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길의 영화산책] 현빈·박정민·조우진 ‘하얼빈’…”감독이 직접 쓴 시나리오가 홀로 외로웠다”
아시아 침략 일본군국주의가 첫 단계로 조선을 병탄하는 그림을 설계한 이토 히로부미(이등박문). 1909년 그를 척결하려는 문무 겸비 조선 지식인 안중근. 러일전쟁 승리한 일본이 뻐기고 있는 연해주에서 대한의군 참모중장 안중근은 일제와의 전투에서 공도 세우고 과실도 저지른다. 감독은 안중근 의사를 다룬 기존 여타 수많은 콘텐츠와 차별화를 시도한다.
최대한 객관적 거리감을 유지하기 위해 클로즈업을 자제하고 과잉 신파 모션을 삼간다. 무장 독립군 엘리트들의 갈등과 대화에 치중한다. 그런데 겉돈다. 담배만 피워댄다. 죽음의 거사를 앞둔 안중근 장군의 내면 목소리를 꺼내지만 내레이션 서사가 썰렁하다. 철저한 현장 재현, 미장셴과 부감샷으로 비주얼 이미지는 꽤 획득했다. 최고 해외 전문가가 만든 음악도 좋다.
관객과의 감정이입이 미흡하다. 객석은 설득당하고 싶다. 넘 아쉽다. 건조하면서 촉촉해야 하는데, 끝까지 드라이하다. 주요 캐릭터들끼리의 대사가 긴장감을 놓치고 만다. 단독적 유아독존 빌런이 희미하니 흐물흐물. 스크린 전체에 물질적 비물질적 공을 이렇게 많이 들였는데. 감독이 직접 쓴 시나리오가 홀로 외로웠다. 전개가 경직되고 사무적이다. 긴장감 빠진 대사는 안일하다.