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흔적찾기④] 천신만고 끝에 돌아온 조국은 아버지를 빨갱이로 여겨
“나의 부친 문순남(1924~1974, 文順南)은 일본제국주의 말기 조선 총독부 동원령에 의거 전장에 끌려가 중국 동북지역 만주 봉천에서 복무했다. 선친은 일본 패망과 2차대전이 끝난 후에도 전쟁포로로 수용돼 옛 소련연방 카자흐스탄공화국에서 억류돼 3년 4개월간 강제노동을 하다 풀려났다. 해방의 기쁨도 누리지 못한 채 아버지는 영문도 모른 채 노역에 내몰리며 기약 없는 ‘지옥생활’을 한 것이다.”
대구에서 노동 일을 하는 문용식(59)씨는 16살 때 여읜 아버지 문순남의 흔적을 찾아 20년 넘게 국내외를 헤매고 있다. 그는 “이게 나라냐, 이게 정부인가” 하는 생각을 떨칠 수 없다고 했다. 문용식씨는 지난 1월20일 인문학 공동체 ‘수유너머’ 특강을 통해 “아버지의 자취를 찾는 것은 나라잃은 설움을 후손들은 겪지 않길 바라는 간절함 때문”이라고 했다. <아시아엔>은 몇 차례에 걸쳐 문용식씨의 잃어버린 아버지 흔적 찾기를 연재한다. <편집자>
[아시아엔=문용식 ‘2차대전 후 옛소련 억류피해자’ 유족] 2006년 여름 아버지의 흔적을 찾는 과정에서 동아일보 신문사를 방문했다. 지난 날 삶의 흔적이 있으니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겠다는 여유로운 생각은 어느 시점 난관에 봉착했고 더이상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숱한 날을 번민하다 당시 신문에 소련에서 귀환한 억류자 기사가 몇 줄이라도 보도되지 않았을까 그런 생각을 해 보았다. 그리고 무작정 신문사를 찾아갔다.
귀환 후 세월이 많이 흘렀고 아버지의 흔적을 찾아보겠다고 나서기는 했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도무지 난감했다.
1995년 입수한 부산일보 특집 ‘소련군에 체포된 조선인 포로명단’은 인적사항이 창씨개명 이름에 본적지가 일본식 발음으로 되어있어 도무지 찾을 수가 없었다.
그러다 일본정부가 보관하고 있던 ‘유수 명부’(留守名簿) ‘공탁금 명부’ 등 조선 통치 시기 자료 상당수가 수년전부터 한국정부로 이관되었다는 언론보도가 떠올랐다. 나는 필시 한국정부가 입수한 자료를 분석해서 전산화했을 거란 생각을 하게 되었다.
먼저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자료실에 접근하니 다행히 일본에서 이관된 많은 자료가 전산화되어 조회도 가능했다. 아버지 이름(문순남), 생년월일, 본적지, 입대시기를 키워드로 해서 조회를 해보았다.
그러나 아버지 기록은 한줄도 없었다. 특히 아버지 창씨개명 이름을 알 수 없으니 문씨 ‘본’(本)과 이름을 고려해서 ‘남평 순남’으로 찾아보았지만 그것도 허사였다. 결론적으로 국가기록원에서는 어떠한 자료도 찾을 수 없었다.
이후 인천 및 경기경찰청, 본청, 정보 부서 등에 전화를 하고 탐문을 했지만 “중요자료는 오래 전에 국가기록원으로 넘겼으며, 나머지는 고문서라 어디서 보관하는지 폐기되었는지조차 알 수 없다”고 했다.
더군다나 주민등록 체계가 지금의 구조로 바뀐 것은 아버지가 별세하고 다음해인 1975년 7월 이후라 조회 자체가 불가능했다. 그러는 동안 많은 실망을 느끼고 좌절하다 신문사를 찾아간 것이다.
반세기 전 신문은 한자를 사용했고 좀 희미하긴 했지만 그래도 마이크로필름에 담아 잘 보존되어 있었다. 일일이 필름을 돌려가던 중 1949년 2월치 신문에서 ‘소련에서 온 괴청년들’ ‘포로속에 공작대? 인천수용소서 엄밀조사’ 란 기사가 실려있는 것을 확인했다. 일부 日字에는 귀환자 명단도 실려 있었다.
당시 조국에 귀환한 그들을 한국사회가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았는지 짐작해 볼 수 있었다.
전후 질서에서 패권을 차지하려는 미·소의 무한경쟁은 유럽을 동서 진영으로 양분하고 한반도에 미군과 소련군이 주둔하며 군정을 하는 결과를 만들었다. 1948년 미·소의 지원을 받는 정부가 남과 북에 각기 수립되고 해방 이후 38선 이남에서 미군이 통치하던 군정도 종료되었다.
냉전은 해방 후 통일국가로 새로운 미래를 설계하려던 한민족의 꿈을 산산이 조각내고 70년 넘게 남북으로 갈라 놓았다.
남북한은 이념문제로 첨예하게 대립했다. 그만큼 민감한 시기에 억류자들이 돌아왔던 것이다. 한국사회는 돌아온 그들을 불쌍히 여기고 포용하기보다 의심의 눈초리로 맞았고 또 경계했다.
천신만고 끝에 고향에 돌아왔지만 조국은 반공국가가 되어 있었고 1949년 무렵에 접경지역은 남북이 사사건건 충돌하며 총격전도 종종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