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엔=오준 세이브더칠드런 이사장, 전 유엔대사] 지난 8월 콕스바자의 로힝야 난민촌에서 만난 아이들은 모두 둥글고 큰 눈이 인상적이었다. 세계의 다른 어느 곳에서 만난 아이들과도 다르게, 어른과
Author: 오준
오준 세이브더칠드런 이사장이 만난 천재 피아니스트 유예은
[아시아엔=오준 세이브더칠드런 이사장, 전 UN대사] 예은이를 만난 것은 주 싱가포르 한국 대사로 근무하던 2010년이었다. 처음 말을 건넸을 때 예은이는 나를 향해 얼굴이나 몸을 돌리지 않고
소크라테스·미켈란젤로·최영 장군 공통점은?
[아시아엔=오준 세이브더칠드런 코리아 이사장, 전 주유엔대사] 나는 어릴 때 북촌의 일본식 가옥에서 태어나 26년간 살았다. 중학생이 된 이후 지낸 2층의 다다미 방은 우리나라 겨울에는 맞지 않아서 늘 추웠던 기억밖에 없다. 그 방의 창문을 열면 서울 시내 맞은편의 남산이 손에 잡힐 듯 보였다. 아직 교통 혼잡이 없던 때라서 서울은 조용하였고, 비오는 밤 같은 때는 서울역의 기차 기적소리가 들렸다. 학생 시절 한밤에 멀리서 들리는 기적소리는 가슴 속에 뭉클하고 감성을 자극해서 잠 들기 어렵게 했다. 누군가 저 기차를 타고 머나먼 미지의 세계로 떠나겠구나 하고 센티멘털해지면 라디오에서 나오는 모든 음악이 눈물을 고이게 했다. 기적소리에도 잠을 이루지 못하던 감수성은 나이가 들수록 무뎌졌다. 이성과의 만남에 가슴 뛰던 낭만도, 외국에 나가 이국적인 분위기에 들뜨던 흥분도, 친구들과 밤늦게 술을 마시며 세상 모든 일을 아는 것처럼 떠들던 치기도, 나이가 들면서 거짓말처럼 점점 사라진다. 의학적으로도 중년을 넘어서면 신체의 모든 기능이 떨어지니까, 감각을 담당하는 부분도 쇠퇴하는 게 당연할 일 같다. 그래도 무뎌지는 감수성이 서글프게 느껴질 때가 있다. 그럴 때면 역발상을 해서 감수성이 떨어짐으로써 생기는 긍정적인 면을 생각해 본다. 생각해 보면, 인간의 신체 기능과 감각은 다른 모든 생명체와 다르지 않다.
‘5·18 40주년 기획전’ 화가 김근태와 장애인의 인권
[아시아엔=오준 세이브더칠드런 이사장, 전 장애인권리협약 의장, 전 유엔대사] 김근태 화백을 실제로 만나기 전에 그의 그림을 먼저 보았다. 2015년 봄, 필자가 유엔 대사로 뉴욕에 근무하면서 장애인권리협약
오준 대사의 쓴소리···“듣기 싫은 말 들어야 성숙한 사회”
[아시아엔=오준 세이브더칠드런 이사장·전 유엔대사] 1970년대에 학교를 다닌 세대는 “우리는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로 시작하는 국민교육헌장을 외우던 기억이 있다. 우리가 아직 민주주의와 경제성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