안 우리를 기다리게 하는 동안, 하키는 내 앞에서 계속 눈을 맞추었다. 동성끼리 호텔에서 하룻밤을 같이 지내는 불편도 감수하겠다는 눈빛까지 내비쳤다. 버스가 도착하자 난 그를 뒤로하고 혼자 버스에 올라탔다. 아프리카와 스리랑카 난민들로 보이는 한 무리의 사람들이 뒷 좌석에 앉아 소란스럽게 떠들고 있었다. 앞자리에 앉아 이어폰을 귀에 꽂고 비바람이 치는 어두운 창 밖을 응시했다. 저 밖엔 검푸른 바다와 유배의 섬 마크로노시아가 있다.
난민수용소를 떠나면서 그들에게 내일 또 다시 오겠다고 둘러댄 것이 마음을 무겁게 짓눌렀다. 이틀 동안 함께 지내면서 점점 나에게 원하는 것이 많아지니 부담스러운 것은 분명 있었다. 내가 알지 말아야 할 사실들을 알게 됐고, 그로 인해 감당하기 힘든 상황에 처할지도 모른다는 사실도 내 어깨를 짓눌렀다. 한 곳에 오래 머물면 혹시라도 닥칠 위험에 노출될 것이란 핑계를 대고 서둘러 거처를 옮기기로 마음 먹은 이유다.
그러나, 그 이유가 무엇이든 간에 선의로 나를 대한 그들에게 거짓말을 한 셈이다. 버스 밖 풍경을 바라 보고 있노라니 황석영의 ‘몰개월의 새’가 생각났다.
‘나는 승선해서 손수건에 싼 것을 풀어보았다. 플라스틱으로 조잡하게 만든 오뚝이 한 쌍이었다. 그 무렵에는 아직 어렸던 모양이라, 나는 그것을 남지나해 속에 던져버렸다. 그리고 작전에 나가서 비로소 인생에는 유치한 일이 없다는 것을 알았다. 서울역에서 두 연인들이 헤어지는 장면을 내가 깊은 연민을 가지고 소중히 간직하던 것과 마찬가지로, 미자는 우리들 모두를 제 것으로 간직한 것이다. 몰개월 여자들이 달마다 연출하던 이별의 연극은, 살아가는 게 얼마나 소중한가를 아는 자들의 자기표현임을 내가 눈치챈 것은 훨씬 뒤의 일이다. 그것은 나뿐만 아니라, 몰개월을 거쳐 먼 나라의 전장에서 죽어간 모든 병사들이 알고 있었던 일이다.’
이로부터 열흘 여 지난 어느 날, 가가우지아 공화국에서 이 글을 정리하며 온갖 감정이 떠올랐다. 그들의 나를 향한 기대가 부담스러웠고, 뜻밖의 사실을 알게 되어 두려움에 도망쳤다는 사실이 부끄러웠다. 이내 마음 속에서 쏟아지는 오열을 끝내 막을 수 없었다.
# 지난 1월 초 어느 날, 페이스북에 라브리오 쿠르드족의 페이지가 생성되었다. 내가 건넨 기기를 활용해 그들의 소식을 올리는 듯 하다. 커뮤니티를 보니 즐거웠던 기억과 나를 작아지게 만드는 기억들이 동시에 떠오른다. 다시 만난다는 기약은 없지만 그들이 행복하길 먼 발치에서 바란다.(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