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사도’ 뒷담화②] 하와이국제영화제 개막작 ‘사도’ 해외팬 반응 ‘주목’

201560521439914037

[아시아엔=박명윤 <아시아엔> ‘보건영양’ 논설위원, 한국보건영양연구소 이사장] 지난 9월 개봉된 이준익 감독의 <사도>(The Throne)는 아버지 영조에 의해 비운(悲運)의 죽음을 맞는 아들 사도세자의 이야기다.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비극(悲劇)적인 8일간의 기록을 고스란히 영화로 담았다. 부모와 자식의 관계는 인간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하늘이 맺어준 관계이기 때문에 천륜(天倫)이라고 한다. 왕과 세자로 만나 아버지와 아들의 연을 잇지 못한 운명은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가족사다.

<사도>가 11월 12~22일 미국 하와이에서 열리는 제35회 ‘하와이국제영화제’에서 개막작으로 선정되었다. 지난 1981년 시작한 하와이국제영화제는 6개의 하와이 섬에 위치한 12개가 넘는 상영관에서 전세계 영화 200여편을 상영하는 북미 최대 규모의 영화제 중 하나이다.

1762년(영조 38) 영조가 자신의 외아들인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고 죽게 만든 참변을 일으킨 것은 왕세자(후일의 사도세자)를 둘러싸고 표면화된 갈등이다. 즉 노론 일부의 불만을 수습하기 위해서였건, 일부 궁중세력의 모함 이였건, 이상성격으로 인해 임금이 되기에 부적절한 인물이어서 미리 제거하지 않을 수 없었던 간에 영조로서는 고통과 좌절을 받았다.

‘뒤주’는 곡식을 담아두는 궤(櫃)로 통나무나 널빤지로 짜서 만든다. 통나무로 만드는 것은 밑동과 머리에 따로 널빤지를 대어 막고, 머리 부분의 한쪽을 열도록 문짝을 달아 곡식을 넣거나 퍼낸다. 널빤지를 짜서 만드는 뒤주는 네 기중을 세우고 벽과 바닥을 널빤지로 마감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머리에 천판을 설치한다. 천판은 두 짝으로 만들어 뒤편의 것은 붙박이로 하고 앞쪽으로 여닫는다. 여닫는 데는 쇠 장석을 달아 자물쇠를 채운다. 가정에서는 대개 대청마루에 두고 곡식, 주로 쌀을 담아두었다. 필자도 1950년대 중ㆍ고등학생 시절 우리 집 대청마루에 있던 뒤주를 기억하고 있다.

영화 ‘사도’는 사도세자가 뒤주 속에 갇혀 있던 8일 동안 그의 성장과정, 아버지 영조와의 심적 갈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영조는 아들을 뒤주에 가둔 후 쇠못을 박아 죽게 하여 엽기적인 방식으로 집행된 측면이 있다. 영조는 무수리의 아들로 태어나 경종을 죽이고 왕위에 올랐다는 정통성 논란에 시달린다. 이에 학문과 예법에 있어 완벽한 왕이 되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인다.

영조는 학문과 예법에 있어 완벽을 추구한 임금이다. 뒤늦게 얻은 귀한 아들 세자만은 모두에게 인정받는 왕이 되길 바랐지만 기대와 달리 어긋나는 세자에게 실망한다. 어려서부터 총명한 세자에게 큰 기대를 가졌으나, 자라면서 무예와 그림에 더 흥미를 보이고 아버지의 기대를 부담스러워한다. 또한 자신의 진심을 몰라주고 다그치기만 하는 아버지를 점점 원망하게 된다. 이에 비극적인 가족사가 전개된다.

영조는 조선 후기 가장 위대한 성군(聖君) 중 하나로 꼽히며 조선 역사상 가장 긴 재위기간(52년) 동안 옥쇄(玉碎)를 쥐고 있었다. 그러나 영조는 뒤틀리는 게 있으면 임금 자리를 사도세자에게 양위하겠다고 했다. 즉, 왕위를 후계자에게 계승시킨다는 양위(讓位)선언을 5번이나 했다. 양위파동은 때로는 신하들의 충성도를 시험해 보기도 하고, 때로는 과거 자신의 치부(恥部)를 덮는 데 활용하기도 했다. 사도세자는 양위파동과 대리청정으로 인하여 극심한 불안증세를 나타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